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alog
LDR | 01414namka2200361 k 4500 | ||
001 | 0000551301▲ | ||
005 | 20180519212920▲ | ||
007 | ta▲ | ||
008 | 021206s2002 ulk a kor ▲ | ||
020 | ▼a 8982066985▲ | ||
040 | ▼a 221016 ▼d 221016▲ | ||
082 | 0 | ▼a 811.3609 ▼2 21▲ | |
090 | ▼a 811.3609 ▼b 문91ㅊ▲ | ||
110 | ▼a 문학사와비평학회▲ | ||
245 | 1 | 0 | ▼a 최서해 문학의 재조명/▼d 문학사와 비평학회 著.▲ |
260 | ▼a 서울 :▼b 국학자료원,▼c 2002.▲ | ||
300 | ▼a 311 p.;▼c 23 cm.▲ | ||
504 | ▼a 참고문헌▲ | ||
505 | 0 | ▼a 연애편지의 세계상:1920년대 소설의 편지형식과 의사소통양상/권보드래. - 최서해 소설의 (탈)식민성 연구:식민지적 정신성의 문제를 중심으로/김병구. - 형식에의 동경: 김기진과 초기 신경향파 비평의 한 측면/차승기. - 신경향파 소설의 관념 형상화 유형/손정수. - 탈식민지적 서사로서 최서해 읽기/박훈하. - 최서해 소설 연구/박상준. - ‘시대정신’과 ‘풍속개량’의 대립과 타협:호외시대론/윤대석. - 염상섭과 프로문학/김경수. - 1920~30년대 한국 경향문학의‘근대성’비판/김외곤. - 한국 민족문학의 개념과 역사:민족문학론에 대한 한 소묘/서영채. - 현대소설 독법에서의 근대성의 무게/김원우.▲ | |
600 | 1 | 4 | ▼a 최서해,▼d 1901-1932▲ |
700 | 1 | ▼a 권보드래/▼p 1920년대 소설의 편지형식과 의사소통양상▼t 연애편지의 세계상▲ | |
700 | 1 | ▼a 김병구/▼p 식민지적 정신성의 문제를 중심으로▼t 최서해 소설의 (탈)식민성 연구▲ | |
700 | 1 | ▼a 차승기/▼p 김기진과 초기 신경향파 비평의 한 측면▼t 형식에의 동경▲ | |
700 | 1 | ▼a 손정수/▼t 신경향파 소설의 관념 형상화 유형▲ | |
700 | 1 | ▼a 박훈하/▼t 탈식민지적 서사로서 최서해 읽기▲ | |
700 | 1 | ▼a 박상준/▼t 최서해 소설 연구▲ | |
700 | 1 | ▼a 윤대석/▼p 호외시대론▼t 시대정신과 풍속개량의 대립과 타협▲ | |
700 | 1 | ▼a 김경수/▼t 염상섭과 프로문학▲ | |
700 | 1 | ▼a 김외곤/▼t 1920~30년대 한국 경향문학의 근대성 비판▲ | |
700 | 1 | ▼a 서영채/▼p 민족문학론에 대한 한 소묘▼t 한국 민족문학의 개념과 역사▲ | |
700 | 1 | ▼a 김원우/▼t 현대소설 독법에서의 근대성의 무게▲ | |
950 | 0 | ▼b ₩15000▲ | |
999 | ▼a 허성경▼b 허성경▲ |

최서해 문학의 재조명
Document Type
Domestic Book
Title
최서해 문학의 재조명 / 문학사와 비평학회 著.
개인저자
권보드래 / 1920년대 소설의 편지형식과 의사소통양상 연애편지의 세계상
김병구 / 식민지적 정신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최서해 소설의 (탈)식민성 연구
차승기 / 김기진과 초기 신경향파 비평의 한 측면 형식에의 동경
손정수 / 신경향파 소설의 관념 형상화 유형
박훈하 / 탈식민지적 서사로서 최서해 읽기
박상준 / 최서해 소설 연구
윤대석 / 호외시대론 시대정신과 풍속개량의 대립과 타협
김경수 / 염상섭과 프로문학
김외곤 / 1920~30년대 한국 경향문학의 근대성 비판
서영채 / 민족문학론에 대한 한 소묘 한국 민족문학의 개념과 역사
김원우 / 현대소설 독법에서의 근대성의 무게
김병구 / 식민지적 정신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최서해 소설의 (탈)식민성 연구
차승기 / 김기진과 초기 신경향파 비평의 한 측면 형식에의 동경
손정수 / 신경향파 소설의 관념 형상화 유형
박훈하 / 탈식민지적 서사로서 최서해 읽기
박상준 / 최서해 소설 연구
윤대석 / 호외시대론 시대정신과 풍속개량의 대립과 타협
김경수 / 염상섭과 프로문학
김외곤 / 1920~30년대 한국 경향문학의 근대성 비판
서영채 / 민족문학론에 대한 한 소묘 한국 민족문학의 개념과 역사
김원우 / 현대소설 독법에서의 근대성의 무게
Corporate Name
Publication
서울 : 국학자료원 , 2002.
Physical Description
311 p. ; 23 cm.
Bibliography Note
참고문헌
Formatted Contents Note
연애편지의 세계상:1920년대 소설의 편지형식과 의사소통양상/권보드래. - 최서해 소설의 (탈)식민성 연구:식민지적 정신성의 문제를 중심으로/김병구. - 형식에의 동경: 김기진과 초기 신경향파 비평의 한 측면/차승기. - 신경향파 소설의 관념 형상화 유형/손정수. - 탈식민지적 서사로서 최서해 읽기/박훈하. - 최서해 소설 연구/박상준. - ‘시대정신’과 ‘풍속개량’의 대립과 타협:호외시대론/윤대석. - 염상섭과 프로문학/김경수. - 1920~30년대 한국 경향문학의‘근대성’비판/김외곤. - 한국 민족문학의 개념과 역사:민족문학론에 대한 한 소묘/서영채. - 현대소설 독법에서의 근대성의 무게/김원우.
Subject(Personal)
ISBN
8982066985
Call Number
811.3609 문91ㅊ
Items
RReservation
AAbsent
VPreservation
CLoan Campus
QRush Cataloging
DDelivery Service
SSMS
PPrint
HHolding Journal DDS
Regist No. | Call number | Item location | Status | Expected return date | Service |
---|
Booktalk
Please feel free to read the book
and write your impressions.
글쓰기
and write your impressions.
Call Sign Browsing
Related Popular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