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alog
LDR | 04139namka2201201 k 4500 | ||
001 | 0000422479▲ | ||
005 | 20180519143012▲ | ||
007 | ta▲ | ||
008 | 000510s1995 ulk 000a kor ▲ | ||
020 | ▼a 8985465503 ▼g 03800▲ | ||
040 | ▼a 221016 ▼d 221016▲ | ||
082 | 0 | ▼a 811.09▼2 21▲ | |
090 | ▼a 811.09 ▼b 조211ㅎ▲ | ||
100 | 1 | ▼a 조남현▲ | |
245 | 1 | 0 | ▼a 한국 문학의 저변/▼d 조남현 [저].▲ |
260 | ▼a 서울:▼b 새미,▼c 1995.▲ | ||
300 | ▼a 470 p.;▼c 23 cm.▲ | ||
440 | 0 | 0 | ▼a 새미 비평컬럼선;▼v 3▲ |
505 | 0 | ▼a 자아확대를 위한 교감의 시흔. - 상식의 형상화. - 시로 쓴 詩反省論. - 통속어로 쓴 난해시. - 창작과 감상의 거리. - 語調와 진술 내용의 사이. - '쉬운 시'의 무게와 깊이. - 허무주의의 工法. - 시어의 확대과정. - 허위의식의 형상화 방법. - 頌의 가능성과 한계. - 어떤 체질개선. - 간명성과 압축성의 相乘作用. - 箴言 指向의 시. - 평범한 내용 비범한 표현. - 언어와 실존. - 이치를 터득한 시. - '어머니'를 노래하는 방법. - 자기 스타일을 굳히는 시인들. - 개성적인 唱法의 심화와 변용. - '쉬운 시'의 겉과 속. - 삶을 인식하는 방법. - 시적 인식의 두 바탕. - 시인과 상식. - 連作詩의 방법과가능성. - '개성적'표현법의 실체. - 꾸밈새 없는 시와 그 引力. - 날카로운 눈길의 詩들. - 범상한 소재에서 비범한 연상으로. - 短詩의 생산성. - 시, 진정한 사유의 흔적. - 新銳들의 저력과가능성. - 소재와 표현 방법. - 건실한 風俗誌로서의 소설. - '빛'이 없는 인물. - 소재의 처리방법. - 質과 量의 불균형. - 병적 報償心理의 인물들. - 내재적 상징의 효과. - 소설적 상상력의 깊이. - 전문지식과 소설. - 이야기를 만드는 힘과요령. - 交代式 구성의 허실. - 비범한 이야기의 요건. - 피해자의 삶과 논리. - 소설의 초점. - 신인 소설의 明暗. - 개성적인 시각의 효과. - '변화'의 빛과 그늘. - 소설과 상징적 장치. - 숨겨진 '힘'의 논리. - 보편적 사건과 극적인 처리 방법. - 폭력과 위선. - 평범한 것의 가능성. - 容恕心과 인과응보의 이치. - 주제의 二重 露出. - 문체와 의식의 相應. - 비극적 구성이 되려면. - '무엇'과 '어떻게'의 연결 방법. - 同時代人들의 초상. -話者 交代의 효과. - 리얼리티의 독특한 조립법. - 箴言的 진술과 지적 추구. - 어떤 기교의 허실. - 평이한 시의 가능성과 한계. - 어느 노시인의 변모, 그 의미. - 서사시「한강」의 의미와 과제. - 李起哲의 「전쟁과 평화」. - 卽自性에서 對自性으로. - 관점의 이동. - 소설과 상징의 메카니즘. - 임철우의 「不姙期」. - 鄕愁와 현실 인식. - 민족적 자존심의 시련과 회복. - 침묵 깬 張龍鶴의 변모. - 녹의 제거, 혹은 자기회복. - 역사의 길, 개인의 길. - 병든 인간, 병든 문화. - 윤정모의 신작소설집. - 의미 있는 서술구조에 닿는 길. - 전쟁소설의 정석 확인. - 談論의 무게. - 소설을 통한 소설 비판.▲ | |
740 | ▼a '무엇'과 '어떻게'의 연결 방법▲ | ||
740 | ▼a 동시대인들의 초상▲ | ||
740 | ▼a 화자 교대의 효과▲ | ||
740 | ▼a 리얼리티의 독특한 조립법▲ | ||
740 | ▼a 잠언적 진술과 지적 추구▲ | ||
740 | ▼a 어떤 기교의 허실▲ | ||
740 | ▼a 평이한 시의 가능성과 한계▲ | ||
740 | ▼a 어느 노시인의 변모, 그 의미▲ | ||
740 | ▼a 서사시「한강」의 의미와 과제▲ | ||
740 | ▼a 이기철의 「전쟁과 평화」▲ | ||
740 | ▼a 즉자성에서 대자성으로▲ | ||
740 | ▼a 소설과 상징의 메카니즘▲ | ||
740 | ▼a 임철우의 「불임기」▲ | ||
740 | ▼a 향수와 현실 인식▲ | ||
740 | ▼a 민족적 자존심의 시련과 회복▲ | ||
740 | ▼a 침묵 깬 장용학의 변모▲ | ||
740 | ▼a 녹의 제거, 혹은 자기회복▲ | ||
740 | ▼a 역사의 길, 개인의 길▲ | ||
740 | ▼a 병든 인간, 병든 문화▲ | ||
740 | ▼a 윤정모의 신작소설집▲ | ||
740 | ▼a 의미 있는 서술구조에 닿는 길▲ | ||
740 | ▼a 전쟁소설의 정석 확인▲ | ||
740 | ▼a 담론의 무게▲ | ||
740 | ▼a 소설을 통한 소설 비판▲ | ||
740 | ▼a 자아확대를 위한 교감의 시흔▲ | ||
740 | ▼a 상식의 형상화▲ | ||
740 | ▼a 시로 쓴 시반성론▲ | ||
740 | ▼a 통속어로 쓴 난해시▲ | ||
740 | ▼a 창작과 감상의 거리▲ | ||
740 | ▼a 어조와 진술 내용의 사이▲ | ||
740 | ▼a '쉬운 시'의 무게와 깊이▲ | ||
740 | ▼a 허무주의의 工法▲ | ||
740 | ▼a 시어의 확대과정▲ | ||
740 | ▼a 허위의식의 형상화 방법▲ | ||
740 | ▼a 송의 가능성과 한계▲ | ||
740 | ▼a 어떤 체질개선▲ | ||
740 | ▼a 간명성과 압축성의 상승작용▲ | ||
740 | ▼a 箴言 지향의 시▲ | ||
740 | ▼a 평범한 내용 비범한 표현▲ | ||
740 | ▼a 언어와 실존▲ | ||
740 | ▼a 이치를 터득한 시▲ | ||
740 | ▼a '어버니'를 노래하는 방법▲ | ||
740 | ▼a 자기 스타일을 굳히는 시인들▲ | ||
740 | ▼a 개성적인 창법의 심화와 변용▲ | ||
740 | ▼a '쉬운 시'의 겉과 속▲ | ||
740 | ▼a 삶을 인식하는 방법▲ | ||
740 | ▼a 시적 인식의 두 바탕▲ | ||
740 | ▼a 시인과 상식▲ | ||
740 | ▼a 연작시의 방법과가능성▲ | ||
740 | ▼a '개성적'표현법의 실체▲ | ||
740 | ▼a 꾸밈새 없는 시와 그 인력▲ | ||
740 | ▼a 날카로운 눈길의 詩들▲ | ||
740 | ▼a 범상한 소재에서 비범한 연상으로▲ | ||
740 | ▼a 단시의 생산성▲ | ||
740 | ▼a 시, 진정한 사유의 흔적▲ | ||
740 | ▼a 신예들의 저력과가능성▲ | ||
740 | ▼a 소재와 표현 방법▲ | ||
740 | ▼a 건실한 풍속지로서의 소설▲ | ||
740 | ▼a '빛'이 없는 인물▲ | ||
740 | ▼a 소재의 처리방법▲ | ||
740 | ▼a 질과 양의 불균형▲ | ||
740 | ▼a 병적 보상심리의 인물들▲ | ||
740 | ▼a 내재적 상징의 효과▲ | ||
740 | ▼a 소설적 상상력의 깊이▲ | ||
740 | ▼a 전문지식과 소설▲ | ||
740 | ▼a 이야기를 만드는 힘과요령▲ | ||
740 | ▼a 교대식 구성의 허실▲ | ||
740 | ▼a 비범한 이야기의 요건▲ | ||
740 | ▼a 피해자의 삶과 논리▲ | ||
740 | ▼a 소설의 초점▲ | ||
740 | ▼a 신인 소설의 명암▲ | ||
740 | ▼a 개성적인 시각의 효과▲ | ||
740 | ▼a '변화'의 빛과 그늘▲ | ||
740 | ▼a 소설과 상징적 장치▲ | ||
740 | ▼a 숨겨진 '힘'의 논리▲ | ||
740 | ▼a 보편적 사건과 극적인 처리 방법▲ | ||
740 | ▼a 폭력과 위선▲ | ||
740 | ▼a 평범한 것의 가능성▲ | ||
740 | ▼a 용서심과 인과응보의 이치▲ | ||
740 | ▼a 주제의 이중 노출▲ | ||
740 | ▼a 문체와 의식의 상응▲ | ||
740 | ▼a 비극적 구성이 되려면▲ | ||
950 | 0 | ▼b ₩10000▲ | |
999 | ▼a 도양희 ▼b 정영주▲ |

한국 문학의 저변
Document Type
Domestic Book
Title
한국 문학의 저변 / 조남현 [저].
부출서명
'무엇'과 '어떻게'의 연결 방법
동시대인들의 초상
화자 교대의 효과
리얼리티의 독특한 조립법
잠언적 진술과 지적 추구
어떤 기교의 허실
평이한 시의 가능성과 한계
어느 노시인의 변모, 그 의미
서사시「한강」의 의미와 과제
이기철의 「전쟁과 평화」
즉자성에서 대자성으로
소설과 상징의 메카니즘
임철우의 「불임기」
향수와 현실 인식
민족적 자존심의 시련과 회복
침묵 깬 장용학의 변모
녹의 제거, 혹은 자기회복
역사의 길, 개인의 길
병든 인간, 병든 문화
윤정모의 신작소설집
의미 있는 서술구조에 닿는 길
전쟁소설의 정석 확인
담론의 무게
소설을 통한 소설 비판
자아확대를 위한 교감의 시흔
상식의 형상화
시로 쓴 시반성론
통속어로 쓴 난해시
창작과 감상의 거리
어조와 진술 내용의 사이
'쉬운 시'의 무게와 깊이
허무주의의 工法
시어의 확대과정
허위의식의 형상화 방법
송의 가능성과 한계
어떤 체질개선
간명성과 압축성의 상승작용
箴言 지향의 시
평범한 내용 비범한 표현
언어와 실존
이치를 터득한 시
'어버니'를 노래하는 방법
자기 스타일을 굳히는 시인들
개성적인 창법의 심화와 변용
'쉬운 시'의 겉과 속
삶을 인식하는 방법
시적 인식의 두 바탕
시인과 상식
연작시의 방법과가능성
'개성적'표현법의 실체
꾸밈새 없는 시와 그 인력
날카로운 눈길의 詩들
범상한 소재에서 비범한 연상으로
단시의 생산성
시, 진정한 사유의 흔적
신예들의 저력과가능성
소재와 표현 방법
건실한 풍속지로서의 소설
'빛'이 없는 인물
소재의 처리방법
질과 양의 불균형
병적 보상심리의 인물들
내재적 상징의 효과
소설적 상상력의 깊이
전문지식과 소설
이야기를 만드는 힘과요령
교대식 구성의 허실
비범한 이야기의 요건
피해자의 삶과 논리
소설의 초점
신인 소설의 명암
개성적인 시각의 효과
'변화'의 빛과 그늘
소설과 상징적 장치
숨겨진 '힘'의 논리
보편적 사건과 극적인 처리 방법
폭력과 위선
평범한 것의 가능성
용서심과 인과응보의 이치
주제의 이중 노출
문체와 의식의 상응
비극적 구성이 되려면
동시대인들의 초상
화자 교대의 효과
리얼리티의 독특한 조립법
잠언적 진술과 지적 추구
어떤 기교의 허실
평이한 시의 가능성과 한계
어느 노시인의 변모, 그 의미
서사시「한강」의 의미와 과제
이기철의 「전쟁과 평화」
즉자성에서 대자성으로
소설과 상징의 메카니즘
임철우의 「불임기」
향수와 현실 인식
민족적 자존심의 시련과 회복
침묵 깬 장용학의 변모
녹의 제거, 혹은 자기회복
역사의 길, 개인의 길
병든 인간, 병든 문화
윤정모의 신작소설집
의미 있는 서술구조에 닿는 길
전쟁소설의 정석 확인
담론의 무게
소설을 통한 소설 비판
자아확대를 위한 교감의 시흔
상식의 형상화
시로 쓴 시반성론
통속어로 쓴 난해시
창작과 감상의 거리
어조와 진술 내용의 사이
'쉬운 시'의 무게와 깊이
허무주의의 工法
시어의 확대과정
허위의식의 형상화 방법
송의 가능성과 한계
어떤 체질개선
간명성과 압축성의 상승작용
箴言 지향의 시
평범한 내용 비범한 표현
언어와 실존
이치를 터득한 시
'어버니'를 노래하는 방법
자기 스타일을 굳히는 시인들
개성적인 창법의 심화와 변용
'쉬운 시'의 겉과 속
삶을 인식하는 방법
시적 인식의 두 바탕
시인과 상식
연작시의 방법과가능성
'개성적'표현법의 실체
꾸밈새 없는 시와 그 인력
날카로운 눈길의 詩들
범상한 소재에서 비범한 연상으로
단시의 생산성
시, 진정한 사유의 흔적
신예들의 저력과가능성
소재와 표현 방법
건실한 풍속지로서의 소설
'빛'이 없는 인물
소재의 처리방법
질과 양의 불균형
병적 보상심리의 인물들
내재적 상징의 효과
소설적 상상력의 깊이
전문지식과 소설
이야기를 만드는 힘과요령
교대식 구성의 허실
비범한 이야기의 요건
피해자의 삶과 논리
소설의 초점
신인 소설의 명암
개성적인 시각의 효과
'변화'의 빛과 그늘
소설과 상징적 장치
숨겨진 '힘'의 논리
보편적 사건과 극적인 처리 방법
폭력과 위선
평범한 것의 가능성
용서심과 인과응보의 이치
주제의 이중 노출
문체와 의식의 상응
비극적 구성이 되려면
개인저자
Publication
서울 : 새미 , 1995.
Physical Description
470 p. ; 23 cm.
Series Title
새미 비평컬럼선 ; 3
Formatted Contents Note
자아확대를 위한 교감의 시흔. - 상식의 형상화. - 시로 쓴 詩反省論. - 통속어로 쓴 난해시. - 창작과 감상의 거리. - 語調와 진술 내용의 사이. - '쉬운 시'의 무게와 깊이. - 허무주의의 工法. - 시어의 확대과정. - 허위의식의 형상화 방법. - 頌의 가능성과 한계. - 어떤 체질개선. - 간명성과 압축성의 相乘作用. - 箴言 指向의 시. - 평범한 내용 비범한 표현. - 언어와 실존. - 이치를 터득한 시. - '어머니'를 노래하는 방법. - 자기 스타일을 굳히는 시인들. - 개성적인 唱法의 심화와 변용. - '쉬운 시'의 겉과 속. - 삶을 인식하는 방법. - 시적 인식의 두 바탕. - 시인과 상식. - 連作詩의 방법과가능성. - '개성적'표현법의 실체. - 꾸밈새 없는 시와 그 引力. - 날카로운 눈길의 詩들. - 범상한 소재에서 비범한 연상으로. - 短詩의 생산성. - 시, 진정한 사유의 흔적. - 新銳들의 저력과가능성. - 소재와 표현 방법. - 건실한 風俗誌로서의 소설. - '빛'이 없는 인물. - 소재의 처리방법. - 質과 量의 불균형. - 병적 報償心理의 인물들. - 내재적 상징의 효과. - 소설적 상상력의 깊이. - 전문지식과 소설. - 이야기를 만드는 힘과요령. - 交代式 구성의 허실. - 비범한 이야기의 요건. - 피해자의 삶과 논리. - 소설의 초점. - 신인 소설의 明暗. - 개성적인 시각의 효과. - '변화'의 빛과 그늘. - 소설과 상징적 장치. - 숨겨진 '힘'의 논리. - 보편적 사건과 극적인 처리 방법. - 폭력과 위선. - 평범한 것의 가능성. - 容恕心과 인과응보의 이치. - 주제의 二重 露出. - 문체와 의식의 相應. - 비극적 구성이 되려면. - '무엇'과 '어떻게'의 연결 방법. - 同時代人들의 초상. -話者 交代의 효과. - 리얼리티의 독특한 조립법. - 箴言的 진술과 지적 추구. - 어떤 기교의 허실. - 평이한 시의 가능성과 한계. - 어느 노시인의 변모, 그 의미. - 서사시「한강」의 의미와 과제. - 李起哲의 「전쟁과 평화」. - 卽自性에서 對自性으로. - 관점의 이동. - 소설과 상징의 메카니즘. - 임철우의 「不姙期」. - 鄕愁와 현실 인식. - 민족적 자존심의 시련과 회복. - 침묵 깬 張龍鶴의 변모. - 녹의 제거, 혹은 자기회복. - 역사의 길, 개인의 길. - 병든 인간, 병든 문화. - 윤정모의 신작소설집. - 의미 있는 서술구조에 닿는 길. - 전쟁소설의 정석 확인. - 談論의 무게. - 소설을 통한 소설 비판.
ISBN
8985465503
Call Number
811.09 조211ㅎ
Items
RReservation
AAbsent
VPreservation
CLoan Campus
QRush Cataloging
DDelivery Service
SSMS
PPrint
HHolding Journal DDS
Regist No. | Call number | Item location | Status | Expected return date | Service |
---|
Booktalk
Please feel free to read the book
and write your impressions.
글쓰기
and write your impressions.
Call Sign Browsing
Related Popular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