KOR

e-Article

기업 구성원의 조직 몰입 증진을 위한 공공미술 활용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조직 몰입
기업 미술교육
공공미술
Language
Korean
Abstract
Today, companies can grow exponentially by pursuing qualitatively improved values based on culture and their public nature, unlike companies of the previous generation that largely emphasized boosting their own productivity. Companies using culture and arts are also producing positive results in terms of both marketing effects that stimulate consumers' emotions and creating an image for these companies as contributing to society as a whole. However, in relation to the use of culture and arts by companies, the use and research as a way to solve internal problems of companies are insufficient compared to external us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art education programs and propose educational measures tailored to the “promot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that is continuously required for companies. In order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is research, concepts such a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orporate education,” “corporate public nature and cultural welfare,” and “public art” were reviewed through literature surveys, and art education was closely analyzed. On this basis, this study developed an art education program to promot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orporate members and conducted related practical studies to determine their effectiveness. A total of five members from SMEs were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s, and the research procedure is given as follows. Data from the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or advance analysis of the subjects and questionnaires for measuring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subjects. On this basis, the class guidance plan consisted of five lessons, and the class content of each lesson was connected within one large topic. This study subsequently conducted statistical analysis on changes i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lass satisfaction surveys and then evaluated and analyzed class results. The results and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derived through these approaches are as follows. First,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an implementation study are derived by developing and applying art education programs that can be applied to companies using public art. As a result, emotional commitment, continuous commitment, and normative commitment, which are sub-factor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ere all improved, and this research suggested meaningful ways to promot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orporate members. Second, one finding of this class was that learners were able to form an attitude of communication, respect, and collaboration through joint work activities. In this class, learners imagined that their company would grow in the future and a new corporate building would be erected. They conceived of public art works that they wanted to install in the new building, and learners led activities to produce related models. After the activity, learners talked in-depth about the process and results. They were able to listen to each other's opinions and form emotions that made them feel close to each other through empathy. Third, preliminary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struct coordinated programs that allow learners to access art in more familiar ways. The companies under review were manufacturers, and, thus, they routinely used 3D modeling. In view of this, 3D printers were used in this class, which helped inspire learners' interest in the class. Fourth, through these activities, learners who were not usually interested in art could rediscover art in their lives and enjoy it from new perspectives. As a result of the post-class satisfaction survey, learners’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public art were improved. Through a series of activities in which learners explored public art around them and produced public art works related to their companies, they were able to naturally accept art in their lives. All in all, this study led to the development of classes in which corporate members improve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ough art education programs using public art and thus verified the effects of the classes in that regard.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s findings will provide basic data to contribute to the advanced research of art education programs that can be applied to companies, and that follow-up studies related to this field will be actively carried out in years to come.
오늘날 기업은 생산성에만 주력하던 과거와 달리 문화와 공공성을 기반으로 하여 질적으로 향상된 가치를 추구함으로써 비약적으로 성장할 수 있게 되었다. 문화예술을 활용한 기업은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마케팅 효과와 기업이 사회에 공헌한다는 이미지를 창출하는 것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얻어내고 있다. 그러나 외부적인 활용에 비해 기업 내부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의 활용과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으로 기업 내부에서 요구되고 있는‘조직 몰입 증진’을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및 교육 방안 모색에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문헌 조사를 통해 조직 몰입과 기업교육, 기업의 공공성과 문화 복지, 공공미술의 개념을 고찰하고 기업에서 미술교육이 실시된 사례를 분석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기업 구성원의 조직 몰입 증진을 위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행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으로는 중소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총 5명의 조직 구성원을 선정하였으며 연구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사전에 실험 대상 분석을 위한 심층 면담과 조직 몰입 측정을 위한 설문지 작성을 통해 연구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수업 지도안을 총 5차시로 구성하였으며 각 차시의 수업 내용은 하나의 큰 주제 안에서 연결되도록 하였다. 사후에는 조직 몰입의 변화와 수업 만족도 조사를 통계 분석하였으며 수업 결과물을 평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한 본 연구의 결과와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공공미술을 활용한 기업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 실행연구의 결과를 도출한 것이다. 결과적으로 조직 몰입의 하위 요소인 정서적 몰입, 지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이 모두 향상되었으며 이를 통해 기업 구성원의 조직 몰입을 증진할 수 있는 미술교육의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미가 있다. 둘째, 본 수업에서는 함께 만들어 나가는 작품 활동 과정에서 학습자가 소통, 존중, 협업의 태도를 형성할 수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미래에 회사가 성장하여 사옥이 건립된다고 상상하였을 때, 설치하고 싶은 공공미술 작품을 구상하고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모형으로 제작하는 활동이 학습자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활동 이후에는 과정과 결과물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서로의 의견을 경청할 수 있었으며 공감을 통해 친밀감을 형성할 수 있었다. 셋째, 사전 분석을 통하여 학습자가 친숙하게 미술에 접근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연구 대상 기업은 제조업체이며 따라서 3D 모델링을 통한 업무를 일상적으로 진행하고 있었다. 이에 착안하여 3D 프린터를 본 수업에 활용하였고 이는 학습자의 수업에 대한 흥미를 고취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넷째, 미술에 관심이 없던 학습자가 삶 속에서 미술을 발견하고 향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후에 실시한 수업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 공공미술에 대한 이해도 및 흥미도가 향상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학습자는 공공미술을 주변에서 탐색하고 자신의 기업과 관련된 공공미술 작품을 제작해 보는 활동을 통해 미술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공공미술을 활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기업 구성원의 조직 몰입을 높이고자 수업을 기획하고 그 효과를 검증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내용이 기업 미술교육의 발전된 연구에 기여할 수 있는 자료가 되기를 바라며 향후 이에 관한 후속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