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alog
LDR | 04969namka2201393 k 4500 | ||
001 | 0000608852▲ | ||
005 | 20180519000115▲ | ||
007 | ta▲ | ||
008 | 040520s2002 ulkc 000a kor ▲ | ||
020 | ▼a 8982066195(v.1)▲ | ||
020 | ▼a 8982066209(v.2)▲ | ||
020 | ▼a 8982066217(v.3)▲ | ||
020 | ▼a 8982066225(v.4,5,6,7)▲ | ||
020 | 1 | ▼a 8982066187(세트)▲ | |
040 | ▼a 221016 ▼d 221016▲ | ||
082 | 0 | ▼a 811.081 ▼2 21▲ | |
090 | ▼a 811.081 ▼b 장66ㅈ▲ | ||
100 | 1 | ▼a 장용학▲ | |
245 | 1 | 0 | ▼a 張龍鶴 文學 全集/▼d 장용학 지음 ;▼e 박창원 엮음 ▼n 1-7▲ |
260 | ▼a 서울:▼b 국학자료원,▼c 2002.▲ | ||
300 | ▼a 7 책.:▼b 사진;▼c 23 cm.▲ | ||
505 | 0 | ▼a v.1, 587 p., 단편소설 : 戱畵.- 地動說.- 未練素苗 .- 찢어진 '倫理學의 根本問題'.- 人間의 終焉 .- 無影塔 .- 氣象圖 .- 復活未遂 .-.-그늘지는 斜塔 .- 肉囚 .- 요한 詩集 .- 羅馬의 달 .- 死火山.- 逆流 .- 非人誕生.- 易姓序設 .- 大關嶺 .- 現代의 野 .- 遺皮 .-喪笠新話. v.2, 600 p., 중 ·단편소설, 희곡 : 孵化. - 世界史의 하루. - 形象化未遂. - 殘忍의 季節. - 傷痕. - 採菊記. - 扶餘에 죽다. - 山房夜話. - 假題 氷河紀行. - 氷河紀行. - 一部變更線近處. - 孝子點景. - v.3, 648 p., 장·중편소설 : 오늘의 風物考. - 何如歌行. - 천도시야비야. - 圓形의 傳說. - v.4, 724 p., 장편소설 : 太陽의 아들. - 靑銅紀. - v.5, 757 p., 장편소설, 산문집 : 流城. - 허구의 나라 일본. - v.6, 510 p. 에세이, 논쟁 : 作者의 말 모음. - 感傷的 ??. - 현대문학의 양상. - 한글 專用論이 意味하는 것. - 放談-뛰어 넘었느냐? 못 넘었느냐?. - 實在와 「요한 詩選」. - 形容詞의 나라 韓國. - 나는 왜 小說에 漢字를 쓰는가. - 追錄應募作品審査期. - 긴 眼目이라는 幽靈. - 국민문학을 위해서. - 百十五人의 ??(앙케트). - 不毛의 文學風士. - 主題性의 回復. - 誇張과 知性. - 大王. - 均衝感覺. - 言語의 混亂. - 弘益人間. - 횡설수설(신문잡기). - 코펠니크스的 轉回. - 善, 自由, 現代人. - 文化엔 反政付 없다. - 三 ·一 運動의 發端經緯에 대한 攷察. - 停止된 時間속에서. - 한글과 언어예술. - 近況. - 追億을 위하여. - 한글 神話의 虛構. - 데뷔작이 어떤 것인지 모르는 까닭. - 한글 專用의 理想鄕. - 混亂과 國民投票. - 한글 전용 정책과 이론. - 召命. - 通念. - 논쟁1: 사진은 예술이 아닌가. - 논쟁2: 喪笠神話 논쟁. - v.7, 510 p., 장용학 소설연구 : 장용학 소설 해설 / 박청원. - 어느 실존주의 작가의 체험 / 고은. - 寓話性과 '이데올로기' 비판 / 김윤식. - 에피메니드의 逆說. / 김현. - 이름 없는 世界에의 渴求 / 김현. - 人間疎外의 探究 / 신경득. - 實在와 自由-요한詩集 / 염무웅. - 아웃사이더의 反抗 / 이선영. - 主題와 方法 / 이어령. - 觀念論的 小說方法論 / 이어령. - 疎外된 人間의 悲劇 / 이철범. - 두 가지 態度의 混亂 / 이철범. - 아나키스트의 幻歌 / 임헌영. - 안타오스의 自由 / 천이두. - 역사철학적 알레고리로서의 장용학 소설 / 방민호. - 장용학소설에 나타난 모더니티 연구 / 박창원. - '근대'초월의 기획과 휴머니즘의 가능성 / 구재진. - 장용학 연보.▲ | |
700 | 1 | ▼a 박청원 ▼n 7 /▼t 장용학 소설 해설▲ | |
700 | 1 | ▼a 고은 ▼n 7/▼t 어느 실존주의 작가의 체험▲ | |
700 | 1 | ▼a 김윤식 ▼n 7 /▼t 寓話性과 '이데올로기' 비판▲ | |
700 | 1 | ▼a 김현 ▼n 7/▼t 에피메니드의 逆說▲ | |
700 | 1 | ▼a 김현 ▼n 7/▼t 이름 없는 世界에의 渴求▲ | |
700 | 1 | ▼a 신경득 ▼n 7/▼t 人間疎外의 探究▲ | |
700 | 1 | ▼a 염무웅 ▼n 7/▼t 實在와 自由-요한詩集▲ | |
700 | 1 | ▼a 이선영 ▼n 7/▼t 아웃사이더의 反抗▲ | |
700 | 1 | ▼a 이어령 ▼n 7/▼t 主題와 方法▲ | |
700 | 1 | ▼a 이어령 ▼n 7/▼t 觀念論的 小說方法論▲ | |
700 | 1 | ▼a 이철범 ▼n 7/▼t 疎外된 人間의 悲劇▲ | |
700 | 1 | ▼a 이철범 ▼n 7/▼t 두 가지 態度의 混亂▲ | |
700 | 1 | ▼a 임헌영 ▼n 7/▼t 아나키스트의 幻歌▲ | |
700 | 1 | ▼a 천이두 ▼n 7/▼t 안타오스의 自由▲ | |
700 | 1 | ▼a 방민호 ▼n 7/▼t 역사철학적 알레고리로서의 장용학 소설▲ | |
700 | 1 | ▼a 박창원 ▼n 7/▼t 장용학소설에 나타난 모더니티 연구▲ | |
700 | 1 | ▼a 구재진 ▼n 7/▼t '근대'초월의 기획과 휴머니즘의 가능성▲ | |
740 | ▼a 形象化未遂▼n 2▲ | ||
740 | ▼a 殘忍의 季節▼n 2▲ | ||
740 | ▼a 傷痕▼n 2▲ | ||
740 | ▼a 採菊記▼n 2▲ | ||
740 | ▼a 扶餘에 죽다▼n 2▲ | ||
740 | ▼a 山房夜話▼n 2▲ | ||
740 | ▼a 假題 氷河紀行▼n 2▲ | ||
740 | ▼a 氷河紀行▼n 2▲ | ||
740 | ▼a 一部變更線近處▼n 2▲ | ||
740 | ▼a 孝子點景▼n 2▲ | ||
740 | ▼a 오늘의 風物考▼n 3▲ | ||
740 | ▼a 何如歌行▼n 3▲ | ||
740 | ▼a 천도시야비야▼n 3▲ | ||
740 | ▼a 圓形의 傳說▼n 3▲ | ||
740 | ▼a 太陽의 아들 ▼n 4▲ | ||
740 | ▼a 靑銅紀▼n 4▲ | ||
740 | ▼a 流城▼n 5▲ | ||
740 | ▼a 허구의 나라 일본▼n 5▲ | ||
740 | ▼a 作者의 말 모음▼n 6▲ | ||
740 | ▼a 感傷的 ??▼n 6▲ | ||
740 | ▼a 현대문학의 양상▼n 6▲ | ||
740 | ▼a 한?*專用論이 意味하는 것▼n 6▲ | ||
740 | ▼a 放談-뛰어 넘었느냐? 못 넘었느냐?▼n 6▲ | ||
740 | ▼a 實在와 「요한 詩選」▼n 6▲ | ||
740 | ▼a 形容詞의 나라 韓國▼n 6▲ | ||
740 | ▼a 나는 왜 小說에 漢字를 쓰는가▼n 6▲ | ||
740 | ▼a 追錄應募作品審査期▼n 6▲ | ||
740 | ▼a 긴 眼目이라는 幽靈▼n 6▲ | ||
740 | ▼a 국민문학을 위해서▼n 6▲ | ||
740 | ▼a 百十五人의 ??앙케트)▼n 6▲ | ||
740 | ▼a 不毛의 文學風士▼n 6▲ | ||
740 | ▼a 主題性의 回復▼n 6▲ | ||
740 | ▼a 誇張과 知性▼n 6▲ | ||
740 | ▼a 大王▼n 6▲ | ||
740 | ▼a 均衝感覺▼n 6▲ | ||
740 | ▼a 言語의 混亂▼n 6▲ | ||
740 | ▼a 弘益人間▼n 6▲ | ||
740 | ▼a 횡설수설(신문잡기) ▼n 6▲ | ||
740 | ▼a 코펠니크스的 轉回 ▼n 6▲ | ||
740 | ▼a 善, 自由, 現代人 ▼n 6▲ | ||
740 | ▼a 文化엔 反政付 없다▲ | ||
740 | ▼a 三 ·一 運動의 發端經緯에 대한 攷察 ▼n 6▲ | ||
740 | ▼a 停止된 時間속에서 ▼n 6▲ | ||
740 | ▼a 한글과 언어예술 ▼n 6▲ | ||
740 | ▼a 近況 ▼n 6▲ | ||
740 | ▼a 追億을 위하여 ▼n 6▲ | ||
740 | ▼a 한글 神話의 虛構 ▼n 6▲ | ||
740 | ▼a 데뷔작이 어떤 것인지 모르는 까닭 ▼n 6▲ | ||
740 | ▼a 한글 專用의 理想鄕 ▼n 6▲ | ||
740 | ▼a 混亂과 國民投票 ▼n 6▲ | ||
740 | ▼a 한글 전용 정책과 이론 ▼n 6▲ | ||
740 | ▼a 召命 ▼n 6▲ | ||
740 | ▼a 通念▲ | ||
740 | ▼a 논쟁1: 사진은 예술이 아닌가 ▼n 6▲ | ||
740 | ▼a 논쟁2: 喪笠神話 논쟁 ▼n 6▲ | ||
740 | 1 | ▼a 장용학 연보 ▼n 7▲ | |
740 | ▼a 戱畵▼n 1▲ | ||
740 | ▼a 地動說▼n 1▲ | ||
740 | ▼a 未練素苗▼n 1▲ | ||
740 | ▼a 喪笠新話▼n 1▲ | ||
740 | ▼a 遺皮▼n 1▲ | ||
740 | ▼a 現代의 野▼n 1▲ | ||
740 | ▼a 찢어진 '倫理學의 根本問題'▼n 1▲ | ||
740 | ▼a 人間의 終焉▼n 1▲ | ||
740 | ▼a 無影塔▼n 1▲ | ||
740 | ▼a 氣象圖 ▼n 1▲ | ||
740 | ▼a 大關嶺 ▼n 1▲ | ||
740 | ▼a 요한 詩集▼n 1▲ | ||
740 | ▼a 肉囚▼n 1▲ | ||
740 | ▼a 그늘지는 斜塔▼n 1▲ | ||
740 | ▼a 復活未遂 ▼n 1▲ | ||
740 | ▼a 羅馬의 달▼n 1▲ | ||
740 | ▼a 死火山▼n 1▲ | ||
740 | ▼a 逆流▼n 1▲ | ||
740 | ▼a 非人誕生▼n 1▲ | ||
740 | ▼a 易姓序設▼n 1▲ | ||
740 | ▼a 孵化▲ | ||
740 | ▼a 世界史의 하루▼n 2▲ | ||
950 | 0 | ▼c ₩250000(세트)▲ | |
999 | ▼b 장영남▲ |

張龍鶴 文學 全集 1-7
Document Type
Domestic Book
Title
張龍鶴 文學 全集 / 장용학 지음 ; 박창원 엮음 1-7
부출서명
形象化未遂;2
殘忍의 季節;2
傷痕;2
採菊記;2
扶餘에 죽다;2
山房夜話;2
假題 氷河紀行;2
氷河紀行;2
一部變更線近處;2
孝子點景;2
오늘의 風物考;3
何如歌行;3
천도시야비야;3
圓形의 傳說;3
太陽의 아들;4
靑銅紀;4
流城;5
허구의 나라 일본;5
作者의 말 모음;6
感傷的 ??;6
현대문학의 양상;6
한?*專用論이 意味하는 것;6
放談-뛰어 넘었느냐? 못 넘었느냐?;6
實在와 「요한 詩選」;6
形容詞의 나라 韓國;6
나는 왜 小說에 漢字를 쓰는가;6
追錄應募作品審査期;6
긴 眼目이라는 幽靈;6
국민문학을 위해서;6
百十五人의 ??앙케트);6
不毛의 文學風士;6
主題性의 回復;6
誇張과 知性;6
大王;6
均衝感覺;6
言語의 混亂;6
弘益人間;6
횡설수설(신문잡기);6
코펠니크스的 轉回;6
善, 自由, 現代人;6
文化엔 反政付 없다
三 ·一 運動의 發端經緯에 대한 攷察;6
停止된 時間속에서;6
한글과 언어예술;6
近況;6
追億을 위하여;6
한글 神話의 虛構;6
데뷔작이 어떤 것인지 모르는 까닭;6
한글 專用의 理想鄕;6
混亂과 國民投票;6
한글 전용 정책과 이론;6
召命;6
通念
논쟁1: 사진은 예술이 아닌가;6
논쟁2: 喪笠神話 논쟁;6
장용학 연보;7
戱畵;1
地動說;1
未練素苗;1
喪笠新話;1
遺皮;1
現代의 野;1
찢어진 '倫理學의 根本問題';1
人間의 終焉;1
無影塔;1
氣象圖;1
大關嶺;1
요한 詩集;1
肉囚;1
그늘지는 斜塔;1
復活未遂;1
羅馬의 달;1
死火山;1
逆流;1
非人誕生;1
易姓序設;1
孵化
世界史의 하루;2
殘忍의 季節;2
傷痕;2
採菊記;2
扶餘에 죽다;2
山房夜話;2
假題 氷河紀行;2
氷河紀行;2
一部變更線近處;2
孝子點景;2
오늘의 風物考;3
何如歌行;3
천도시야비야;3
圓形의 傳說;3
太陽의 아들;4
靑銅紀;4
流城;5
허구의 나라 일본;5
作者의 말 모음;6
感傷的 ??;6
현대문학의 양상;6
한?*專用論이 意味하는 것;6
放談-뛰어 넘었느냐? 못 넘었느냐?;6
實在와 「요한 詩選」;6
形容詞의 나라 韓國;6
나는 왜 小說에 漢字를 쓰는가;6
追錄應募作品審査期;6
긴 眼目이라는 幽靈;6
국민문학을 위해서;6
百十五人의 ??앙케트);6
不毛의 文學風士;6
主題性의 回復;6
誇張과 知性;6
大王;6
均衝感覺;6
言語의 混亂;6
弘益人間;6
횡설수설(신문잡기);6
코펠니크스的 轉回;6
善, 自由, 現代人;6
文化엔 反政付 없다
三 ·一 運動의 發端經緯에 대한 攷察;6
停止된 時間속에서;6
한글과 언어예술;6
近況;6
追億을 위하여;6
한글 神話의 虛構;6
데뷔작이 어떤 것인지 모르는 까닭;6
한글 專用의 理想鄕;6
混亂과 國民投票;6
한글 전용 정책과 이론;6
召命;6
通念
논쟁1: 사진은 예술이 아닌가;6
논쟁2: 喪笠神話 논쟁;6
장용학 연보;7
戱畵;1
地動說;1
未練素苗;1
喪笠新話;1
遺皮;1
現代의 野;1
찢어진 '倫理學의 根本問題';1
人間의 終焉;1
無影塔;1
氣象圖;1
大關嶺;1
요한 詩集;1
肉囚;1
그늘지는 斜塔;1
復活未遂;1
羅馬의 달;1
死火山;1
逆流;1
非人誕生;1
易姓序設;1
孵化
世界史의 하루;2
개인저자
장용학
박청원 7 / 장용학 소설 해설
고은 7 / 어느 실존주의 작가의 체험
김윤식 7 / 寓話性과 '이데올로기' 비판
김현 7 / 에피메니드의 逆說
김현 7 / 이름 없는 世界에의 渴求
신경득 7 / 人間疎外의 探究
염무웅 7 / 實在와 自由-요한詩集
이선영 7 / 아웃사이더의 反抗
이어령 7 / 主題와 方法
이어령 7 / 觀念論的 小說方法論
이철범 7 / 疎外된 人間의 悲劇
이철범 7 / 두 가지 態度의 混亂
임헌영 7 / 아나키스트의 幻歌
천이두 7 / 안타오스의 自由
방민호 7 / 역사철학적 알레고리로서의 장용학 소설
박창원 7 / 장용학소설에 나타난 모더니티 연구
구재진 7 / '근대'초월의 기획과 휴머니즘의 가능성
박청원 7 / 장용학 소설 해설
고은 7 / 어느 실존주의 작가의 체험
김윤식 7 / 寓話性과 '이데올로기' 비판
김현 7 / 에피메니드의 逆說
김현 7 / 이름 없는 世界에의 渴求
신경득 7 / 人間疎外의 探究
염무웅 7 / 實在와 自由-요한詩集
이선영 7 / 아웃사이더의 反抗
이어령 7 / 主題와 方法
이어령 7 / 觀念論的 小說方法論
이철범 7 / 疎外된 人間의 悲劇
이철범 7 / 두 가지 態度의 混亂
임헌영 7 / 아나키스트의 幻歌
천이두 7 / 안타오스의 自由
방민호 7 / 역사철학적 알레고리로서의 장용학 소설
박창원 7 / 장용학소설에 나타난 모더니티 연구
구재진 7 / '근대'초월의 기획과 휴머니즘의 가능성
Publication
서울 : 국학자료원 , 2002.
Physical Description
7 책. : 사진 ; 23 cm.
Formatted Contents Note
v.1, 587 p., 단편소설 : 戱畵.- 地動說.- 未練素苗 .- 찢어진 '倫理學의 根本問題'.- 人間의 終焉 .- 無影塔 .- 氣象圖 .- 復活未遂 .-.-그늘지는 斜塔 .- 肉囚 .- 요한 詩集 .- 羅馬의 달 .- 死火山.- 逆流 .- 非人誕生.- 易姓序設 .- 大關嶺 .- 現代의 野 .- 遺皮 .-喪笠新話. v.2, 600 p., 중 ·단편소설, 희곡 : 孵化. - 世界史의 하루. - 形象化未遂. - 殘忍의 季節. - 傷痕. - 採菊記. - 扶餘에 죽다. - 山房夜話. - 假題 氷河紀行. - 氷河紀行. - 一部變更線近處. - 孝子點景. - v.3, 648 p., 장·중편소설 : 오늘의 風物考. - 何如歌行. - 천도시야비야. - 圓形의 傳說. - v.4, 724 p., 장편소설 : 太陽의 아들. - 靑銅紀. - v.5, 757 p., 장편소설, 산문집 : 流城. - 허구의 나라 일본. - v.6, 510 p. 에세이, 논쟁 : 作者의 말 모음. - 感傷的 ??. - 현대문학의 양상. - 한글 專用論이 意味하는 것. - 放談-뛰어 넘었느냐? 못 넘었느냐?. - 實在와 「요한 詩選」. - 形容詞의 나라 韓國. - 나는 왜 小說에 漢字를 쓰는가. - 追錄應募作品審査期. - 긴 眼目이라는 幽靈. - 국민문학을 위해서. - 百十五人의 ??(앙케트). - 不毛의 文學風士. - 主題性의 回復. - 誇張과 知性. - 大王. - 均衝感覺. - 言語의 混亂. - 弘益人間. - 횡설수설(신문잡기). - 코펠니크스的 轉回. - 善, 自由, 現代人. - 文化엔 反政付 없다. - 三 ·一 運動의 發端經緯에 대한 攷察. - 停止된 時間속에서. - 한글과 언어예술. - 近況. - 追億을 위하여. - 한글 神話의 虛構. - 데뷔작이 어떤 것인지 모르는 까닭. - 한글 專用의 理想鄕. - 混亂과 國民投票. - 한글 전용 정책과 이론. - 召命. - 通念. - 논쟁1: 사진은 예술이 아닌가. - 논쟁2: 喪笠神話 논쟁. - v.7, 510 p., 장용학 소설연구 : 장용학 소설 해설 / 박청원. - 어느 실존주의 작가의 체험 / 고은. - 寓話性과 '이데올로기' 비판 / 김윤식. - 에피메니드의 逆說. / 김현. - 이름 없는 世界에의 渴求 / 김현. - 人間疎外의 探究 / 신경득. - 實在와 自由-요한詩集 / 염무웅. - 아웃사이더의 反抗 / 이선영. - 主題와 方法 / 이어령. - 觀念論的 小說方法論 / 이어령. - 疎外된 人間의 悲劇 / 이철범. - 두 가지 態度의 混亂 / 이철범. - 아나키스트의 幻歌 / 임헌영. - 안타오스의 自由 / 천이두. - 역사철학적 알레고리로서의 장용학 소설 / 방민호. - 장용학소설에 나타난 모더니티 연구 / 박창원. - '근대'초월의 기획과 휴머니즘의 가능성 / 구재진. - 장용학 연보.
ISBN
8982066195(v.1)
8982066209(v.2)
8982066217(v.3)
8982066225(v.4,5,6,7)
8982066187(세트)
8982066209(v.2)
8982066217(v.3)
8982066225(v.4,5,6,7)
8982066187(세트)
Call Number
811.081 장66ㅈ
Items
RReservation
AAbsent
VPreservation
CLoan Campus
QRush Cataloging
DDelivery Service
SSMS
PPrint
HHolding Journal DDS
Regist No. | Call number | Item location | Status | Expected return date | Service |
---|
Booktalk
Please feel free to read the book
and write your impressions.
글쓰기
and write your impressions.
Call Sign Browsing
Related Popular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