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alog
LDR | 01783nam a2200445 k 4500 | ||
001 | 0009279955▲ | ||
005 | 20180520162233▲ | ||
007 | ta▲ | ||
008 | 090622s2009 ggk AC 001a kor▲ | ||
020 | ▼a9788930314060▼g93370▲ | ||
040 | ▼a221016▼c221016▼d221016▲ | ||
082 | 0 | ▼a370.109▼221▲ | |
090 | ▼a370.109▼b고234ㄱ▲ | ||
110 | ▼a고려대학교.▼b교육사철학연구모임▲ | ||
245 | 1 | 0 | ▼a교육사상의 역사/▼d고려대학교 교육사철학연구모임 편.▲ |
260 | ▼a파주:▼b집문당,▼c2009.▲ | ||
300 | ▼a294 p.;▼c20 cm.▲ | ||
500 | ▼a대표집필: 강선보, 한용진, 신창호▲ | ||
500 | ▼a집필진: 정훈, 강성훈, 장지원, 이윤범, 이화식, 김정화, 문혜림, 최승현, 윤선인, 이동윤, 김자중, 조경민, 홍기표▲ | ||
504 | ▼a참고문헌 : p.278-286▲ | ||
504 | ▼a색인 : p.287-291▲ | ||
520 | 3 | ▼a교육학에 큰 영향을 끼친 사상가 32명을 선정하여 이들의 간추린 생애, 기본 사상, 교육 사상, 교육적인 시사점을 서술하였다. 사상가들을 다루는 만큼 교육철학자들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스펜서, 톨스토이, 블룸, 브루너, 프로이트, 크루프스카야 등 교육학의 다른 영역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 인물들까지 두루 망라하고 있다. 교육학에 영향을 끼친 사상가들은 오늘날과 같은 특정 학문분야 테두리 내에서 자신의 이론을 펼치지 않았으며, 오히려 ‘인간과 사회’라는 큰 틀에서 교육을 이해했다. 이 책의 저자들 역시 거시적인 관점에서 교육사상가들을 이해할 때 교육학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보았다. 많은 사상가들을 다룬 만큼 깊이 있는 사유체계를 전달하기보다는 사상가들의 핵심이론을 뽑아내어 주로 다루었으며 각 장의 말미에는 각 사상가 교육사상의 현대적 의의를 서술하여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다. 또한 책의 끝부분에는 ‘교육사상의 계보도’를 수록하여, 오늘날 우리가 보는 교육학이 어떤 역사적 과정과 경로를 통해 형성되었는지를 보다 쉽게 이해하도록 하였다. 교육 및 교육학에 대한 책들은 이미 시중에 많이 나와 있고, 다양한 교육사상가들의 사상을 엮은 책도 그 수가 점차 늘고 있다. 그러나 교육학을 체계적으로 공부하려는 학생들에게 필요한 책은 아직은 찾기 어렵다. 학자들의 사상을 간편하면서도 알기 쉽게 서술하는 동시에 교육학의 체계를 제시하려 했다는 점에서, 이 책은 임용고시 등 교육학을 처음으로 공부하는 교육학 입문자들에게 좋은 지침서가 될 것이다▲ | |
700 | 1 | ▼a정훈▲ | |
700 | 1 | ▼a이윤범▲ | |
700 | 1 | ▼a김정화▲ | |
700 | 1 | ▼a문혜림▲ | |
700 | 1 | ▼a최승현▲ | |
700 | 1 | ▼a윤선인▲ | |
700 | 1 | ▼a신창호,▼g申昌鎬,▼d1964-▼0282158▲ | |
700 | 1 | ▼a강선보,▼g姜善甫,▼d1954-▼0224519▲ | |
700 | 1 | ▼a한용진,▼g韓龍震,▼d1959-▼010027▲ | |
700 | 1 | ▼a이동윤,▼d1966-▼0193253▲ | |
700 | 1 | ▼a장지원,▼d1978-▼052481▲ | |
700 | 1 | ▼a이화식,▼d1971-▼03482▲ | |
700 | 1 | ▼a강성훈,▼g姜成勳,▼d1974-▼0310168▲ | |
700 | 1 | ▼a조경민,▼g趙倞敏▼0173582▲ | |
700 | 1 | ▼a김자중▼0173575▲ | |
700 | 1 | ▼a홍기표▼0194256▲ | |
950 | 0 | ▼b₩12000▲ | |
999 | ▼a안정화▼b장숙희▲ |

교육사상의 역사
Document Type
Domestic Book
Title
교육사상의 역사 / 고려대학교 교육사철학연구모임 편.
개인저자
Publication
파주 : 집문당 , 2009.
Physical Description
294 p. ; 20 cm.
General Note
대표집필: 강선보, 한용진, 신창호
집필진: 정훈, 강성훈, 장지원, 이윤범, 이화식, 김정화, 문혜림, 최승현, 윤선인, 이동윤, 김자중, 조경민, 홍기표
집필진: 정훈, 강성훈, 장지원, 이윤범, 이화식, 김정화, 문혜림, 최승현, 윤선인, 이동윤, 김자중, 조경민, 홍기표
Bibliography Note
참고문헌 : p.278-286/색인 : p.287-291/
Summary Note
교육학에 큰 영향을 끼친 사상가 32명을 선정하여 이들의 간추린 생애, 기본 사상, 교육 사상, 교육적인 시사점을 서술하였다. 사상가들을 다루는 만큼 교육철학자들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스펜서, 톨스토이, 블룸, 브루너, 프로이트, 크루프스카야 등 교육학의 다른 영역을 형성하는 데 기여한 인물들까지 두루 망라하고 있다. 교육학에 영향을 끼친 사상가들은 오늘날과 같은 특정 학문분야 테두리 내에서 자신의 이론을 펼치지 않았으며, 오히려 ‘인간과 사회’라는 큰 틀에서 교육을 이해했다. 이 책의 저자들 역시 거시적인 관점에서 교육사상가들을 이해할 때 교육학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고 보았다. 많은 사상가들을 다룬 만큼 깊이 있는 사유체계를 전달하기보다는 사상가들의 핵심이론을 뽑아내어 주로 다루었으며 각 장의 말미에는 각 사상가 교육사상의 현대적 의의를 서술하여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다. 또한 책의 끝부분에는 ‘교육사상의 계보도’를 수록하여, 오늘날 우리가 보는 교육학이 어떤 역사적 과정과 경로를 통해 형성되었는지를 보다 쉽게 이해하도록 하였다. 교육 및 교육학에 대한 책들은 이미 시중에 많이 나와 있고, 다양한 교육사상가들의 사상을 엮은 책도 그 수가 점차 늘고 있다. 그러나 교육학을 체계적으로 공부하려는 학생들에게 필요한 책은 아직은 찾기 어렵다. 학자들의 사상을 간편하면서도 알기 쉽게 서술하는 동시에 교육학의 체계를 제시하려 했다는 점에서, 이 책은 임용고시 등 교육학을 처음으로 공부하는 교육학 입문자들에게 좋은 지침서가 될 것이다
ISBN
9788930314060
Call Number
370.109 고234ㄱ
저자의 다른
저작물보기
저작물보기
Related information
Items
RReservation
AAbsent
VPreservation
CLoan Campus
QRush Cataloging
DDelivery Service
SSMS
PPrint
HHolding Journal DDS
Regist No. | Call number | Item location | Status | Expected return date | Service |
---|
Booktalk
Please feel free to read the book
and write your impressions.
글쓰기
and write your impressions.
Call Sign Browsing
Related Popular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