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

e-Article

기상관측 및 대기질 영향예측을 통한 소각장 입지조건 분석
Analysis of the Environmental and Meteorological Location Conditions of an Incinerator by Weather Observation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9(1), 51, pp.531-541 Jan, 2019
Subject
학제간연구
Language
한국어
ISSN
2383-7268
2383-5281
Abstract
IN korea, The rate of incineration and recycling is increasing in waste disposal status. It is judged that the government's waste management policy puts other processes, such as incineration, in priority rather than landfill. .It is difficult to select and operate incinerators for disposal of the growing waste. In order to dispose of growing waste as incineration, the conditions for the incineration plant location should be assessed in general, geographic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parts. Two candidates(➀, ➁) were compared to analyze the location of incineration plants environmentally. To solve this problem, automatic weather system(AWS) and GPS sonde were installed to investigate the text-by-day temperatures, humidity, wind speeds, and wind direction of the site and the upper body weather, and an AREMDOD MODEL was prepared using the results. The results were used to predict the maximum ground concentration of each candidate site and to provide a basis for selecting the location of the incineration plant.
우리나라의 폐기물 처리현황에서 소각 및 재활용 비율이 증가 하고 있다. 이는 정부의 폐기물관리정책에 의하여 매립처분보다 소각 및 재활용 등의 기타처리가 우선순위에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하지만 점차 재활용으로 폐기물의 처리가 어려운 상황이 일어나고 있기 때문에 폐기물을 처리하는 방법 중 하나인 소각의 비중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1-3] 증가하는 폐기물을 소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소각장을 입지조건을 전반적으로 지리적, 환경적, 경제적으로서 타당성을 평가해야한다. 지리적 주변의 환경오염 등으로 소각장의 입지선정과 운영에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지만 본 연구는 이를 해결하고자 실제 소각장 입지를 환경 지리적으로 분석[4,5]하여 비교함으로써 후보지 입지 선정에 기여한다. 두 후보지(➀부지, ➁부지)를 비교·분석하였고, 자동기상관측장비(AWS)와 GPS 존데를 설치하여 부지기상 및 상층기상의 날짜별 기온, 습도, 풍속 및 풍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값을 이용한 기상자료를 작성하여 AREMOD MODEL로 대기질 영향예측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