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

e-Article

세계문학의 정전화 과정-1920-30년대 『더버빌가의 테스』의 수용을 중심으로
The Canonization Process of World Literature-Focusing on the Acceptance of Tess of the d'Urbervillesin the 1920s and 1930s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구보학보, 0(36), pp.103-156 Apr, 2024
Subject
한국어와문학
Language
한국어
ISSN
2671-6135
2005-632X
Abstract
이 연구는 토머스 하디의 『더버빌가의 테스』를 중심으로 식민지 시기에 세계문학이 정전화되는 과정을 살피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하디의 문학이 1920-30년대에 상당수 번역・소개된 점을 근거로, 명작으로서 기원이 된 시점을 탐색하여 인기의 원인과 독해의 초점을 분석하려는 시도였다. 이 과정에서 하디가 시대에 저항하는 작가로 호명된 점을 밝혔고, 테스의 강인함과 노동자성이 초점화된 사실을 규명하였다. 또한, 김기진의 번역 의도와 「번롱」의 대중적인 요소를 검토하였다. 논의의 결과를 네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하디는 ‘빅토리아 시대’의 비판자로 불리며 구시대의 도덕, 법률, 종교에 대한 항의를 문학으로 형상화하였다. 양주동의 경우 인간의 자유의지와 운명 공존론이 공존하는 소설로 독해하여 해석의 지평을 넓혔다. 둘째, 식민지 시기에 『테스』는 번역이 두 차례, 소개가 다섯 차례 펼쳐지며 명작의 위상을 공고히 해 나갔다. 여러 문인의 추천사와 해석은 이를 뒷받침하는 근거로 작용하였다. 중요한 것은 『테스』의 줄거리가 소개될 때 강인한 생명력, 삶의 회복성, 주체적인 자아 등에 초점화가 이뤄졌다는 점이다. 셋째, 김기진의 「번롱」은 『테스』의 조선어 최초 번역본으로, 나카기 테이이치(仲木貞一)의 「運命の女(운명의 여인)」을 중역(重譯)한 것이다. 김기진은 번역에서 조선어 입말체를 실험하며 특수성을 발휘하였다. 특히 이 논문은 『녀자의 한 평생』과 「번롱」을 연속적인 번역 행위로 바라보았다. 두 소설은 ‘여성 수난 서사’라는 공통점 아래 각기 다른 계층의 시련을 형상화하였다. 『테스』의 경우, 여성 농업 노동자가 궁핍한 환경에서 성과 계급에 의해 고난을 겪는 점과 주체적인 자아로 성장하는 점이 번역 작품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중점이 되었으리라고 보았다. 넷째, 『테스』가 이입되는 과정에서 다수의 세계문학과 함께 소개된 점에 주의를 기울였다. 세계문학 앤솔러지가 신문 연재를 통해 기획된 사례는 일본에서 유행하기 시작한 한 질의 세계문학전집이나 다이제스트 판 단행본을 대신한 현상이었다. 신문 연재를 통해 세계문학이 유통되는 과정은 명작을 읽는 조선어 독자층이 그만큼 확대되고 있었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지점이다. 이상으로 이 연구는 『테스』의 수용사를 밝힘으로써 한 편의 세계문학이 식민지 조선에서 정전화되는 과정을 실증적으로 규명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process of canonization of world literature during the colonial period, focusing on Thomas Hardy’s Tess of the d'Urbervilles. This paper was an attempt to explore the origins of Hardy’s works as masterpieces and to analyze the causes of their popularity and focus of reading, based on the fact that a significant amount of Hardy’s literature was translated and introduced in the 1920s and 1930s. In this process, it was revealed that Hardy was called a writer who resisted the times, and the fact that Tess’s strength and worker spirit were the focus was identified. Additionally, I reviewed Kim Ki-jin’s translation intention and the popular elements of “Beonlong(「飜弄」)”.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can be summarized in four points. First, Hardy was called a critic of the ‘Victorian era’ and embodied protests against old-fashioned morality, law, and religion in literature. In particular, Yang Ju-dong broadened the horizon of interpretation by reading the novel as a novel in which human free will and fate coexist. Second, during the colonial period, Tess was translated twice and introduced five times, thus consolidating its status as a masterpiece. Recommendations and interpretations by various literary figures served as evidence.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when the plot of Tess was introduced, the focus was on strong vitality, resilience of life, and independent self. Thirdly, Kim Ki-jin’s “Beonlong(「飜弄」)” is the first Korean translation of Tess and a double translation of Nakagi Teiichi’s “A Woman’s Life(「運命の女」)”. Kim Ki-jin demonstrated his uniqueness by experimenting with the Joseon language spoken style. Here, I interpreted A Woman’s Life and “Beonlong” as successive acts of translation. The two novels have something in common: ‘tales of women’s suffering,’ but each embodies the ordeals of different classes. In the case of Tess, a female agricultural worker experienced hardships due to gender and class in a poor environment and grew into an independent self. I revealed that this was an important factor in Kim Ki-jin’s process of selecting translated works. Fourth, I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in the process of accepting Tess, it was introduced together with a number of world literatures. The case in which an anthology of world literature was planned through newspaper serialization was a phenomenon that replaced the complete collections of world literature or digest editions of books that had begun to become popular in Japan. The process of disseminating world literature through newspaper serialization shows that the readership of masterpieces in the Joseon language was expanding. Above all,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of empirically identifying the process by which a work of world literature was canonized in colonial Joseon by revealing the reception history of Tess.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