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alog
LDR | 01529namka2200469 k 4500 | ||
001 | 0000772428▲ | ||
005 | 20180519143802▲ | ||
007 | ta▲ | ||
008 | 060705s2006 ulk 000c kor ▲ | ||
020 | ▼a 8995782447 ▼g 93340▲ | ||
040 | ▼a 221016 ▼c 221016 ▼d 221016▲ | ||
082 | 0 | ▼a 327.51 ▼2 21▲ | |
090 | ▼a 327.51 ▼b 외16ㅅ▲ | ||
110 | ▼a 외교안보연구원▲ | ||
245 | 1 | 0 | ▼a 신 안보 환경과 한국 외교/▼d 외교안보연구원 편.▲ |
246 | 0 | 3 | ▼a 2005 정책연구과제 통합본▲ |
260 | ▼a 서울:▼b 외교안보연구원,▼c 2006.▲ | ||
300 | ▼a 531p;▼c 23cm.▲ | ||
505 | 0 | ▼a 1, 미국의 유라시아 전략 평가 및 시사점/김성한.- 2, 일본의 신 안보 정책과 미.일 동맹의 재편/윤덕민.- 3, 중국의 시각으 통해 본 미.중 관계 발전 추세와 한국의 대응/박두복.- 4,북핵 위기와 중국의 대북한 외교 평가/김흥규.- 5, 역내 다자안보 논의 동향 평가와 우리 외교정책에 대한 함의/이서항.- 6, EU 통합과 동아시아 공동체 구상에의 시사점/이동휘.- 7, 동아시아 정상회의(EAS)의 향후 전망과 과제/배긍찬.- 8, 한국의 바람직한 ODA 정책 방향/조용균.- 9, 한국의 대중앙아시아 외교 전략/고재남.- 10, 동북아 에너지 수급 위기 요인/인남식.- 11, 대미 원자력외교 선지화 방안 연구/전봉근.▲ | |
700 | 1 | ▼a 김성한▲ | |
700 | 1 | ▼a 윤덕민▲ | |
700 | 1 | ▼a 박두복▲ | |
700 | 1 | ▼a 김흥규▲ | |
700 | 1 | ▼a 이서항▲ | |
700 | 1 | ▼a 이동휘▲ | |
700 | 1 | ▼a 배긍찬▲ | |
700 | 1 | ▼a 조용균▲ | |
700 | 1 | ▼a 고재남▲ | |
700 | 1 | ▼a 인남식▲ | |
700 | 1 | ▼a 전봉근▲ | |
740 | ▼a 미국의 유라시아 전략 평가 및 시사점▲ | ||
740 | ▼a 일본의 신 안보 정책과 미.일 동맹의 재편▲ | ||
740 | ▼a 중국의 시각으 통해 본 미.중 관계 발전 추세와 한국의 대응▲ | ||
740 | ▼a 북핵 위기와 중국의 대북한 외교 평가▲ | ||
740 | ▼a 역내 다자안보 논의 동향 평가와 우리 외교정책에 대한 함의▲ | ||
740 | ▼a EU 통합과 동아시아 공동체 구상에의 시사점▲ | ||
740 | ▼a 동아시아 정상회의(EAS)의 향후 전망과 과제▲ | ||
740 | ▼a 한국의 바람직한 ODA 정책 방향▲ | ||
740 | ▼a 한국의 대중앙아시아 외교 전략▲ | ||
740 | ▼a 동북아 에너지 수급 위기 요인▲ | ||
740 | ▼a 대미 원자력외교 선지화 방안 연구▲ | ||
999 | ▼b 정영희▲ |

신 안보 환경과 한국 외교
Document Type
Domestic Book
Title
신 안보 환경과 한국 외교 / 외교안보연구원 편.
Other title
2005 정책연구과제 통합본
부출서명
미국의 유라시아 전략 평가 및 시사점
일본의 신 안보 정책과 미.일 동맹의 재편
중국의 시각으 통해 본 미.중 관계 발전 추세와 한국의 대응
북핵 위기와 중국의 대북한 외교 평가
역내 다자안보 논의 동향 평가와 우리 외교정책에 대한 함의
EU 통합과 동아시아 공동체 구상에의 시사점
동아시아 정상회의(EAS)의 향후 전망과 과제
한국의 바람직한 ODA 정책 방향
한국의 대중앙아시아 외교 전략
동북아 에너지 수급 위기 요인
대미 원자력외교 선지화 방안 연구
일본의 신 안보 정책과 미.일 동맹의 재편
중국의 시각으 통해 본 미.중 관계 발전 추세와 한국의 대응
북핵 위기와 중국의 대북한 외교 평가
역내 다자안보 논의 동향 평가와 우리 외교정책에 대한 함의
EU 통합과 동아시아 공동체 구상에의 시사점
동아시아 정상회의(EAS)의 향후 전망과 과제
한국의 바람직한 ODA 정책 방향
한국의 대중앙아시아 외교 전략
동북아 에너지 수급 위기 요인
대미 원자력외교 선지화 방안 연구
Corporate Name
Publication
서울 : 외교안보연구원 , 2006.
Physical Description
531p ; 23cm.
Formatted Contents Note
1, 미국의 유라시아 전략 평가 및 시사점/김성한.- 2, 일본의 신 안보 정책과 미.일 동맹의 재편/윤덕민.- 3, 중국의 시각으 통해 본 미.중 관계 발전 추세와 한국의 대응/박두복.- 4,북핵 위기와 중국의 대북한 외교 평가/김흥규.- 5, 역내 다자안보 논의 동향 평가와 우리 외교정책에 대한 함의/이서항.- 6, EU 통합과 동아시아 공동체 구상에의 시사점/이동휘.- 7, 동아시아 정상회의(EAS)의 향후 전망과 과제/배긍찬.- 8, 한국의 바람직한 ODA 정책 방향/조용균.- 9, 한국의 대중앙아시아 외교 전략/고재남.- 10, 동북아 에너지 수급 위기 요인/인남식.- 11, 대미 원자력외교 선지화 방안 연구/전봉근.
ISBN
8995782447
Call Number
327.51 외16ㅅ
Items
RReservation
AAbsent
VPreservation
CLoan Campus
QRush Cataloging
DDelivery Service
SSMS
PPrint
HHolding Journal DDS
Regist No. | Call number | Item location | Status | Expected return date | Service |
---|
Booktalk
Please feel free to read the book
and write your impressions.
글쓰기
and write your impressions.
Call Sign Browsing
Related Popular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