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alog
LDR | 01540nam a2200229 c 4500 | ||
001 | 0092033607▲ | ||
005 | 20180520175213▲ | ||
007 | ta▲ | ||
008 | 031010s2000 ulk 001c kor ▲ | ||
020 | ▼a8949901120▼g93900 :▼c₩25000▲ | ||
035 | ▼a(KERIS)BIB000007922561▲ | ||
040 | ▼a221016▼c221016▲ | ||
085 | ▼a951▼2부산대 동양관계항목전개표▲ | ||
090 | ▼a951▼b한17ㅎAB▲ | ||
110 | ▼a한국사연구회▲ | ||
245 | 1 | 0 | ▼a韓國地方史 硏究의 現況과 課題 /▼d韓國史硏究會 編▲ |
260 | ▼a서울 :▼b景仁文化社,▼c2000▲ | ||
300 | ▼a471 p. ;▼c24 cm▲ | ||
440 | 0 | 0 | ▼a韓國史硏究叢書 ;▼v1▲ |
500 | ▼a색인: p. 462-471▲ | ||
505 | 0 | 0 | ▼t경기지역의 지방사 연구현황과 과제 /▼d조성을 -- ▼t수원 지방사 연구현황과 과제 / ▼d최홍규 -- ▼t강원지방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 ▼d오영교 -- ▼t충청지역의 지방사 연구현황과 과제 / ▼d신영우, ▼e김의환 -- ▼t영남지역 지방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 ▼d정진영 -- ▼t전남지방 향토사.지방사 연구의 추이 / ▼d고석규 -- ▼t제주 지방사 연구현황과 과제 / ▼d김동전 -- ▼t중국사에서의 지방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 ▼d정병철 -- ▼t일본의 <지방사>연구 논리의 추이 / ▼d이계황 -- ▼t방법으로서의 지방사 : 조선시기 '사족지배체제론'을 중심으로 / ▼d김현영 -- ▼t타자로서의 '지방'과 중앙의 헤게모니 : 지방'과 중앙의 이분구도에 기초한 지식 권력에 대한 비판 담론의 구축 / ▼d이훈상▲ |
999 | ▼c강설혜▲ |

韓國地方史 硏究의 現況과 課題
Document Type
Domestic Book
Title
韓國地方史 硏究의 現況과 課題 / 韓國史硏究會 編
Corporate Name
Publication
서울 : 景仁文化社 , 2000
Physical Description
471 p. ; 24 cm
Series Title
韓國史硏究叢書 ; 1
General Note
색인: p. 462-471
Formatted Contents Note
경기지역의 지방사 연구현황과 과제 / 조성을 -- 수원 지방사 연구현황과 과제 / 최홍규 -- 강원지방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 오영교 -- 충청지역의 지방사 연구현황과 과제 / 신영우 영남지역 지방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 정진영 -- 전남지방 향토사.지방사 연구의 추이 / 고석규 -- 제주 지방사 연구현황과 과제 / 김동전 -- 중국사에서의 지방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 정병철 -- 일본의 <지방사>연구 논리의 추이 / 이계황 -- 방법으로서의 지방사 : 조선시기 '사족지배체제론'을 중심으로 / 김현영 -- 타자로서의 '지방'과 중앙의 헤게모니 : 지방'과 중앙의 이분구도에 기초한 지식 권력에 대한 비판 담론의 구축 / 이훈상
ISBN
8949901120
Call Number
951 한17ㅎAB
Items
RReservation
AAbsent
VPreservation
CLoan Campus
QRush Cataloging
DDelivery Service
SSMS
PPrint
HHolding Journal DDS
Regist No. | Call number | Item location | Status | Expected return date | Service |
---|
Booktalk
Please feel free to read the book
and write your impressions.
글쓰기
and write your impressions.
Call Sign Browsing
Related Popular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