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alog
LDR | 01527namka2200421 k 4500 | ||
001 | 0000423769▲ | ||
005 | 20180520090439▲ | ||
007 | ta▲ | ||
008 | 000608s2000 ulk 000a kor ▲ | ||
020 | ▼a 8936463020▼g 03810▲ | ||
040 | ▼a 221016 ▼d 221016▲ | ||
082 | 0 | ▼a 811.09▼2 21▲ | |
090 | ▼a 811.09 ▼b 방39ㅂ▲ | ||
100 | 1 | ▼a 방민호▲ | |
245 | 1 | 0 | ▼a 비평의 도그마를 넘어:▼b 방민호 문학평론집/▼d 방민호 저.▲ |
260 | ▼a 서울:▼b 창작과비평,▼c 2000.▲ | ||
300 | ▼a 357 p.;▼c 23 cm.▲ | ||
505 | 0 | ▼a 현실을 바라보는 세 개의 논리. - 한국문학의 현재를 읽기 위한 세 개의 도표. - 미학주의, 그리고 그밖의 우울한 풍경과 작은 가능성. - 리얼리즘론의 비판적 재인식. - 성장,죽음,사랑, 그리고 통속의 경계. - 숙명과 그 극복이라는 문제. - 그를 믿어야 할 것인가. - 사라져 가는, 몰락해가는 것들의 가치. - 검은 항아리 속의 눈사람. - 비애 속에서, 비애로부터의 성장. - 가족이 지배하는 세계의 '농담'과 연민. - 역사를 넘어 대지의 기억으로. - 숨은 길을 찾는 투시의 눈. - 꿈으로 피워올린 녹색 종이꽃의 세계. - 작가적 정체성의 위기와 그 극복. - 소설 장르의 가능성. - 1999년 가을, 사유의 빈곤, 소설과 영화 사이▲ | |
740 | ▼a 현실을 바라보는 세 개의 논리▲ | ||
740 | ▼a 한국문학의 현재를 읽기 위한 세 개의 도표▲ | ||
740 | ▼a 미학주의, 그리고 그밖의 우울한 풍경과 작은 가능성▲ | ||
740 | ▼a 리얼리즘론의 비판적 재인식▲ | ||
740 | ▼a 성장,죽음,사랑, 그리고 통속의 경계▲ | ||
740 | ▼a 숙명과 그 극복이라는 문제▲ | ||
740 | ▼a 그를 믿어야 할 것인가▲ | ||
740 | ▼a 사라져 가는, 몰락해가는 것들의 가치▲ | ||
740 | ▼a 검은 항아리 속의 눈사람▲ | ||
740 | ▼a 비애 속에서, 비애로부터의 성장▲ | ||
740 | ▼a 가족이 지배하는 세계의 '농담'과 연민▲ | ||
740 | ▼a 역사를 넘어 대지의 기억으로▲ | ||
740 | ▼a 숨은 길을 찾는 투시의 눈▲ | ||
740 | ▼a 꿈으로 피워올린 녹색 종이꽃의 세계▲ | ||
740 | ▼a 작가적 정체성의 위기와 그 극복▲ | ||
740 | ▼a 소설 장르의 가능성▲ | ||
740 | ▼a 1999년 가을, 사유의 빈곤, 소설과 영화 사이▲ | ||
940 | ▼a 천구백구십구년 가을, 사유의 빈곤, 소설과 영화 사이▲ | ||
950 | 0 | ▼b ₩12000▲ | |
999 | ▼a 도양희 ▼b 도양희▲ |

비평의 도그마를 넘어: 방민호 문학평론집
Document Type
Domestic Book
Title
비평의 도그마를 넘어 : 방민호 문학평론집 / 방민호 저.
부출서명
현실을 바라보는 세 개의 논리
한국문학의 현재를 읽기 위한 세 개의 도표
미학주의, 그리고 그밖의 우울한 풍경과 작은 가능성
리얼리즘론의 비판적 재인식
성장,죽음,사랑, 그리고 통속의 경계
숙명과 그 극복이라는 문제
그를 믿어야 할 것인가
사라져 가는, 몰락해가는 것들의 가치
검은 항아리 속의 눈사람
비애 속에서, 비애로부터의 성장
가족이 지배하는 세계의 '농담'과 연민
역사를 넘어 대지의 기억으로
숨은 길을 찾는 투시의 눈
꿈으로 피워올린 녹색 종이꽃의 세계
작가적 정체성의 위기와 그 극복
소설 장르의 가능성
1999년 가을, 사유의 빈곤, 소설과 영화 사이
한국문학의 현재를 읽기 위한 세 개의 도표
미학주의, 그리고 그밖의 우울한 풍경과 작은 가능성
리얼리즘론의 비판적 재인식
성장,죽음,사랑, 그리고 통속의 경계
숙명과 그 극복이라는 문제
그를 믿어야 할 것인가
사라져 가는, 몰락해가는 것들의 가치
검은 항아리 속의 눈사람
비애 속에서, 비애로부터의 성장
가족이 지배하는 세계의 '농담'과 연민
역사를 넘어 대지의 기억으로
숨은 길을 찾는 투시의 눈
꿈으로 피워올린 녹색 종이꽃의 세계
작가적 정체성의 위기와 그 극복
소설 장르의 가능성
1999년 가을, 사유의 빈곤, 소설과 영화 사이
개인저자
Publication
서울 : 창작과비평 , 2000.
Physical Description
357 p. ; 23 cm.
Formatted Contents Note
현실을 바라보는 세 개의 논리. - 한국문학의 현재를 읽기 위한 세 개의 도표. - 미학주의, 그리고 그밖의 우울한 풍경과 작은 가능성. - 리얼리즘론의 비판적 재인식. - 성장,죽음,사랑, 그리고 통속의 경계. - 숙명과 그 극복이라는 문제. - 그를 믿어야 할 것인가. - 사라져 가는, 몰락해가는 것들의 가치. - 검은 항아리 속의 눈사람. - 비애 속에서, 비애로부터의 성장. - 가족이 지배하는 세계의 '농담'과 연민. - 역사를 넘어 대지의 기억으로. - 숨은 길을 찾는 투시의 눈. - 꿈으로 피워올린 녹색 종이꽃의 세계. - 작가적 정체성의 위기와 그 극복. - 소설 장르의 가능성. - 1999년 가을, 사유의 빈곤, 소설과 영화 사이
ISBN
8936463020
Call Number
811.09 방39ㅂ
Items
RReservation
AAbsent
VPreservation
CLoan Campus
QRush Cataloging
DDelivery Service
SSMS
PPrint
HHolding Journal DDS
Regist No. | Call number | Item location | Status | Expected return date | Service |
---|
Booktalk
Please feel free to read the book
and write your impressions.
글쓰기
and write your impressions.
Call Sign Browsing
Related Popular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