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alog
LDR | 02121namka2200541 k 4500 | ||
001 | 0000556442▲ | ||
005 | 20180519092749▲ | ||
007 | ta▲ | ||
008 | 030111s1996 ulk 000a kor ▲ | ||
040 | ▼a 221016 ▼c 221016 ▼d 221016▲ | ||
082 | 0 | ▼a 811.36 ▼2 21▲ | |
090 | ▼a 811.36 ▼b 서75ㅎ▲ | ||
100 | 1 | ▼a 서종택▲ | |
245 | 1 | 0 | ▼a 한국현대소설연구/▼d 서종택 ;▼e 정덕준 [공편]▲ |
250 | ▼a 修正版▲ | ||
260 | ▼a 서울:▼b 새문社,▼c 1996.▲ | ||
300 | ▼a 626 p.;▼c 23 cm.▲ | ||
505 | 0 | ▼a 이광수의 초기소설/김춘섭. - 이광수의 장편소설/한승옥. - 김동인소설의 시점/김영화. - 김동인소설에서의 여성의 삶과 사회구조/송명희. - 전영택소설의 인물/송하춘. - 염상섭소설의 전개/최시한. - 현진건소설의 역사의식 형성/한상무. - 현진건의 현실인식과 반어의 한계/신희교. - <濁流>와<太平天下>의 인물/김현기. - 반어와 풍자의 세계/김진석. - 박태원소설에서의 도시적 삶/정덕준. - 최서해소설의 시대적 의미/신춘호. - 이익상의 소설과 신경향파/김철. - 조명희의 작품세계와 그 변모과정/이강옥. - 이기영의 소설과 농촌현실의 발견/장성수. - 닫힌 시대와 역사에 대한 소설적 전망/현길언. - 김유정소설에서의 해학과 골계/한용환. - 이무영의 농민소설/이동희. - 이상의 시간의식 또는 자유의지/정덕준. - 이태준의 단편소설/서종택. - 이태준의 소설세계/공종구. - 이효석의<山峽>/이혜경. - 김동리의 초기 소설/서종택. - 황순원소설에서의 존재의 아름다움과 외로움/이남호. - 오영수 소설의 작품 세계/장사선. - 김성한 문학과 沒意識의 세계/전영태. - 손창섭소설의 구조/이기인.▲ | |
700 | 1 | ▼a 정덕준▲ | |
700 | 1 | ▼a 김춘섭/▼t 이광수의 초기소설▲ | |
700 | 1 | ▼a 한?¹옥/▼t 이광수의 장편소설▲ | |
700 | 1 | ▼a 김영화/▼t 김동인소설의 시점▲ | |
700 | 1 | ▼a 송명희/▼t 김동인소설에서의 여성의 삶과 사회구조▲ | |
700 | 1 | ▼a 송하춘/▼t 전영택소설의 인물▲ | |
700 | 1 | ▼a 최시한/▼t 염상섭소설의 전개▲ | |
700 | 1 | ▼a 한상무/▼t 현진건소설의 역사의식 형성▲ | |
700 | 1 | ▼a 신희교/▼t 현진건의 현실인식과 반어의 한계▲ | |
700 | 1 | ▼a 전현기/▼t <濁流>와<太平天下>의 인물▲ | |
700 | 1 | ▼a 김진석/▼t 반어와 풍자의 세계▲ | |
700 | 1 | ▼a 정덕준/▼t 박태원소설에서의 도시적 삶▲ | |
700 | 1 | ▼a 신춘호/▼t 최서해소설의 시대적 의미▲ | |
700 | 1 | ▼a 김철/▼t 이익상의 소설과 신경향파▲ | |
700 | 1 | ▼a 이강옥/▼t 조명희의 작품세계와 그 변모과정▲ | |
700 | 1 | ▼a 장성수/▼t 이기영의 소설과 농촌현실의 발견▲ | |
700 | 1 | ▼a 현길언/▼t 닫힌 시대와 역사에 대한 소설적 전망▲ | |
700 | 1 | ▼a 한용환/▼t 김유정소설에서의 해학과 골계▲ | |
700 | 1 | ▼a 이동희/▼t 이무영의 농민소설▲ | |
700 | 1 | ▼a 장덕준/▼t 이상의 시간의식 또는 자유의지▲ | |
700 | 1 | ▼a 서종택/▼t 이태준의 단편소설▲ | |
700 | 1 | ▼a 공종구/▼t 이태준의 소설세계▲ | |
700 | 1 | ▼a 이혜경/▼t 이효석의<山峽>▲ | |
700 | 1 | ▼a 서종택/▼t 김동리의 초기 소설▲ | |
700 | 1 | ▼a 이남호/▼t 황순원소설에서의 존재의 아름다움과 외로움▲ | |
700 | 1 | ▼a 장사선/▼t 오영수 소설의 작품 세계▲ | |
700 | 1 | ▼a 전영태/▼t 김성한 문학과 沒意識의 세계▲ | |
700 | 1 | ▼a 이기인/▼t 손창섭소설의 구조▲ | |
950 | 0 | ▼b ₩15000▲ | |
999 | ▼a 도양희▼b 도양희▲ |

한국현대소설연구
Document Type
Domestic Book
Title
한국현대소설연구 / 서종택 ; 정덕준 [공편]
개인저자
서종택
정덕준
김춘섭 / 이광수의 초기소설
한?¹옥 / 이광수의 장편소설
김영화 / 김동인소설의 시점
송명희 / 김동인소설에서의 여성의 삶과 사회구조
송하춘 / 전영택소설의 인물
최시한 / 염상섭소설의 전개
한상무 / 현진건소설의 역사의식 형성
신희교 / 현진건의 현실인식과 반어의 한계
전현기 / <濁流>와<太平天下>의 인물
김진석 / 반어와 풍자의 세계
정덕준 / 박태원소설에서의 도시적 삶
신춘호 / 최서해소설의 시대적 의미
김철 / 이익상의 소설과 신경향파
이강옥 / 조명희의 작품세계와 그 변모과정
장성수 / 이기영의 소설과 농촌현실의 발견
현길언 / 닫힌 시대와 역사에 대한 소설적 전망
한용환 / 김유정소설에서의 해학과 골계
이동희 / 이무영의 농민소설
장덕준 / 이상의 시간의식 또는 자유의지
서종택 / 이태준의 단편소설
공종구 / 이태준의 소설세계
이혜경 / 이효석의<山峽>
서종택 / 김동리의 초기 소설
이남호 / 황순원소설에서의 존재의 아름다움과 외로움
장사선 / 오영수 소설의 작품 세계
전영태 / 김성한 문학과 沒意識의 세계
이기인 / 손창섭소설의 구조
정덕준
김춘섭 / 이광수의 초기소설
한?¹옥 / 이광수의 장편소설
김영화 / 김동인소설의 시점
송명희 / 김동인소설에서의 여성의 삶과 사회구조
송하춘 / 전영택소설의 인물
최시한 / 염상섭소설의 전개
한상무 / 현진건소설의 역사의식 형성
신희교 / 현진건의 현실인식과 반어의 한계
전현기 / <濁流>와<太平天下>의 인물
김진석 / 반어와 풍자의 세계
정덕준 / 박태원소설에서의 도시적 삶
신춘호 / 최서해소설의 시대적 의미
김철 / 이익상의 소설과 신경향파
이강옥 / 조명희의 작품세계와 그 변모과정
장성수 / 이기영의 소설과 농촌현실의 발견
현길언 / 닫힌 시대와 역사에 대한 소설적 전망
한용환 / 김유정소설에서의 해학과 골계
이동희 / 이무영의 농민소설
장덕준 / 이상의 시간의식 또는 자유의지
서종택 / 이태준의 단편소설
공종구 / 이태준의 소설세계
이혜경 / 이효석의<山峽>
서종택 / 김동리의 초기 소설
이남호 / 황순원소설에서의 존재의 아름다움과 외로움
장사선 / 오영수 소설의 작품 세계
전영태 / 김성한 문학과 沒意識의 세계
이기인 / 손창섭소설의 구조
Edition
修正版
Publication
서울 : 새문社 , 1996.
Physical Description
626 p. ; 23 cm.
Formatted Contents Note
이광수의 초기소설/김춘섭. - 이광수의 장편소설/한승옥. - 김동인소설의 시점/김영화. - 김동인소설에서의 여성의 삶과 사회구조/송명희. - 전영택소설의 인물/송하춘. - 염상섭소설의 전개/최시한. - 현진건소설의 역사의식 형성/한상무. - 현진건의 현실인식과 반어의 한계/신희교. - <濁流>와<太平天下>의 인물/김현기. - 반어와 풍자의 세계/김진석. - 박태원소설에서의 도시적 삶/정덕준. - 최서해소설의 시대적 의미/신춘호. - 이익상의 소설과 신경향파/김철. - 조명희의 작품세계와 그 변모과정/이강옥. - 이기영의 소설과 농촌현실의 발견/장성수. - 닫힌 시대와 역사에 대한 소설적 전망/현길언. - 김유정소설에서의 해학과 골계/한용환. - 이무영의 농민소설/이동희. - 이상의 시간의식 또는 자유의지/정덕준. - 이태준의 단편소설/서종택. - 이태준의 소설세계/공종구. - 이효석의<山峽>/이혜경. - 김동리의 초기 소설/서종택. - 황순원소설에서의 존재의 아름다움과 외로움/이남호. - 오영수 소설의 작품 세계/장사선. - 김성한 문학과 沒意識의 세계/전영태. - 손창섭소설의 구조/이기인.
Call Number
811.36 서75ㅎ
Items
RReservation
AAbsent
VPreservation
CLoan Campus
QRush Cataloging
DDelivery Service
SSMS
PPrint
HHolding Journal DDS
Regist No. | Call number | Item location | Status | Expected return date | Service |
---|
Booktalk
Please feel free to read the book
and write your impressions.
글쓰기
and write your impressions.
Call Sign Browsing
Related Popular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