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alog
LDR | 02541namka2200601 k 4500 | ||
001 | 0000465473▲ | ||
005 | 20180521061440▲ | ||
007 | ta▲ | ||
008 | 020115s2001 ulka 000a kor▲ | ||
020 | ▼a8989368642▲ | ||
040 | ▼a221016▼d221016▲ | ||
082 | 0 | ▼a709.51▼221▲ | |
090 | ▼a709.51▼b현222ㅍ▲ | ||
245 | 0 | 0 | ▼a현대사회와 예술/▼d박명용 ...[등저].▲ |
260 | ▼a서울:▼b푸른사상,▼c2001.▲ | ||
300 | ▼a296 p.:▼b삽도;▼c23 cm.▲ | ||
505 | 0 | ▼a영원한 민족적 서정:박목원,조지훈. - 고독과 슬픔의 공간:한성기,박용래. - 문명과 시대의 표상:박인혼,천상병. - 현실인식과 생명성:김수영,신동엽. - 죽어서 신화가 된 우리문학의 이단자 :이상. - 민초의 정의로움을 대변한 작가:김정한. - 어둠을 거쳐 망각으로 사라진 작가:손창섭. - 가장 한국적이고 가장 인간적이기를 원했던 작가:김동리. - 자기 자신³¼ 작품이 혼연일체를 이룬 작가 :황순원. - 국가의 변천과 전승 상환:궁중음악,풍류음악,잡가,창극과 판소리,산조. - 양악의 유입과 발전:에케르트,백우용,정사인,박윤근,김영환. - 예혼을 불태운 불사조:박동진. - 가야금의 명인:황병기. - 국악계의 프리마돈나:안숙선. - 사물놀이의 창안자:김덕수. - 최초의 여성 성악가:윤심덕. - 전천후 음악가:홍남파. - 애국가의 작곡자:안익태. - 민족음악의 추구:김순남. - 나비의 꿈:윤이상. - 봉건적 인습에 항거한 근대인:김우진. - 충자희극의 개척자:송영. - 리얼리즘 연극의 전파자:유치진. - 근대무용의 혁신자:이사도라 던컨. - 모던댄스의 거장:루돌프 본 라반.- 표현주의 무용의 제창자:마리 뷔그만. - 현대무용의 개척자:마사 그라함.- 신이 보낸 무용가:바슬라브 니진스키. - 춤 형식 개방의 선구자:김해랑. - 대구 현대무용의 뿌리:김상규. - 섬세한 예술인:김미화. - 한국 춤 용어 정립의 개척자:박금슬. - 초등무용교육의 선구자:김보남.▲ | |
700 | 1 | ▼a박명용,▼g朴明用,▼d1940-2008▼0281941▲ | |
740 | ▼a영원한 민족족 서정 :▼a박목월,▼a조지훈▲ | ||
740 | ▼a고독과 슬픔의 공간:▼a한성기,▼a박용래▲ | ||
740 | ▼a문명과 시대의 표상 :▼a박인환,▼a천상병▲ | ||
740 | ▼a현실인식과 생명성 :▼a김수영,▼a신동엽▲ | ||
740 | ▼a죽어서 신화가 된 우리문학의 이단자 :▼a이상▲ | ||
740 | ▼a민초의 정의로움을 대변한작가 :▼a김정한▲ | ||
740 | ▼a어둠을 거쳐 망가으로 사라진 작가 :▼a손창섭▲ | ||
740 | ▼a가장 한국적이고 가장 인간적이기를 원했던 작가 :▼a김동리▲ | ||
740 | ▼a자기 자신과 작품이 혼연일체를 이룬 작가:▼a황순원▲ | ||
740 | ▼a국악의 변천과 전승 상황 :▼a궁중음악,▼a풍류방 음악,▼a잡가,▼a창극과 판소리,▼a산조▲ | ||
740 | ▼a양악의 유입과 발전 :▼a에케르트,▼a백우용,▼a정사인,▼a박윤근,▼a김영환▲ | ||
740 | ▼a예혼을 불태운 불사조 :▼a박동진▲ | ||
740 | ▼a가야금의 명인 :▼a황병기▲ | ||
740 | ▼a국악계의 프리마돈나 :▼a안숙선▲ | ||
740 | ▼a사물놀이의 창안자 :▼a김덕수▲ | ||
740 | ▼a최초의 여성 성악가:▼a윤심덕▲ | ||
740 | ▼a전천후 음악가 :▼a홍남파▲ | ||
740 | ▼a애국가의 작고자 :▼a안익태▲ | ||
740 | ▼a민족음악의 추구:▼a김순남▲ | ||
740 | ▼a나비의 꿈:▼a윤이상▲ | ||
740 | ▼a봉건적 인습에 항거한 근대인:▼a김우진▲ | ||
740 | ▼a풍자희극의 개척자:▼a송영▲ | ||
740 | ▼a리얼리즘 연극의 전파자:▼a유치진▲ | ||
740 | ▼a근대무용의 혁신자 :▼a이사도라 던컨▲ | ||
740 | ▼a모던댄스의 거장:▼a루돌프 본 라반▲ | ||
740 | ▼a표현주의 무용의 제창자 :▼a마리 뷔그만▲ | ||
740 | ▼a현대무용의 개척자:▼a마사 그라함▲ | ||
740 | ▼a신이 보낸 무용가 :▼a바슬라브 니진스키▲ | ||
740 | ▼a춤 형식 개방의 선구자 :▼a김해랑▲ | ||
740 | ▼a대구 현대부용의 뿌리 :▼a김상규▲ | ||
740 | ▼a섬세한 예술인 :▼a김미화▲ | ||
740 | ▼a한국 춤 용어 정립의 개척자 :▼a박금슬▲ | ||
740 | ▼a초등무용교육의 선구자 :▼a김보남▲ | ||
950 | 0 | ▼b₩12000▲ | |
999 | ▼a도양희▼b도양희▲ |

현대사회와 예술
Document Type
Domestic Book
Title
현대사회와 예술 / 박명용 ...[등저].
부출서명
영원한 민족족 서정;: 박목월;, 조지훈
고독과 슬픔의 공간;: 한성기;, 박용래
문명과 시대의 표상;: 박인환;, 천상병
현실인식과 생명성;: 김수영;, 신동엽
죽어서 신화가 된 우리문학의 이단자;: 이상
민초의 정의로움을 대변한작가;: 김정한
어둠을 거쳐 망가으로 사라진 작가;: 손창섭
가장 한국적이고 가장 인간적이기를 원했던 작가;: 김동리
자기 자신과 작품이 혼연일체를 이룬 작가;: 황순원
국악의 변천과 전승 상황;: 궁중음악;, 풍류방 음악;, 잡가;, 창극과 판소리;, 산조
양악의 유입과 발전;: 에케르트;, 백우용;, 정사인;, 박윤근;, 김영환
예혼을 불태운 불사조;: 박동진
가야금의 명인;: 황병기
국악계의 프리마돈나;: 안숙선
사물놀이의 창안자;: 김덕수
최초의 여성 성악가;: 윤심덕
전천후 음악가;: 홍남파
애국가의 작고자;: 안익태
민족음악의 추구;: 김순남
나비의 꿈;: 윤이상
봉건적 인습에 항거한 근대인;: 김우진
풍자희극의 개척자;: 송영
리얼리즘 연극의 전파자;: 유치진
근대무용의 혁신자;: 이사도라 던컨
모던댄스의 거장;: 루돌프 본 라반
표현주의 무용의 제창자;: 마리 뷔그만
현대무용의 개척자;: 마사 그라함
신이 보낸 무용가;: 바슬라브 니진스키
춤 형식 개방의 선구자;: 김해랑
대구 현대부용의 뿌리;: 김상규
섬세한 예술인;: 김미화
한국 춤 용어 정립의 개척자;: 박금슬
초등무용교육의 선구자;: 김보남
고독과 슬픔의 공간;: 한성기;, 박용래
문명과 시대의 표상;: 박인환;, 천상병
현실인식과 생명성;: 김수영;, 신동엽
죽어서 신화가 된 우리문학의 이단자;: 이상
민초의 정의로움을 대변한작가;: 김정한
어둠을 거쳐 망가으로 사라진 작가;: 손창섭
가장 한국적이고 가장 인간적이기를 원했던 작가;: 김동리
자기 자신과 작품이 혼연일체를 이룬 작가;: 황순원
국악의 변천과 전승 상황;: 궁중음악;, 풍류방 음악;, 잡가;, 창극과 판소리;, 산조
양악의 유입과 발전;: 에케르트;, 백우용;, 정사인;, 박윤근;, 김영환
예혼을 불태운 불사조;: 박동진
가야금의 명인;: 황병기
국악계의 프리마돈나;: 안숙선
사물놀이의 창안자;: 김덕수
최초의 여성 성악가;: 윤심덕
전천후 음악가;: 홍남파
애국가의 작고자;: 안익태
민족음악의 추구;: 김순남
나비의 꿈;: 윤이상
봉건적 인습에 항거한 근대인;: 김우진
풍자희극의 개척자;: 송영
리얼리즘 연극의 전파자;: 유치진
근대무용의 혁신자;: 이사도라 던컨
모던댄스의 거장;: 루돌프 본 라반
표현주의 무용의 제창자;: 마리 뷔그만
현대무용의 개척자;: 마사 그라함
신이 보낸 무용가;: 바슬라브 니진스키
춤 형식 개방의 선구자;: 김해랑
대구 현대부용의 뿌리;: 김상규
섬세한 예술인;: 김미화
한국 춤 용어 정립의 개척자;: 박금슬
초등무용교육의 선구자;: 김보남
개인저자
박명용 , 朴明用 , 1940-2008
Publication
서울 : 푸른사상 , 2001.
Physical Description
296 p. : 삽도 ; 23 cm.
Formatted Contents Note
영원한 민족적 서정:박목원,조지훈. - 고독과 슬픔의 공간:한성기,박용래. - 문명과 시대의 표상:박인혼,천상병. - 현실인식과 생명성:김수영,신동엽. - 죽어서 신화가 된 우리문학의 이단자 :이상. - 민초의 정의로움을 대변한 작가:김정한. - 어둠을 거쳐 망각으로 사라진 작가:손창섭. - 가장 한국적이고 가장 인간적이기를 원했던 작가:김동리. - 자기 자신³¼ 작품이 혼연일체를 이룬 작가 :황순원. - 국가의 변천과 전승 상환:궁중음악,풍류음악,잡가,창극과 판소리,산조. - 양악의 유입과 발전:에케르트,백우용,정사인,박윤근,김영환. - 예혼을 불태운 불사조:박동진. - 가야금의 명인:황병기. - 국악계의 프리마돈나:안숙선. - 사물놀이의 창안자:김덕수. - 최초의 여성 성악가:윤심덕. - 전천후 음악가:홍남파. - 애국가의 작곡자:안익태. - 민족음악의 추구:김순남. - 나비의 꿈:윤이상. - 봉건적 인습에 항거한 근대인:김우진. - 충자희극의 개척자:송영. - 리얼리즘 연극의 전파자:유치진. - 근대무용의 혁신자:이사도라 던컨. - 모던댄스의 거장:루돌프 본 라반.- 표현주의 무용의 제창자:마리 뷔그만. - 현대무용의 개척자:마사 그라함.- 신이 보낸 무용가:바슬라브 니진스키. - 춤 형식 개방의 선구자:김해랑. - 대구 현대무용의 뿌리:김상규. - 섬세한 예술인:김미화. - 한국 춤 용어 정립의 개척자:박금슬. - 초등무용교육의 선구자:김보남.
ISBN
8989368642
Call Number
709.51 현222ㅍ
저자의 다른
저작물보기
저작물보기
Items
RReservation
AAbsent
VPreservation
CLoan Campus
QRush Cataloging
DDelivery Service
SSMS
PPrint
HHolding Journal DDS
Regist No. | Call number | Item location | Status | Expected return date | Service |
---|
Booktalk
Please feel free to read the book
and write your impressions.
글쓰기
and write your impressions.
Call Sign Browsing
Related Popular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