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alog
LDR | 01304cam a2200253 c 4500 | ||
001 | 0092135535▲ | ||
005 | 20221014162908▲ | ||
007 | ta▲ | ||
008 | 130506s2007 ulk b 001c kor ▲ | ||
020 | ▼a9788956262499▼g93810 :▼c₩20000▲ | ||
035 | ▼a(KERIS)BIB000010938622▲ | ||
040 | ▼a211040▼c211040▼d221016▲ | ||
082 | 0 | 4 | ▼a895.7▼223▲ |
085 | ▼a811.0905▼2부산대 동양관계항목전개표▲ | ||
090 | ▼a811.0905▼b민75ㅁ▲ | ||
110 | ▼a민족문학사연구소.▼b고전소설사연구반▲ | ||
245 | 1 | 0 | ▼a묻혀진 문학사의 복원 :▼b16세기 소설사 /▼d민족문학사연구소 고전소설사연구반 [편]▲ |
246 | 1 | 1 | ▼aThe study of history novel on 16th century▲ |
260 | ▼a서울 :▼b소명출판,▼c2007▲ | ||
300 | ▼a367 p. ;▼c24 cm▲ | ||
500 | ▼a찾아보기: p. 363-367▲ | ||
504 | ▼a설명적.서지적 각주 수록▲ | ||
505 | 0 | 0 | ▼t16세기 소설사의 지형과 위상 : 이념의 서사, 흥미의 서사, 욕망의 서사 /▼d김현양 -- ▼t조선 전기 귀신이야기에 나타난 신이(神異) 인식의 의미 /▼d조현설 -- ▼t조선 전기 필기·패설·전기의 넘나듦 /▼d김준형 -- ▼t중국소설의 국내 유입과 향유 양상 /▼d윤세순 -- ▼t형식과 이데올로기의 불화 : 16세기 몽유록(夢遊錄)의 생성과 전개 /▼d조현설 -- ▼t소설 주해 작업의 현실적 기반 : 『전등신화구해(剪燈新話句解)』의 경우 /▼d신상필 -- ▼t표기문자 전화에 따른 16~17세기 소설 미학의 변이 양상 /▼d정출헌 -- ▼t「설공찬전(薛公讚傳)」 파동과 소설 인식의 추이 /▼d정환국 -- ▼t『기재기이(企齋記異)』의 성격과 위상 /▼d신상필 -- ▼t필기(筆記)의 새로운 국면 : 『기묘록(己卯錄)』·『용천담적기(龍泉談寂記)』 /▼d장영희 -- ▼t이념의 서사화, 「천군전(天君傳)」 /▼d장경남 -- ▼t대중화의식(對中華意識)의 구현체, 「최고운전(崔孤雲傳)」 /▼d조상우 -- ▼t「은아전(銀娥傳)」을 통해 본 인물전의 한 양상 /▼d한의숭 -- ▼t16세기 후반 소설사 전화의 징후와 「수성지(愁城誌)」 /▼d김현양▲ |
653 | ▼a한국고전문학론▼a서사문학사▼a문학사▼a한국고전소설론▼a소설사▲ | ||
700 | 1 | ▼a김현양▲ | |
700 | 1 | ▼a조현설▲ | |
700 | 1 | ▼a김준형▲ | |
700 | 1 | ▼a윤세순▲ | |
700 | 1 | ▼a신상필,▼g申相弼,▼d1972-▼0270034▲ | |
700 | 1 | ▼a정출헌▲ | |
700 | 1 | ▼a정환국▲ | |
700 | 1 | ▼a장영희▲ | |
700 | 1 | ▼a장경남▲ | |
700 | 1 | ▼a조상우▲ | |
700 | 1 | ▼a한의숭▲ | |
940 | 0 | ▼a십육세기 소설사▲ | |
940 | 0 | ▼a십육세기 소설사의 지형과 위상▲ | |
940 | 0 | ▼a형식과 이데올로기의 불화 : 십육세기 몽유록의 생성과 전개▲ | |
940 | 0 | ▼a16세기 후반 소설사 전화의 징후와 수성지▲ | |
999 | ▼c오수인▲ |

묻혀진 문학사의 복원 : 16세기 소설사
Document Type
Domestic Book
Title
묻혀진 문학사의 복원 : 16세기 소설사 / 민족문학사연구소 고전소설사연구반 [편]
Equal title
The study of history novel on 16th century
Publication
서울 : 소명출판 , 2007
Physical Description
367 p. ; 24 cm
General Note
찾아보기: p. 363-367
Bibliography Note
설명적.서지적 각주 수록
Formatted Contents Note
16세기 소설사의 지형과 위상 : 이념의 서사, 흥미의 서사, 욕망의 서사 / 김현양 -- 조선 전기 귀신이야기에 나타난 신이(神異) 인식의 의미 / 조현설 -- 조선 전기 필기·패설·전기의 넘나듦 / 김준형 -- 중국소설의 국내 유입과 향유 양상 / 윤세순 -- 형식과 이데올로기의 불화 : 16세기 몽유록(夢遊錄)의 생성과 전개 / 조현설 -- 소설 주해 작업의 현실적 기반 : 『전등신화구해(剪燈新話句解)』의 경우 / 신상필 -- 표기문자 전화에 따른 16~17세기 소설 미학의 변이 양상 / 정출헌 -- 「설공찬전(薛公讚傳)」 파동과 소설 인식의 추이 / 정환국 -- 『기재기이(企齋記異)』의 성격과 위상 / 신상필 -- 필기(筆記)의 새로운 국면 : 『기묘록(己卯錄)』·『용천담적기(龍泉談寂記)』 / 장영희 -- 이념의 서사화, 「천군전(天君傳)」 / 장경남 -- 대중화의식(對中華意識)의 구현체, 「최고운전(崔孤雲傳)」 / 조상우 -- 「은아전(銀娥傳)」을 통해 본 인물전의 한 양상 / 한의숭 -- 16세기 후반 소설사 전화의 징후와 「수성지(愁城誌)」 / 김현양
ISBN
9788956262499
Call Number
811.0905 민75ㅁ
저자의 다른
저작물보기
저작물보기
Items
RReservation
AAbsent
VPreservation
CLoan Campus
QRush Cataloging
DDelivery Service
SSMS
PPrint
HHolding Journal DDS
Regist No. | Call number | Item location | Status | Expected return date | Service |
---|
Booktalk
Please feel free to read the book
and write your impressions.
글쓰기
and write your impressions.
Call Sign Browsing
Related Popular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