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alog
LDR | 07687namka2201633 k 4500 | ||
001 | 0000420399▲ | ||
005 | 20180520044108▲ | ||
007 | ta▲ | ||
008 | 000309s1999 000a kor ▲ | ||
020 | ▼a 8942813615(제4권)▲ | ||
040 | ▼a 221016 ▼d 221016▲ | ||
082 | 0 | ▼a 811.37▼2 21▲ | |
090 | ▼a 811.37▼b 기37ㅇ▲ | ||
245 | 1 | 0 | ▼a (국역)기문총화/▼d 김동욱 譯▼n 4▲ |
260 | ▼a 서울:▼b 아세아문화사,▼c 1999.▲ | ||
300 | ▼a 349 p;▼c 23 cm.▲ | ||
440 | 0 | 0 | ▼a 우리 옛이야기 국역 시리즈;▼v 3▲ |
500 | ▼a 보고들은 이야기를 모은책▲ | ||
504 | ▼a 색인 : p. 345-349▲ | ||
505 | 0 | ▼a v.4권 : 아랫사람에게 심하게 군 이조 정랑. - 서로 의기가 통하였던 홍윤성과 전임. - 관상을 잘 보았던 유영. - 뱃길을 도와준 박이서의 혼령. - 성주 기생 은대선을 총애한 강혼. - 김명원의 밀애를 알아맞힌 점쟁이. - 관노에게 내린 유성증의 혼령. - 시로 집현전에 발탁된 임원준. - 늙어서야 과거에 급제한 이서징. - 남편의 부정해위를 예견한 발필활의 아내. - 나주 기생 장미에게 빠진 정이오. - 여류 화사 홍천기에게 반한 서거정. - 나주 기생 옥부향과 인연을 맺은 권경유. - 황진이에게 반해 친구들과의 약속을 어긴 소세양. - 눈 속의 연꽃 구경. - 이공린의 후손이 자라를 먹지 않게 된 사연. - 송도삼절. -황진이의 유혹에 넘어가지 않은 화담 선생. - 주색에 빠져 일찍 죽은 백광홍. - 규암 송인수가 사약을 받던 날. - 꿈을 꾸고 나서 시를 완성한 양희. - 아들을 둔 자의 시와 두지 못한 자의 시. - 딴 생각을 하다가 엉뚱한 대답을 한 노분. - 오래 살고 싶은 욕망. - 닥치는 대로 여색을 가까이한 송언신. - 백사 이항복과 오봉 이호민의 우애. - 장안 명기 관홍장. - 백발 도령과 손짓 서장관. - 친구 말을 빌려 타고 금강산을 유람한 이항복. - 제목에서 벗어난 글을 많이 지은 유영충. - 꿈의 조짐대로 장원 급제한 이민구. - 불에 탄 집을 두구도 해학을 즐긴 조경기. - 젊은이의 협박으로 시를 고쳐 지은 심정. - 성인만이 성인을 알아봄. - 오씨 부인의 혼이 내린 인평대군의 계집종. - 부안의 명기 계생. - <박연 폭포> 시를 지어 사람들을 놀라게 한 정민수. - 안주 교수로 떠나며 시를 남긴 신혼. - 술에 취해 물에 빠진 채유후. - 슬픔을 자아낸 만시. - 시를 잘 지은 임도삼. - 시재가 빼어났던 허난설헌. - 시 짓는 재주를 타고난 상민 처녀. - 시를 지어 송국첨을 유혹한 용성기 우돌. - 시를 잘 지었던 권씨 집 계집종 얼현. - 기생집에서 아전의 두건을 쓰고 나와 망신을 당한 박충간. - 조옥결이었다가 이전인이 된 사연. - 정국공신 정광필과 김선의 화상. - 거짓말로 종형을 놀린 목창명. - 계집종을 가까이하다가 망신을 당한 송찬. - 여색을 멀리한 세 사람. - 부채에 적힌 예언대로 화를 당한 유자광. - 나주 성황사를 불태운 홍윤성. - 귀물을 쫓고 불상을 발굴한 김유. - 성황신의 신위를 돌려준 김효원. - 귀물의 재앙으로 망한 강석기 집안. - 모함을 받고 죽은 성천 기생 득옥. - 평안도 무인에게 깃들인 김석주의 혼령. - 양화도로 불렸던 한종유. - 문곡성의 화신인 강감찬. - 물에 빠졌다가 나온 영태의 말솜씨. - 익재 이제현의 충성심. - 호환을 없앤 강감찬. - 처를 버리려는 상인을 감화시킨 김돈시의 시. - 귀신을 감동시킨 박인량의 시. - 귀신이 지은 시로 장원 급제한 정지상. - 중국에 사신으로 갔다가 미인을 만난 이곡. - 임숙영의 죽음을 알려준 꿈의 조짐. - 종더러 대신 관상을 보게 한 유전. - 윤필상의 평생을 알아맞힌 중국의 점쟁이. - 이이첨의 죽음을 예견한 맹인 점쟁이. - 호랑이의 호위를 받은 한명회. - 압구정을 지은 한명회. - 변계량의 시를 비웃은 김구경. - 글재주가 뛰어나 죄를 용서받은 임원준. - 대구를 짓는 데 뛰어났던 김안국. - 그릇을 보고 인재를 등용한 이준경. - 기인으로 알려졌던 신만 - 남편을 위기에서 구한 구인후의 아내. - 이수광과 윤방을 천거한 김상헌. - 눈빛으로 밤에 글을 쓴 사람. - 교만하게 굴다가 목이 부러져 죽은 사나이. - 외국 첩자를 잡아죽인 포도대장 이완. - 성몽정의 출생 내력. - 정태화의 통찰력. - 성품이 너그럽고 침착하였던 인렬왕후. - 동방의 이인 정염. - 월산대군의 추천으로 벼슬을 얻은 이탁. - 바둑 솜씨를 자랑하다 망신 당한 덕원령. - 성격이 엄하고 급하였던 유충걸. - 관상을 잘 본 방탕아 이함. - 인종과 교유한 김인후. - 평민의 딸에게서 태어난 김귀영. - 적선을 하고 후손을 얻은 윤변. - 다시 출제된 문제로 과거에 급제한 여성제. - 맹인 점쟁이의 말대로 출세한 민형남. - 박신규가 출세할 것을 알아본 기생. - 송상현의 충의와 그의 첩 이양녀의 절개. - 백성과 벼슬아치 사이의 송사를 엄정히 처리한 이완. - 꿈의 조짐대로 과거에 급제한 윤계. - 혼령이 되어 돌아온 윤안국. - 기이한 것을 숭상한 윤순거. - 채유후의 풍류와 해학. - 이제신 혼령의 도움으로 적을 막은 이정암. - 이덕형을 조카사위로 삼은 토정 이지함. - 이정구의 지도로 과거에 급제한 중국 선비. - 태평성대의 풍류와 기상. - 용의 도움으로 과거게 급제한 김육. - 이상진과 전동흘의 우정. - 이시백 처자의 충복 언립. - 저승의 관리가 되어 이승에 나타난 신경연. - 신선이 된 남추. - 이정구를 대신하여 시를 지은 차천로. - 인물이 못난 정언황의 부인 - 종이 도둑을 찾아낸 정효성. - 정두경의 젊은 시절 풍류. - 함순명의 점쾌대로 병조 판서가 된 박서.▲ | |
740 | ▼a 아들을 둔 자의 시와 두지 못한 자의 시;▼n 4▲ | ||
740 | ▼a 딴 생각을 하다가 엉뚱한 대답을 한 노분;▼n 4▲ | ||
740 | ▼a 오래 살고 싶은 욕망;▼n 4▲ | ||
740 | ▼a 닥치는 대로 여색을 가까이한 송언신;▼n 4▲ | ||
740 | ▼a 백사 이항복과 오봉 이호민의 우애;▼n 4▲ | ||
740 | ▼a 장안 명기 관홍장;▼n 4▲ | ||
740 | ▼a 백발 도령과 손짓 서장관;▼n 4▲ | ||
740 | ▼a 친구 말을 빌려 타고 금강산을 유람한 이항복;▼n 4▲ | ||
740 | ▼a 제목에서 벗어난 글을 많이 지은 유영충;▼n 4▲ | ||
740 | ▼a 꿈의 조짐대로 장원 급제한 이민구;▼n 4▲ | ||
740 | ▼a 불에 탄 집을 두구도 해학을 즐긴 조경기;▼n 4▲ | ||
740 | ▼a 젊은이의 협박으로 시를 고쳐 지은 심정;▼n 4▲ | ||
740 | ▼a 성인만이 성인을 알아봄;▼n 4▲ | ||
740 | ▼a 오씨 부인의 혼이 내린 인평대군의 계집종;▼n 4▲ | ||
740 | ▼a 부안의 명기 계생;▼n 4▲ | ||
740 | ▼a <박연 폭포> 시를 지어 사람들을 놀라게 한 정민수;▼n 4▲ | ||
740 | ▼a 안주 교수로 떠나며 시를 남긴 신혼;▼n 4▲ | ||
740 | ▼a 술에 취해 물에 빠진 채유후;▼n 4▲ | ||
740 | ▼a 슬픔을 자아낸 만시;▼n 4▲ | ||
740 | ▼a 시를 잘 지은 임도삼;▼n 4▲ | ||
740 | ▼a 시재가 빼어났던 허난설헌;▼n 4▲ | ||
740 | ▼a 시 짓는 재주를 타고난 상민 처녀;▼n 4▲ | ||
740 | ▼a 시를 지어 송국첨을 유혹한 용성기 우돌;▼n 4▲ | ||
740 | ▼a 시를 잘 지었던 권씨 집 계집종 얼현;▼n 4▲ | ||
740 | ▼a 기생집에서 아전의 두건을 쓰고 나와 망신을 당한 박충간'▼n 4▲ | ||
740 | ▼a 조옥결이었다가 이전인이 된 사연;▼n 4▲ | ||
740 | ▼a 정국공신 정광필과 김선의 화상;▼n 4▲ | ||
740 | ▼a 거짓말로 종형을 놀린 목창명;▼n 4▲ | ||
740 | ▼a 계집종을 가까이하다가 망신을 당한 송찬;▼n 4▲ | ||
740 | ▼a 여색을 멀리한 세 사람;▲ | ||
740 | ▼a 부채에 적힌 예언대로 화를 당한 유자광;▼n 4▲ | ||
740 | ▼a 나주 성황사를 불태운 홍윤성;▼n 4▲ | ||
740 | ▼a 귀물을 쫓고 불상을 발굴한 김유;▼n 4▲ | ||
740 | ▼a 성황신의 신위를 돌려준 김효원;▼n 4▲ | ||
740 | ▼a 귀물의 재앙으로 망한 강석기 집안;▼n 4▲ | ||
740 | ▼a 모함을 받고 죽은 성천 기생 득옥;▼n 4▲ | ||
740 | ▼a 평안도 무인에게 깃들인 김석주의 혼령;▼n 4▲ | ||
740 | ▼a 양화도로 불렸던 한종유;▼n 4▲ | ||
740 | ▼a 문곡성의 화신인 강감찬;▼n 4▲ | ||
740 | ▼a 물에 빠졌다가 나온 영태의 말솜씨;▼n 4▲ | ||
740 | ▼a 익재 이제현의 충성심;▼n 4▲ | ||
740 | ▼a 호환을 없앤 강감찬;▼n 4▲ | ||
740 | ▼a 처를 버리려는 상인을 감화시킨 김돈시의 시;▼n 4▲ | ||
740 | ▼a 귀신을 감동시킨 박인량의 시;▼n 4▲ | ||
740 | ▼a 귀신이 지은 시로 장원 급제한 정지상;▼n 4▲ | ||
740 | ▼a 중국에 사신으로 갔다가 미인을 만난 이곡;▼n 4▲ | ||
740 | ▼a 임숙영의 죽음을 알려준 꿈의 조짐;▼n 4▲ | ||
740 | ▼a 종더러 대신 관상을 보게 한 유전;▼n 4▲ | ||
740 | ▼a 윤필상의 평생을 알아맞힌 중국의 점쟁이;▼n 4▲ | ||
740 | ▼a 이이첨의 죽음을 예견한 맹인 점쟁이;▼n 4▲ | ||
740 | ▼a 호랑이의 호위를 받은 한명회;▼n 4▲ | ||
740 | ▼a 압구정을 지은 한명회;▼n 4▲ | ||
740 | ▼a 변계량의 시를 비웃은 김구경;▼n 4▲ | ||
740 | ▼a 글재주가 뛰어나 죄를 용서받은 임원준;▼n 4▲ | ||
740 | ▼a 대구를 짓는 데 뛰어났던 김안국;▼n 4▲ | ||
740 | ▼a 그릇을 보고 인재를 등용한 이준경;▼n 4▲ | ||
740 | ▼a 기인으로 알려졌던 신만;▼n 4▲ | ||
740 | ▼a 남편을 위기에서 구한 구인후의 아내;▼n 4▲ | ||
740 | ▼a 이수광과 윤방을 천거한 김상헌;▼n 4▲ | ||
740 | ▼a 눈빛으로 밤에 글을 쓴 사람;▼n 4▲ | ||
740 | ▼a 교만하게 굴다가 목이 부러져 죽은 사나이;▼n 4▲ | ||
740 | ▼a 외국 첩자를 잡아죽인 포도대장 이완;▼n 4▲ | ||
740 | ▼a 성몽정의 출생 내력;▼n 4▲ | ||
740 | ▼a 정태화의 통찰력;▼n 4▲ | ||
740 | ▼a 성품이 너그럽고 침착하였던 인렬왕후;▼n 4▲ | ||
740 | ▼a 동방의 이인 정염;▼n 4▲ | ||
740 | ▼a 월산대군의 추천으로 벼슬을 얻은 이탁;▼n 4▲ | ||
740 | ▼a 바둑 솜씨를 자랑하다 망신 당한 덕원령;▼n 4▲ | ||
740 | ▼a 성격이 엄하고 급하였던 유충걸;▼n 4▲ | ||
740 | ▼a 관상을 잘 본 방탕아 이함;▼n 4▲ | ||
740 | ▼a 인종과 교유한 김인후;▼n 4▲ | ||
740 | ▼a 평민의 딸에게서 태어난 김귀영;▼n 4▲ | ||
740 | ▼a 적선을 하고 후손을 얻은 윤변;▼n 4▲ | ||
740 | ▼a 다시 출제된 문제로 과거에 급제한 여성제;▼n 4▲ | ||
740 | ▼a 맹인 점쟁이의 말대로 출세한 민형남;▼n 4▲ | ||
740 | ▼a 박신규가 출세할 것을 알아본 기생;▼n 4▲ | ||
740 | ▼a 송상현의 충의와 그의 첩 이양녀의 절개;▼n 4▲ | ||
740 | ▼a 백성과 벼슬아치 사이의 송사를 엄정히 처리한 이완;▼n 4▲ | ||
740 | ▼a 꿈의 조짐대로 과거에 급제한 윤계;▼n 4▲ | ||
740 | ▼a 혼령이 되어 돌아온 윤안국;▼n 4▲ | ||
740 | ▼a 기이한 것을 숭상한 윤순거;▼n 4▲ | ||
740 | ▼a 채유후의 풍류와 해학;▼n 4▲ | ||
740 | ▼a 이제신 혼령의 도움으로 적을 막은 이정암;▼n 4▲ | ||
740 | ▼a 이덕형을 조카사위로 삼은 토정 이지함;▼n 4▲ | ||
740 | ▼a 이정구의 지도로 과거에 급제한 중국 선비;▼n 4▲ | ||
740 | ▼a 태평성대의 풍류와 기상;▼n 4▲ | ||
740 | ▼a 용의 도움으로 과거에 급제한 김육;▼n 4▲ | ||
740 | ▼a 이상진과 전동흘의 우정;▼n 4▲ | ||
740 | ▼a 이시백 처자의 충복 언립;▼n 4▲ | ||
740 | ▼a 저승의 관리가 되어 이승에 나타난 신경연;▼n 4▲ | ||
740 | ▼a 신선이 된 남추;▼n 4▲ | ||
740 | ▼a 이정구를 대신하여 시를 지은 차천로;▼n 4▲ | ||
740 | ▼a 인물이 못난 정언황의 부인;▼n 4▲ | ||
740 | ▼a 종이 도둑을 찾아낸 정효성;▼n 4▲ | ||
740 | ▼a 정두경의 젊은 시절 풍류;▼n 4▲ | ||
740 | ▼a 함순명의 점쾌대로 병조 판서가 된 박서;▼n 4▲ | ||
740 | ▼a 아랫사람에게 심하게 군 이조 정랑;▼n 4▲ | ||
740 | ▼a 서로 의기가 통하였던 홍윤성과 전임;▼n 4▲ | ||
740 | ▼a 관상을 잘 보았던 유영;▼n 4▲ | ||
740 | ▼a 뱃길을 도와준 박이서의 혼령;▼n 4▲ | ||
740 | ▼a 성주 기생 은대선을 총애한 강혼;▼n 4▲ | ||
740 | ▼a 김명원의 밀애를 알아맞힌 점쟁이;▼n 4▲ | ||
740 | ▼a 관노에게 내린 유성증의 혼령;▼n 4▲ | ||
740 | ▼a 시로 집현전에 발탁된 임원준;▼n 4▲ | ||
740 | ▼a 늙어서야 과거에 급제한 이서징;▼n 4▲ | ||
740 | ▼a 남편의 부정해위를 예견한 발필활의 아내;▼n 4▲ | ||
740 | ▼a 나주 기생 장미에게 빠진 정이오;▼n 4▲ | ||
740 | ▼a 여류 화사 홍천기에게 반한 서거정;▼n 4▲ | ||
740 | ▼a 나주 기생 옥부향과 인연을 맺은 권경유;▼n 4▲ | ||
740 | ▼a 황진이에게 반해 친구들과의 약속을 어긴 소세양;▼n 4▲ | ||
740 | ▼a 눈 속의 연꽃 구경;▼n 4▲ | ||
740 | ▼a 이공린의 후손이 자라를 먹지 않게 된 사연;▼n 4▲ | ||
740 | ▼a 송도삼절;▼n 4▲ | ||
740 | ▼a 황진이의 유혹에 넘어가지 않은 화담 선생;▼n 4▲ | ||
740 | ▼a 주색에 빠져 일찍 죽은 백광홍;▼n 4▲ | ||
740 | ▼a 규암 송인수가 사약을 받던 날;▼n 4▲ | ||
740 | ▼a 꿈을 꾸고 나서 시를 완성한 양희;▼n 4▲ | ||
950 | 0 | 0 | ▼b ₩15000▲ |
999 | ▼a 임정희▼b 정혜승▲ |

(국역)기문총화 4
Document Type
Domestic Book
Title
(국역)기문총화 / 김동욱 譯 4
부출서명
아들을 둔 자의 시와 두지 못한 자의 시;; 4
딴 생각을 하다가 엉뚱한 대답을 한 노분;; 4
오래 살고 싶은 욕망;; 4
닥치는 대로 여색을 가까이한 송언신;; 4
백사 이항복과 오봉 이호민의 우애;; 4
장안 명기 관홍장;; 4
백발 도령과 손짓 서장관;; 4
친구 말을 빌려 타고 금강산을 유람한 이항복;; 4
제목에서 벗어난 글을 많이 지은 유영충;; 4
꿈의 조짐대로 장원 급제한 이민구;; 4
불에 탄 집을 두구도 해학을 즐긴 조경기;; 4
젊은이의 협박으로 시를 고쳐 지은 심정;; 4
성인만이 성인을 알아봄;; 4
오씨 부인의 혼이 내린 인평대군의 계집종;; 4
부안의 명기 계생;; 4
<박연 폭포> 시를 지어 사람들을 놀라게 한 정민수;; 4
안주 교수로 떠나며 시를 남긴 신혼;; 4
술에 취해 물에 빠진 채유후;; 4
슬픔을 자아낸 만시;; 4
시를 잘 지은 임도삼;; 4
시재가 빼어났던 허난설헌;; 4
시 짓는 재주를 타고난 상민 처녀;; 4
시를 지어 송국첨을 유혹한 용성기 우돌;; 4
시를 잘 지었던 권씨 집 계집종 얼현;; 4
기생집에서 아전의 두건을 쓰고 나와 망신을 당한 박충간'; 4
조옥결이었다가 이전인이 된 사연;; 4
정국공신 정광필과 김선의 화상;; 4
거짓말로 종형을 놀린 목창명;; 4
계집종을 가까이하다가 망신을 당한 송찬;; 4
여색을 멀리한 세 사람
부채에 적힌 예언대로 화를 당한 유자광;; 4
나주 성황사를 불태운 홍윤성;; 4
귀물을 쫓고 불상을 발굴한 김유;; 4
성황신의 신위를 돌려준 김효원;; 4
귀물의 재앙으로 망한 강석기 집안;; 4
모함을 받고 죽은 성천 기생 득옥;; 4
평안도 무인에게 깃들인 김석주의 혼령;; 4
양화도로 불렸던 한종유;; 4
문곡성의 화신인 강감찬;; 4
물에 빠졌다가 나온 영태의 말솜씨;; 4
익재 이제현의 충성심;; 4
호환을 없앤 강감찬;; 4
처를 버리려는 상인을 감화시킨 김돈시의 시;; 4
귀신을 감동시킨 박인량의 시;; 4
귀신이 지은 시로 장원 급제한 정지상;; 4
중국에 사신으로 갔다가 미인을 만난 이곡;; 4
임숙영의 죽음을 알려준 꿈의 조짐;; 4
종더러 대신 관상을 보게 한 유전;; 4
윤필상의 평생을 알아맞힌 중국의 점쟁이;; 4
이이첨의 죽음을 예견한 맹인 점쟁이;; 4
호랑이의 호위를 받은 한명회;; 4
압구정을 지은 한명회;; 4
변계량의 시를 비웃은 김구경;; 4
글재주가 뛰어나 죄를 용서받은 임원준;; 4
대구를 짓는 데 뛰어났던 김안국;; 4
그릇을 보고 인재를 등용한 이준경;; 4
기인으로 알려졌던 신만;; 4
남편을 위기에서 구한 구인후의 아내;; 4
이수광과 윤방을 천거한 김상헌;; 4
눈빛으로 밤에 글을 쓴 사람;; 4
교만하게 굴다가 목이 부러져 죽은 사나이;; 4
외국 첩자를 잡아죽인 포도대장 이완;; 4
성몽정의 출생 내력;; 4
정태화의 통찰력;; 4
성품이 너그럽고 침착하였던 인렬왕후;; 4
동방의 이인 정염;; 4
월산대군의 추천으로 벼슬을 얻은 이탁;; 4
바둑 솜씨를 자랑하다 망신 당한 덕원령;; 4
성격이 엄하고 급하였던 유충걸;; 4
관상을 잘 본 방탕아 이함;; 4
인종과 교유한 김인후;; 4
평민의 딸에게서 태어난 김귀영;; 4
적선을 하고 후손을 얻은 윤변;; 4
다시 출제된 문제로 과거에 급제한 여성제;; 4
맹인 점쟁이의 말대로 출세한 민형남;; 4
박신규가 출세할 것을 알아본 기생;; 4
송상현의 충의와 그의 첩 이양녀의 절개;; 4
백성과 벼슬아치 사이의 송사를 엄정히 처리한 이완;; 4
꿈의 조짐대로 과거에 급제한 윤계;; 4
혼령이 되어 돌아온 윤안국;; 4
기이한 것을 숭상한 윤순거;; 4
채유후의 풍류와 해학;; 4
이제신 혼령의 도움으로 적을 막은 이정암;; 4
이덕형을 조카사위로 삼은 토정 이지함;; 4
이정구의 지도로 과거에 급제한 중국 선비;; 4
태평성대의 풍류와 기상;; 4
용의 도움으로 과거에 급제한 김육;; 4
이상진과 전동흘의 우정;; 4
이시백 처자의 충복 언립;; 4
저승의 관리가 되어 이승에 나타난 신경연;; 4
신선이 된 남추;; 4
이정구를 대신하여 시를 지은 차천로;; 4
인물이 못난 정언황의 부인;; 4
종이 도둑을 찾아낸 정효성;; 4
정두경의 젊은 시절 풍류;; 4
함순명의 점쾌대로 병조 판서가 된 박서;; 4
아랫사람에게 심하게 군 이조 정랑;; 4
서로 의기가 통하였던 홍윤성과 전임;; 4
관상을 잘 보았던 유영;; 4
뱃길을 도와준 박이서의 혼령;; 4
성주 기생 은대선을 총애한 강혼;; 4
김명원의 밀애를 알아맞힌 점쟁이;; 4
관노에게 내린 유성증의 혼령;; 4
시로 집현전에 발탁된 임원준;; 4
늙어서야 과거에 급제한 이서징;; 4
남편의 부정해위를 예견한 발필활의 아내;; 4
나주 기생 장미에게 빠진 정이오;; 4
여류 화사 홍천기에게 반한 서거정;; 4
나주 기생 옥부향과 인연을 맺은 권경유;; 4
황진이에게 반해 친구들과의 약속을 어긴 소세양;; 4
눈 속의 연꽃 구경;; 4
이공린의 후손이 자라를 먹지 않게 된 사연;; 4
송도삼절;; 4
황진이의 유혹에 넘어가지 않은 화담 선생;; 4
주색에 빠져 일찍 죽은 백광홍;; 4
규암 송인수가 사약을 받던 날;; 4
꿈을 꾸고 나서 시를 완성한 양희;; 4
딴 생각을 하다가 엉뚱한 대답을 한 노분;; 4
오래 살고 싶은 욕망;; 4
닥치는 대로 여색을 가까이한 송언신;; 4
백사 이항복과 오봉 이호민의 우애;; 4
장안 명기 관홍장;; 4
백발 도령과 손짓 서장관;; 4
친구 말을 빌려 타고 금강산을 유람한 이항복;; 4
제목에서 벗어난 글을 많이 지은 유영충;; 4
꿈의 조짐대로 장원 급제한 이민구;; 4
불에 탄 집을 두구도 해학을 즐긴 조경기;; 4
젊은이의 협박으로 시를 고쳐 지은 심정;; 4
성인만이 성인을 알아봄;; 4
오씨 부인의 혼이 내린 인평대군의 계집종;; 4
부안의 명기 계생;; 4
<박연 폭포> 시를 지어 사람들을 놀라게 한 정민수;; 4
안주 교수로 떠나며 시를 남긴 신혼;; 4
술에 취해 물에 빠진 채유후;; 4
슬픔을 자아낸 만시;; 4
시를 잘 지은 임도삼;; 4
시재가 빼어났던 허난설헌;; 4
시 짓는 재주를 타고난 상민 처녀;; 4
시를 지어 송국첨을 유혹한 용성기 우돌;; 4
시를 잘 지었던 권씨 집 계집종 얼현;; 4
기생집에서 아전의 두건을 쓰고 나와 망신을 당한 박충간'; 4
조옥결이었다가 이전인이 된 사연;; 4
정국공신 정광필과 김선의 화상;; 4
거짓말로 종형을 놀린 목창명;; 4
계집종을 가까이하다가 망신을 당한 송찬;; 4
여색을 멀리한 세 사람
부채에 적힌 예언대로 화를 당한 유자광;; 4
나주 성황사를 불태운 홍윤성;; 4
귀물을 쫓고 불상을 발굴한 김유;; 4
성황신의 신위를 돌려준 김효원;; 4
귀물의 재앙으로 망한 강석기 집안;; 4
모함을 받고 죽은 성천 기생 득옥;; 4
평안도 무인에게 깃들인 김석주의 혼령;; 4
양화도로 불렸던 한종유;; 4
문곡성의 화신인 강감찬;; 4
물에 빠졌다가 나온 영태의 말솜씨;; 4
익재 이제현의 충성심;; 4
호환을 없앤 강감찬;; 4
처를 버리려는 상인을 감화시킨 김돈시의 시;; 4
귀신을 감동시킨 박인량의 시;; 4
귀신이 지은 시로 장원 급제한 정지상;; 4
중국에 사신으로 갔다가 미인을 만난 이곡;; 4
임숙영의 죽음을 알려준 꿈의 조짐;; 4
종더러 대신 관상을 보게 한 유전;; 4
윤필상의 평생을 알아맞힌 중국의 점쟁이;; 4
이이첨의 죽음을 예견한 맹인 점쟁이;; 4
호랑이의 호위를 받은 한명회;; 4
압구정을 지은 한명회;; 4
변계량의 시를 비웃은 김구경;; 4
글재주가 뛰어나 죄를 용서받은 임원준;; 4
대구를 짓는 데 뛰어났던 김안국;; 4
그릇을 보고 인재를 등용한 이준경;; 4
기인으로 알려졌던 신만;; 4
남편을 위기에서 구한 구인후의 아내;; 4
이수광과 윤방을 천거한 김상헌;; 4
눈빛으로 밤에 글을 쓴 사람;; 4
교만하게 굴다가 목이 부러져 죽은 사나이;; 4
외국 첩자를 잡아죽인 포도대장 이완;; 4
성몽정의 출생 내력;; 4
정태화의 통찰력;; 4
성품이 너그럽고 침착하였던 인렬왕후;; 4
동방의 이인 정염;; 4
월산대군의 추천으로 벼슬을 얻은 이탁;; 4
바둑 솜씨를 자랑하다 망신 당한 덕원령;; 4
성격이 엄하고 급하였던 유충걸;; 4
관상을 잘 본 방탕아 이함;; 4
인종과 교유한 김인후;; 4
평민의 딸에게서 태어난 김귀영;; 4
적선을 하고 후손을 얻은 윤변;; 4
다시 출제된 문제로 과거에 급제한 여성제;; 4
맹인 점쟁이의 말대로 출세한 민형남;; 4
박신규가 출세할 것을 알아본 기생;; 4
송상현의 충의와 그의 첩 이양녀의 절개;; 4
백성과 벼슬아치 사이의 송사를 엄정히 처리한 이완;; 4
꿈의 조짐대로 과거에 급제한 윤계;; 4
혼령이 되어 돌아온 윤안국;; 4
기이한 것을 숭상한 윤순거;; 4
채유후의 풍류와 해학;; 4
이제신 혼령의 도움으로 적을 막은 이정암;; 4
이덕형을 조카사위로 삼은 토정 이지함;; 4
이정구의 지도로 과거에 급제한 중국 선비;; 4
태평성대의 풍류와 기상;; 4
용의 도움으로 과거에 급제한 김육;; 4
이상진과 전동흘의 우정;; 4
이시백 처자의 충복 언립;; 4
저승의 관리가 되어 이승에 나타난 신경연;; 4
신선이 된 남추;; 4
이정구를 대신하여 시를 지은 차천로;; 4
인물이 못난 정언황의 부인;; 4
종이 도둑을 찾아낸 정효성;; 4
정두경의 젊은 시절 풍류;; 4
함순명의 점쾌대로 병조 판서가 된 박서;; 4
아랫사람에게 심하게 군 이조 정랑;; 4
서로 의기가 통하였던 홍윤성과 전임;; 4
관상을 잘 보았던 유영;; 4
뱃길을 도와준 박이서의 혼령;; 4
성주 기생 은대선을 총애한 강혼;; 4
김명원의 밀애를 알아맞힌 점쟁이;; 4
관노에게 내린 유성증의 혼령;; 4
시로 집현전에 발탁된 임원준;; 4
늙어서야 과거에 급제한 이서징;; 4
남편의 부정해위를 예견한 발필활의 아내;; 4
나주 기생 장미에게 빠진 정이오;; 4
여류 화사 홍천기에게 반한 서거정;; 4
나주 기생 옥부향과 인연을 맺은 권경유;; 4
황진이에게 반해 친구들과의 약속을 어긴 소세양;; 4
눈 속의 연꽃 구경;; 4
이공린의 후손이 자라를 먹지 않게 된 사연;; 4
송도삼절;; 4
황진이의 유혹에 넘어가지 않은 화담 선생;; 4
주색에 빠져 일찍 죽은 백광홍;; 4
규암 송인수가 사약을 받던 날;; 4
꿈을 꾸고 나서 시를 완성한 양희;; 4
Publication
서울 : 아세아문화사 , 1999.
Physical Description
349 p ; 23 cm.
Series Title
우리 옛이야기 국역 시리즈 ; 3
General Note
보고들은 이야기를 모은책
Bibliography Note
색인 : p. 345-349
Formatted Contents Note
v.4권 : 아랫사람에게 심하게 군 이조 정랑. - 서로 의기가 통하였던 홍윤성과 전임. - 관상을 잘 보았던 유영. - 뱃길을 도와준 박이서의 혼령. - 성주 기생 은대선을 총애한 강혼. - 김명원의 밀애를 알아맞힌 점쟁이. - 관노에게 내린 유성증의 혼령. - 시로 집현전에 발탁된 임원준. - 늙어서야 과거에 급제한 이서징. - 남편의 부정해위를 예견한 발필활의 아내. - 나주 기생 장미에게 빠진 정이오. - 여류 화사 홍천기에게 반한 서거정. - 나주 기생 옥부향과 인연을 맺은 권경유. - 황진이에게 반해 친구들과의 약속을 어긴 소세양. - 눈 속의 연꽃 구경. - 이공린의 후손이 자라를 먹지 않게 된 사연. - 송도삼절. -황진이의 유혹에 넘어가지 않은 화담 선생. - 주색에 빠져 일찍 죽은 백광홍. - 규암 송인수가 사약을 받던 날. - 꿈을 꾸고 나서 시를 완성한 양희. - 아들을 둔 자의 시와 두지 못한 자의 시. - 딴 생각을 하다가 엉뚱한 대답을 한 노분. - 오래 살고 싶은 욕망. - 닥치는 대로 여색을 가까이한 송언신. - 백사 이항복과 오봉 이호민의 우애. - 장안 명기 관홍장. - 백발 도령과 손짓 서장관. - 친구 말을 빌려 타고 금강산을 유람한 이항복. - 제목에서 벗어난 글을 많이 지은 유영충. - 꿈의 조짐대로 장원 급제한 이민구. - 불에 탄 집을 두구도 해학을 즐긴 조경기. - 젊은이의 협박으로 시를 고쳐 지은 심정. - 성인만이 성인을 알아봄. - 오씨 부인의 혼이 내린 인평대군의 계집종. - 부안의 명기 계생. - <박연 폭포> 시를 지어 사람들을 놀라게 한 정민수. - 안주 교수로 떠나며 시를 남긴 신혼. - 술에 취해 물에 빠진 채유후. - 슬픔을 자아낸 만시. - 시를 잘 지은 임도삼. - 시재가 빼어났던 허난설헌. - 시 짓는 재주를 타고난 상민 처녀. - 시를 지어 송국첨을 유혹한 용성기 우돌. - 시를 잘 지었던 권씨 집 계집종 얼현. - 기생집에서 아전의 두건을 쓰고 나와 망신을 당한 박충간. - 조옥결이었다가 이전인이 된 사연. - 정국공신 정광필과 김선의 화상. - 거짓말로 종형을 놀린 목창명. - 계집종을 가까이하다가 망신을 당한 송찬. - 여색을 멀리한 세 사람. - 부채에 적힌 예언대로 화를 당한 유자광. - 나주 성황사를 불태운 홍윤성. - 귀물을 쫓고 불상을 발굴한 김유. - 성황신의 신위를 돌려준 김효원. - 귀물의 재앙으로 망한 강석기 집안. - 모함을 받고 죽은 성천 기생 득옥. - 평안도 무인에게 깃들인 김석주의 혼령. - 양화도로 불렸던 한종유. - 문곡성의 화신인 강감찬. - 물에 빠졌다가 나온 영태의 말솜씨. - 익재 이제현의 충성심. - 호환을 없앤 강감찬. - 처를 버리려는 상인을 감화시킨 김돈시의 시. - 귀신을 감동시킨 박인량의 시. - 귀신이 지은 시로 장원 급제한 정지상. - 중국에 사신으로 갔다가 미인을 만난 이곡. - 임숙영의 죽음을 알려준 꿈의 조짐. - 종더러 대신 관상을 보게 한 유전. - 윤필상의 평생을 알아맞힌 중국의 점쟁이. - 이이첨의 죽음을 예견한 맹인 점쟁이. - 호랑이의 호위를 받은 한명회. - 압구정을 지은 한명회. - 변계량의 시를 비웃은 김구경. - 글재주가 뛰어나 죄를 용서받은 임원준. - 대구를 짓는 데 뛰어났던 김안국. - 그릇을 보고 인재를 등용한 이준경. - 기인으로 알려졌던 신만 - 남편을 위기에서 구한 구인후의 아내. - 이수광과 윤방을 천거한 김상헌. - 눈빛으로 밤에 글을 쓴 사람. - 교만하게 굴다가 목이 부러져 죽은 사나이. - 외국 첩자를 잡아죽인 포도대장 이완. - 성몽정의 출생 내력. - 정태화의 통찰력. - 성품이 너그럽고 침착하였던 인렬왕후. - 동방의 이인 정염. - 월산대군의 추천으로 벼슬을 얻은 이탁. - 바둑 솜씨를 자랑하다 망신 당한 덕원령. - 성격이 엄하고 급하였던 유충걸. - 관상을 잘 본 방탕아 이함. - 인종과 교유한 김인후. - 평민의 딸에게서 태어난 김귀영. - 적선을 하고 후손을 얻은 윤변. - 다시 출제된 문제로 과거에 급제한 여성제. - 맹인 점쟁이의 말대로 출세한 민형남. - 박신규가 출세할 것을 알아본 기생. - 송상현의 충의와 그의 첩 이양녀의 절개. - 백성과 벼슬아치 사이의 송사를 엄정히 처리한 이완. - 꿈의 조짐대로 과거에 급제한 윤계. - 혼령이 되어 돌아온 윤안국. - 기이한 것을 숭상한 윤순거. - 채유후의 풍류와 해학. - 이제신 혼령의 도움으로 적을 막은 이정암. - 이덕형을 조카사위로 삼은 토정 이지함. - 이정구의 지도로 과거에 급제한 중국 선비. - 태평성대의 풍류와 기상. - 용의 도움으로 과거게 급제한 김육. - 이상진과 전동흘의 우정. - 이시백 처자의 충복 언립. - 저승의 관리가 되어 이승에 나타난 신경연. - 신선이 된 남추. - 이정구를 대신하여 시를 지은 차천로. - 인물이 못난 정언황의 부인 - 종이 도둑을 찾아낸 정효성. - 정두경의 젊은 시절 풍류. - 함순명의 점쾌대로 병조 판서가 된 박서.
ISBN
8942813615(제4권)
Call Number
811.37 기37ㅇ
Items
RReservation
AAbsent
VPreservation
CLoan Campus
QRush Cataloging
DDelivery Service
SSMS
PPrint
HHolding Journal DDS
Regist No. | Call number | Item location | Status | Expected return date | Service |
---|
Booktalk
Please feel free to read the book
and write your impressions.
글쓰기
and write your impressions.
Call Sign Browsing
Related Popular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