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alog
LDR | 04102cam a2200829 c 4500 | ||
001 | 0000065944▲ | ||
005 | 20180521075522▲ | ||
007 | ta▲ | ||
008 | 950523m1994 ulka 000a korHC▲ | ||
020 | ▼a8982362193(v.1)▲ | ||
020 | ▼a8982362207(v.52)▲ | ||
020 | 1 | ▼a8982360026(세트)▲ | |
020 | 1 | ▼a8982360042(세트)▲ | |
040 | ▼221016▼d221016▲ | ||
056 | ▼a911.008▼22▲ | ||
085 | ▼a951 ▼2부산대 동양관계항목전개표▲ | ||
086 | ▼a11-1340167-000464-01▲ | ||
090 | ▼a951▼b한17ㄱA ▲ | ||
245 | 0 | 0 | ▼a한국사 /▼d국사편찬위원회 편▲ |
260 | ▼a서울 :▼b국사편찬위원회,▼c1994-▲ | ||
300 | ▼a책 :▼b삽도 ;▼c24 cm▲ | ||
500 | ▼a소장사항 : v.1, 536 p., 2002. - v. 2. 582 p., 1997. - v. 3. 584 p., 1997. - v. 4. 312 p., 1997. - v. 5, 232 p., 1996. - v. 6, 269 p., 1995. - v. 7. 441 p., 1997. - v. 8. 513 p., 1998. - v. 9. 650 p., 1998. - v. 10, 260 p., 1996. - v. 11, 245 p., 1996. - v. 15, 394 p., 1995. - v. 16, 394 p., 1994. - v. 17, 323 p., 1994. - v. 19, 430 p., 1996. - v. 20, 433 p., 1994. - v. 21, 616 p., 1996. - v. 22, 450 p., 1995 - v. 23, 401 p., 1994. - v. 24, 648 p., 1994. - v. 25, 409 p., 1994. - v. 26, 316 p., 1995. - v. 27, 621 p., 1996. - v. 28, 389 p., 1996. - v. 29, 316 p., 1995. - v. 30. 636 p., 1998. - v. 31, 662 p., 1998. - v. 32, 564 p., 1997. - v. 33, 500 p., 1997. - v. 34, 393 p., 1995. - v. 35, 672 p., 1998. - v. 36, 398 p., 1997. - v. 37, 349 p., 2000.- v. 38, 451 p., - v. 39. 525 p., - v.40, 327 p. 2000. - v. 41, 455 p., - v. 42. 405 p., - v. 43. 550 p. - v.44. 520 p. 2000. - v.45. 388 p. 2000 - v.46. 348 p. 2000. - v.47.436 p.2001. - v.48. 372 p. 2001. - v.49. 495 p. 2001. - v.50. 484 p. 2001. - v.51. 471 p. 2001. - v.52, 488 p., 2002.▲ | ||
504 | ▼a찾아보기 있음▲ | ||
505 | 1 | ▼a1. 총설. - 2,구석기문화와 신석기문화. - 3.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4, 초기국가 - 고조선ㆍ부여ㆍ삼한. - 5, 삼국의 정치와사회 I-고구려 - 6, 삼국의 정치와 사회 2- 백제. - 7. 삼국의 정치와 사회Ⅲ - 신라ㆍ가야. - 8, 삼국의 문화. - 9, 통일신라. - 10, 발해. - 11,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5, 고려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16,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9, 고려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 고려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 조선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26, 조선초기의 문화 1. - 27, 조선초기의 문화 II - 28. 조선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 조선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 조선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 조선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 조선후기의 정치. - 34, 조선후기의 사회. - 35, 조선후기의 문화. - 36, 조선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 서세동점과 문호개방. - v. 38, 개화와 수구의 갈등. - v. 39,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v.40,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v. 41,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v. 42, 대한제국. - v. 43, 국권회복운동. - v.44,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v.45-46, 신문화운동 I-II. - v.47,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v.48,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v.49,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v.50,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v.51,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v.52, 대한민국의 성립▲ | |
740 | ▼a총설 ▼n1▲ | ||
740 | ▼a구석기문화와 신석기문화 ▼n2▲ | ||
740 | ▼a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n3▲ | ||
740 | ▼a초기국가 - 고조선ㆍ부여ㆍ삼한 ▼n4▲ | ||
740 | ▼a삼국의 정치와 사회 1-고구려▼n5▲ | ||
740 | ▼a삼국의 정치와사 <- 백제.▼n6▲ | ||
740 | ▼a삼국의 정치와 사회Ⅲ - 신라ㆍ가야 ▼n7▲ | ||
740 | ▼a삼국의 문화▼n8▲ | ||
740 | ▼a통일신라▼n9▲ | ||
740 | ▼a발해▼n10▲ | ||
740 | ▼a신라의 쇠퇴와 후삼국▼n11▲ | ||
740 | ▼a고려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n15▲ | ||
740 | ▼a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n16▲ | ||
740 | ▼a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n17▲ | ||
740 | ▼a고려후기의 정치와 경제.▼n19▲ | ||
740 | ▼a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n20▲ | ||
740 | ▼a고려후기의 사상과 문화.▼n21▲ | ||
740 | ▼a조선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n22▲ | ||
740 | ▼a조선 초기의 정치구조.▼n23▲ | ||
740 | ▼a조선 초기의 경제구조.▼n24▲ | ||
740 | ▼a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n25▲ | ||
740 | ▼a조선초기의 문화.▼n26▲ | ||
740 | ▼a조선초기의 문화 II.▼n27▲ | ||
740 | ▼a조선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n28▲ | ||
740 | ▼a조선중기의 외침과 그대응.▼n29▲ | ||
740 | ▼a조선중기의 정치와 경제▼n30▲ | ||
740 | ▼a조선중기의 사회와 문화▼n31▲ | ||
740 | ▼a조선후기의 정치 ▼n32▲ | ||
740 | ▼a조선후기의 경제 ▼n33▲ | ||
740 | ▼a조선후기의 사회.▼n34▲ | ||
740 | ▼a조선후기의 문화▼n35▲ | ||
740 | ▼a조선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n36▲ | ||
740 | ▼a서세동점과 문호개방 ▼n37▲ | ||
740 | ▼a개화와 수구의 갈등▼n38▲ | ||
740 | ▼a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n39▲ | ||
740 | ▼a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
740 | ▼a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n41▲ | ||
740 | ▼a대한제국▼n42▲ | ||
740 | ▼a국권회복운동▼n43▲ | ||
740 | ▼a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n44▲ | ||
740 | ▼a신문화운동 ▼n45-46▲ | ||
740 | ▼a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n47▲ | ||
740 | ▼a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n48▲ | ||
740 | ▼a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n49▲ | ||
740 | ▼a전시체제와 민족운동 ▼n50▲ | ||
740 | ▼a민족문화의수호와 발전 ▼n51▲ | ||
740 | ▼a대한민국의 성립 ▼n52▲ | ||
999 | ▼a신주영▼b장숙희▼c김정이▲ |

한국사
Document Type
Domestic Book
Title
한국사 / 국사편찬위원회 편
부출서명
총설;1
구석기문화와 신석기문화;2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3
초기국가 - 고조선ㆍ부여ㆍ삼한;4
삼국의 정치와 사회 1-고구려;5
삼국의 정치와사 <- 백제.;6
삼국의 정치와 사회Ⅲ - 신라ㆍ가야;7
삼국의 문화;8
통일신라;9
발해;10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11
고려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15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16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17
고려후기의 정치와 경제.;19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20
고려후기의 사상과 문화.;21
조선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22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23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24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25
조선초기의 문화.;26
조선초기의 문화 II.;27
조선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28
조선중기의 외침과 그대응.;29
조선중기의 정치와 경제;30
조선중기의 사회와 문화;31
조선후기의 정치;32
조선후기의 경제;33
조선후기의 사회.;34
조선후기의 문화;35
조선후기 민중사회의 성장;36
서세동점과 문호개방;37
개화와 수구의 갈등;38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39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41
대한제국;42
국권회복운동;43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44
신문화운동;45-46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47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48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49
전시체제와 민족운동;50
민족문화의수호와 발전;51
대한민국의 성립;52
구석기문화와 신석기문화;2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3
초기국가 - 고조선ㆍ부여ㆍ삼한;4
삼국의 정치와 사회 1-고구려;5
삼국의 정치와사 <- 백제.;6
삼국의 정치와 사회Ⅲ - 신라ㆍ가야;7
삼국의 문화;8
통일신라;9
발해;10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11
고려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15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16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17
고려후기의 정치와 경제.;19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20
고려후기의 사상과 문화.;21
조선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22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23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24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25
조선초기의 문화.;26
조선초기의 문화 II.;27
조선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28
조선중기의 외침과 그대응.;29
조선중기의 정치와 경제;30
조선중기의 사회와 문화;31
조선후기의 정치;32
조선후기의 경제;33
조선후기의 사회.;34
조선후기의 문화;35
조선후기 민중사회의 성장;36
서세동점과 문호개방;37
개화와 수구의 갈등;38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39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41
대한제국;42
국권회복운동;43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44
신문화운동;45-46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47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48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49
전시체제와 민족운동;50
민족문화의수호와 발전;51
대한민국의 성립;52
Publication
서울 : 국사편찬위원회 , 1994-
Physical Description
책 : 삽도 ; 24 cm
General Note
소장사항 : v.1, 536 p., 2002. - v. 2. 582 p., 1997. - v. 3. 584 p., 1997. - v. 4. 312 p., 1997. - v. 5, 232 p., 1996. - v. 6, 269 p., 1995. - v. 7. 441 p., 1997. - v. 8. 513 p., 1998. - v. 9. 650 p., 1998. - v. 10, 260 p., 1996. - v. 11, 245 p., 1996. - v. 15, 394 p., 1995. - v. 16, 394 p., 1994. - v. 17, 323 p., 1994. - v. 19, 430 p., 1996. - v. 20, 433 p., 1994. - v. 21, 616 p., 1996. - v. 22, 450 p., 1995 - v. 23, 401 p., 1994. - v. 24, 648 p., 1994. - v. 25, 409 p., 1994. - v. 26, 316 p., 1995. - v. 27, 621 p., 1996. - v. 28, 389 p., 1996. - v. 29, 316 p., 1995. - v. 30. 636 p., 1998. - v. 31, 662 p., 1998. - v. 32, 564 p., 1997. - v. 33, 500 p., 1997. - v. 34, 393 p., 1995. - v. 35, 672 p., 1998. - v. 36, 398 p., 1997. - v. 37, 349 p., 2000.- v. 38, 451 p., - v. 39. 525 p., - v.40, 327 p. 2000. - v. 41, 455 p., - v. 42. 405 p., - v. 43. 550 p. - v.44. 520 p. 2000. - v.45. 388 p. 2000 - v.46. 348 p. 2000. - v.47.436 p.2001. - v.48. 372 p. 2001. - v.49. 495 p. 2001. - v.50. 484 p. 2001. - v.51. 471 p. 2001. - v.52, 488 p., 2002.
Bibliography Note
찾아보기 있음
Formatted Contents Note
1. 총설. - 2,구석기문화와 신석기문화. - 3.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4, 초기국가 - 고조선ㆍ부여ㆍ삼한. - 5, 삼국의 정치와사회 I-고구려 - 6, 삼국의 정치와 사회 2- 백제. - 7. 삼국의 정치와 사회Ⅲ - 신라ㆍ가야. - 8, 삼국의 문화. - 9, 통일신라. - 10, 발해. - 11,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5, 고려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16,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9, 고려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 고려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 조선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26, 조선초기의 문화 1. - 27, 조선초기의 문화 II - 28. 조선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 조선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 조선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 조선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 조선후기의 정치. - 34, 조선후기의 사회. - 35, 조선후기의 문화. - 36, 조선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 서세동점과 문호개방. - v. 38, 개화와 수구의 갈등. - v. 39,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v.40,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v. 41,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v. 42, 대한제국. - v. 43, 국권회복운동. - v.44,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v.45-46, 신문화운동 I-II. - v.47,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v.48,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v.49,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v.50,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v.51,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v.52, 대한민국의 성립
ISBN
8982362193(v.1)
8982362207(v.52)
8982360026(세트)
8982360042(세트)
8982362207(v.52)
8982360026(세트)
8982360042(세트)
Call Number
951 한17ㄱA
Items
RReservation
AAbsent
VPreservation
CLoan Campus
QRush Cataloging
DDelivery Service
SSMS
PPrint
HHolding Journal DDS
Regist No. | Call number | Item location | Status | Expected return date | Service |
---|
Booktalk
Please feel free to read the book
and write your impressions.
글쓰기
and write your impressions.
Call Sign Browsing
Related Popular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