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alog
LDR | 03199namka2200637 k 4500 | ||
001 | 0000469356▲ | ||
005 | 20180519043147▲ | ||
007 | ta▲ | ||
008 | 020306s2001 ulk 000a kor▲ | ||
020 | ▼a8946029374▼g03320▲ | ||
040 | ▼a221016▼d221016▲ | ||
082 | 0 | ▼a384.55443▼221▲ | |
090 | ▼a384.55443▼b방55ㄱ▲ | ||
110 | ▼a방송문화진흥회▼093468▲ | ||
245 | 1 | 0 | ▼a가난에 대한 올바른 대접/▼d방송문화진흥회 엮음▲ |
260 | ▼a서울:▼b한울,▼c2001.▲ | ||
300 | ▼a365 p.;▼c23 cm.▲ | ||
505 | 0 | ▼a가난에 대한 올바른 대접/송주영. - <칭찬합시다>가 칭찬받기 위하여/김형일. - 텔레토비가 말했어요, "무신경한 어린이 프로그램, 이젠 안녕~!"/장유진. - TV가 책을 만났을 때/주정순. - TV 안팎에 던져진 타자의 시선/한귀은. - 가부장제로의 은밀한 유혹/강필애. - 문화의 다원적 소통을 막는 TV/김우철. - 노인의 날에 바라본 TV 속의 노인/김지은. - 라디오 프로그램의 새로운 시도, 귀로 듣는 만화책 <만화열전>/김현수. - 현대 저널리즘의 문제점/서숙진. - 고정관념을 깨고 또 다른 고정관념에 묶이다/이송미. - '부부문제 해결' 그 이면의 표정/이승현. - 공정 언론과 '슬퍼할 수 있는 용기'/정진석. - 역사 드라마 <태조 왕건>에 나타난 역사의 자의적 해석 비평/고영민. - 아동·청소년들의 방송 참여와, 그 절묘한 결합.../김미정. - 현대인의 체험 욕망을 자극한 프로그램, 그러나 사각의 모니터에 갇힌 체험/김영미. - 꿈꾸는 아이들의 방송과 그것의 사회적 영항/김인. - 안방의 세계화, 그리고 소비의 세계화/김정희. - TV가 책을 잘 말할 수 있기 위하여/김지희. - 전형성과 참신성의 사이/박소정. - 생존전략, 다시 짜야 한다/박양희. - TV라는 사막 속의 오아시스, <인간극장>/박재호. - 명절용 붕어빵 편성, "이전 그만~"/배옥진·김선경·최은영. - TV에 나타난 신화·이데올로기의 유지, 파괴 및 재창조의 영향/심재상. - 사막 같은 세상에서 찾은 작은 샘/윤광은. - 여자들 싸움은 구경하는 게 더 재미있다?/이영희. - 방송을 통한 '책 읽기 프로그램'의 가능성/이종백. - 희망 상륙작전/이지연. - 시청률은 영혼을 잠식한다?/이태연. - 라디오여, 청소년에게 문화의 큐피터 화살을 쏘라/장연숙. - 제5의 벽에 비친 가족이라는 이름의 환영/최연화. - 방송의 매체 비평이 지닌 가치와 그 가능성/최인제. - <생방송 퀴즈가 좋다>가 보여주는 오늘의 한국/홍성일. - 매체간 상호 비평의 가능성 제시 그리고 한계/황성재. - 농민들도 외면하는 농촌 드라마의 한계와 나의 제안/황주영.▲ | |
586 | ▼a2001 좋은 방송을 위한 시민의 비평상 수상집▲ | ||
700 | 1 | ▼a송주영/▼t가난에 대한 올바른 대접▲ | |
700 | 1 | ▼a김형일/▼t<칭찬합시다>가 칭찬받기 위하여▲ | |
700 | 1 | ▼a장유진/▼t텔레토비가 말했어요, "무신경한 어린이 프로그램, 이젠 안녕~!"▲ | |
700 | 1 | ▼a주정순/▼tTV가 책을 만났을 때▲ | |
700 | 1 | ▼a한귀은/▼tTV 안팎에 던져진 타자의 시선▲ | |
700 | 1 | ▼a강필애/▼t가부장제로의 은밀한 유혹▲ | |
700 | 1 | ▼a김우철/▼t문화의 다원적 소통을 막는 TV▲ | |
700 | 1 | ▼a김지은/▼t노인의 날에 바라본 TV 속의 노인▲ | |
700 | 1 | ▼a김현수/▼t라디오 프로그램의 새로운 시도, 귀로 듣는 만화책 <만화열전>▲ | |
700 | 1 | ▼a서숙진/▼t현대 저널리즘의 문제점▲ | |
700 | 1 | ▼a이송미/▼t고정관념을 깨고 또 다른 고정관념에 묶이다▲ | |
700 | 1 | ▼a이승현/▼t'부부문제 해결' 그 이면의 표정▲ | |
700 | 1 | ▼a정진석/▼t공정 언론과 '슬퍼할 수 있는 용기'▲ | |
700 | 1 | ▼a고영민/▼t역사 드라마 <태조 왕건>에 나타난 역사의 자의적 해석 비평▲ | |
700 | 1 | ▼a김미정/▼t아동·청소년들의 방송 참여와, 그 절묘한 결합...▲ | |
700 | 1 | ▼a김영미/▼t현대인의 체험 욕망을 자극한 프로그램, 그러나 사각의 모니터에 갇힌 체험▲ | |
700 | 1 | ▼a김인/▼t꿈꾸는 아이들의 방송과 그것의 사회적 영항▲ | |
700 | 1 | ▼a김정희/▼t안방의 세계화, 그리고 소비의 세계화▲ | |
700 | 1 | ▼a김지희/▼tTV가 책을 잘 말할 수 있기 위하여▲ | |
700 | 1 | ▼a박소정/▼t전형성과 참신성의 사이▲ | |
700 | 1 | ▼a박양희/▼t생존전략, 다시 짜야 한다▲ | |
700 | 1 | ▼a박재호/▼tTV라는 사막 속의 오아시스, <인간극장>▲ | |
700 | 1 | ▼a배옥진/김선경/최은영/▼t명절용 붕어빵 편성, "이전 그만~"▲ | |
700 | 1 | ▼a김재상/▼tTV에 나타난 신화·이데올로기의 유지, 파괴 및 재창조의 영향▲ | |
700 | 1 | ▼a윤광은/▼t사막 같은 세상에서 찾은 작은 샘▲ | |
700 | 1 | ▼a이영희/▼t여자들 싸움은 구경하는 게 더 재미있다?▲ | |
700 | 1 | ▼a이종백/▼t방송을 통한 '책 읽기 프로그램'의 가능성▲ | |
700 | 1 | ▼a이지연/▼t희망 상륙작전▲ | |
700 | 1 | ▼a이태연/▼t시청률은 영혼을 잠식한다?▲ | |
700 | 1 | ▼a장연숙/▼t라디오여, 청소년에게 문화의 큐피터 화살을 쏘라▲ | |
700 | 1 | ▼a최연화/▼t제5의 벽에 비친 가족이라는 이름의 환영▲ | |
700 | 1 | ▼a최인제/▼t방송의 매체 비평이 지닌 가치와 그 가능성▲ | |
700 | 1 | ▼a홍성일/▼t<생방송 퀴즈가 좋다>가 보여주는 오늘의 한국▲ | |
700 | 1 | ▼a황성재/▼t매체간 상호 비평의 가능성 제시 그리고 한계▲ | |
700 | 1 | ▼a황주영/▼t농민들도 외면하는 농촌 드라마의 한계와 나의 제안▲ | |
950 | 0 | ▼b₩7500▲ | |
999 | ▼a정영주▼b정영주▲ |

가난에 대한 올바른 대접
Document Type
Domestic Book
Title
가난에 대한 올바른 대접 / 방송문화진흥회 엮음
개인저자
송주영 / 가난에 대한 올바른 대접
김형일 / <칭찬합시다>가 칭찬받기 위하여
장유진 / 텔레토비가 말했어요, "무신경한 어린이 프로그램, 이젠 안녕~!"
주정순 / TV가 책을 만났을 때
한귀은 / TV 안팎에 던져진 타자의 시선
강필애 / 가부장제로의 은밀한 유혹
김우철 / 문화의 다원적 소통을 막는 TV
김지은 / 노인의 날에 바라본 TV 속의 노인
김현수 / 라디오 프로그램의 새로운 시도, 귀로 듣는 만화책 <만화열전>
서숙진 / 현대 저널리즘의 문제점
이송미 / 고정관념을 깨고 또 다른 고정관념에 묶이다
이승현 / '부부문제 해결' 그 이면의 표정
정진석 / 공정 언론과 '슬퍼할 수 있는 용기'
고영민 / 역사 드라마 <태조 왕건>에 나타난 역사의 자의적 해석 비평
김미정 / 아동·청소년들의 방송 참여와, 그 절묘한 결합...
김영미 / 현대인의 체험 욕망을 자극한 프로그램, 그러나 사각의 모니터에 갇힌 체험
김인 / 꿈꾸는 아이들의 방송과 그것의 사회적 영항
김정희 / 안방의 세계화, 그리고 소비의 세계화
김지희 / TV가 책을 잘 말할 수 있기 위하여
박소정 / 전형성과 참신성의 사이
박양희 / 생존전략, 다시 짜야 한다
박재호 / TV라는 사막 속의 오아시스, <인간극장>
배옥진/김선경/최은영 / 명절용 붕어빵 편성, "이전 그만~"
김재상 / TV에 나타난 신화·이데올로기의 유지, 파괴 및 재창조의 영향
윤광은 / 사막 같은 세상에서 찾은 작은 샘
이영희 / 여자들 싸움은 구경하는 게 더 재미있다?
이종백 / 방송을 통한 '책 읽기 프로그램'의 가능성
이지연 / 희망 상륙작전
이태연 / 시청률은 영혼을 잠식한다?
장연숙 / 라디오여, 청소년에게 문화의 큐피터 화살을 쏘라
최연화 / 제5의 벽에 비친 가족이라는 이름의 환영
최인제 / 방송의 매체 비평이 지닌 가치와 그 가능성
홍성일 / <생방송 퀴즈가 좋다>가 보여주는 오늘의 한국
황성재 / 매체간 상호 비평의 가능성 제시 그리고 한계
황주영 / 농민들도 외면하는 농촌 드라마의 한계와 나의 제안
김형일 / <칭찬합시다>가 칭찬받기 위하여
장유진 / 텔레토비가 말했어요, "무신경한 어린이 프로그램, 이젠 안녕~!"
주정순 / TV가 책을 만났을 때
한귀은 / TV 안팎에 던져진 타자의 시선
강필애 / 가부장제로의 은밀한 유혹
김우철 / 문화의 다원적 소통을 막는 TV
김지은 / 노인의 날에 바라본 TV 속의 노인
김현수 / 라디오 프로그램의 새로운 시도, 귀로 듣는 만화책 <만화열전>
서숙진 / 현대 저널리즘의 문제점
이송미 / 고정관념을 깨고 또 다른 고정관념에 묶이다
이승현 / '부부문제 해결' 그 이면의 표정
정진석 / 공정 언론과 '슬퍼할 수 있는 용기'
고영민 / 역사 드라마 <태조 왕건>에 나타난 역사의 자의적 해석 비평
김미정 / 아동·청소년들의 방송 참여와, 그 절묘한 결합...
김영미 / 현대인의 체험 욕망을 자극한 프로그램, 그러나 사각의 모니터에 갇힌 체험
김인 / 꿈꾸는 아이들의 방송과 그것의 사회적 영항
김정희 / 안방의 세계화, 그리고 소비의 세계화
김지희 / TV가 책을 잘 말할 수 있기 위하여
박소정 / 전형성과 참신성의 사이
박양희 / 생존전략, 다시 짜야 한다
박재호 / TV라는 사막 속의 오아시스, <인간극장>
배옥진/김선경/최은영 / 명절용 붕어빵 편성, "이전 그만~"
김재상 / TV에 나타난 신화·이데올로기의 유지, 파괴 및 재창조의 영향
윤광은 / 사막 같은 세상에서 찾은 작은 샘
이영희 / 여자들 싸움은 구경하는 게 더 재미있다?
이종백 / 방송을 통한 '책 읽기 프로그램'의 가능성
이지연 / 희망 상륙작전
이태연 / 시청률은 영혼을 잠식한다?
장연숙 / 라디오여, 청소년에게 문화의 큐피터 화살을 쏘라
최연화 / 제5의 벽에 비친 가족이라는 이름의 환영
최인제 / 방송의 매체 비평이 지닌 가치와 그 가능성
홍성일 / <생방송 퀴즈가 좋다>가 보여주는 오늘의 한국
황성재 / 매체간 상호 비평의 가능성 제시 그리고 한계
황주영 / 농민들도 외면하는 농촌 드라마의 한계와 나의 제안
Corporate Name
Publication
서울 : 한울 , 2001.
Physical Description
365 p. ; 23 cm.
Formatted Contents Note
가난에 대한 올바른 대접/송주영. - <칭찬합시다>가 칭찬받기 위하여/김형일. - 텔레토비가 말했어요, "무신경한 어린이 프로그램, 이젠 안녕~!"/장유진. - TV가 책을 만났을 때/주정순. - TV 안팎에 던져진 타자의 시선/한귀은. - 가부장제로의 은밀한 유혹/강필애. - 문화의 다원적 소통을 막는 TV/김우철. - 노인의 날에 바라본 TV 속의 노인/김지은. - 라디오 프로그램의 새로운 시도, 귀로 듣는 만화책 <만화열전>/김현수. - 현대 저널리즘의 문제점/서숙진. - 고정관념을 깨고 또 다른 고정관념에 묶이다/이송미. - '부부문제 해결' 그 이면의 표정/이승현. - 공정 언론과 '슬퍼할 수 있는 용기'/정진석. - 역사 드라마 <태조 왕건>에 나타난 역사의 자의적 해석 비평/고영민. - 아동·청소년들의 방송 참여와, 그 절묘한 결합.../김미정. - 현대인의 체험 욕망을 자극한 프로그램, 그러나 사각의 모니터에 갇힌 체험/김영미. - 꿈꾸는 아이들의 방송과 그것의 사회적 영항/김인. - 안방의 세계화, 그리고 소비의 세계화/김정희. - TV가 책을 잘 말할 수 있기 위하여/김지희. - 전형성과 참신성의 사이/박소정. - 생존전략, 다시 짜야 한다/박양희. - TV라는 사막 속의 오아시스, <인간극장>/박재호. - 명절용 붕어빵 편성, "이전 그만~"/배옥진·김선경·최은영. - TV에 나타난 신화·이데올로기의 유지, 파괴 및 재창조의 영향/심재상. - 사막 같은 세상에서 찾은 작은 샘/윤광은. - 여자들 싸움은 구경하는 게 더 재미있다?/이영희. - 방송을 통한 '책 읽기 프로그램'의 가능성/이종백. - 희망 상륙작전/이지연. - 시청률은 영혼을 잠식한다?/이태연. - 라디오여, 청소년에게 문화의 큐피터 화살을 쏘라/장연숙. - 제5의 벽에 비친 가족이라는 이름의 환영/최연화. - 방송의 매체 비평이 지닌 가치와 그 가능성/최인제. - <생방송 퀴즈가 좋다>가 보여주는 오늘의 한국/홍성일. - 매체간 상호 비평의 가능성 제시 그리고 한계/황성재. - 농민들도 외면하는 농촌 드라마의 한계와 나의 제안/황주영.
Awards Note
2001 좋은 방송을 위한 시민의 비평상 수상집
ISBN
8946029374
Call Number
384.55443 방55ㄱ
저자의 다른
저작물보기
저작물보기
Items
RReservation
AAbsent
VPreservation
CLoan Campus
QRush Cataloging
DDelivery Service
SSMS
PPrint
HHolding Journal DDS
Regist No. | Call number | Item location | Status | Expected return date | Service |
---|
Booktalk
Please feel free to read the book
and write your impressions.
글쓰기
and write your impressions.
Call Sign Browsing
Related Popular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