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alog
LDR | 04509namka2201333 k 4500 | ||
001 | 0000419795▲ | ||
005 | 20180519125132▲ | ||
007 | ta▲ | ||
008 | 000222s1997 ulk 000a kor ▲ | ||
020 | ▼a 8932006342▲ | ||
040 | ▼a 221016▼c 221016▲ | ||
082 | 0 | ▼a 809▼2 21▲ | |
090 | ▼a 809 ▼b 김94ㄱ▲ | ||
100 | 1 | ▼a 김현▲ | |
245 | 1 | 0 | ▼a 우리 시대의 문학/두꺼운 삶과 얇은 삶/▼d 김현 저.▲ |
260 | ▼a 서울:▼b 문학과지성사,▼c 1997.▲ | ||
300 | ▼a 446 p.;▼c 23 cm.▲ | ||
440 | 0 | 0 | ▼a 김현 문학전집;▼v 14▲ |
505 | 0 | ▼a 한국적 비극의 표출. - 고통스런 압지의 이미지. - 관습에서의 탈출과 좌절. - 인간의 욕망에 대하여. - 박태순의 신작 장편. - 한국 소설의 큰 물줄기. - 지리적 공간과 문학적 공간. - 소설적 반전의 묘미. - 성의 해방과 『나신』. - 새로운 형태의 소설 동인지. - 어둠 속의 밝음. - 놀람과 주장의 세계. - 전상국의 소설. - 이청준의 두 개의 장편소설. - 보석의 상상 체계. - 김종삼의 시. - 고통의 정치학. - 아름다운 무서움. - 제주 바다에서의 병신소설. - 물질적 경험과 관념적 경험. - 공업 사회와 공해 문제. - 지적 문체의 문제점. - 작가 의식의 성장. - 보기 흉한 제스처. - 김승옥의「서울, 1964년 겨울」. - 이성부의 시. - 이외수의 『꿈꾸는 식물』. - 두 시인의 시. - 윤흥길의 「장마」. - 이동하의 「장난감 도시」. - 세 가지 배신. - 고통의 시 1. - 고통의 시 2. - 현기영의 소설들. - 산문시와 쉬운 시. - 동인지 근황. - 70년대 시인들. - 70년대 문학과 상업주의. - 외국 문학의 수용. - 소설의 길이. - 문예사회학에 대하여. - 세계 인식의 다양성. - 한국 문학 연구의 수준. - 세 가지의 문학 사상. - 두 비평가의 시선. - 비판 문학론. - 새와 상처받은 유년. - 인간의 기능화에 대한 저항. - 두 유형의 젊은이 소설. - 중년 부인들의 고통스러운 삶. - 분단의 소설적 포착. - 주목할 만한 세 개의 단편집들. - 역사소설의 한 유형. - 그러나 삶은 살 만한 것이다. - 암울한 40대의 방황하는 삶. - 삶의 부조리 서정적으로 승화. - 아름다운 무서운 세계. - 전위와 사실주의의 결합. - 젊은 시인들의 좋은 시집들. - 박인환 현상. - 삶의 구체성 간직한 서정시. - 노대가들의 노년시. - 낭만적 삶의 의미 추구. - 뛰어난 오역을 만나고 싶다. - 시와 풍요한 삶. - 사르트르에 대하여. - 그리움과 두려움. - 『문심조룡』에 대하여. - 지루한 삶 속의 몽상. - 문학은 소비 상품일 수 없다. - 무크지와 동인지에 대하여. - 세련된 심미안은 악덕이 아니다. - 젊은 문학을 만나고 싶다. - 문학 이론 분야의 번역에 대하여. - 논쟁.문제작 편애. - 실험시.실험소설의 공간. - 백남준 방식의 말. - 예술적 체험의 의미. - 미술비평의 반성. - 만화 기호학에 대하여. - 겉멋부림의 세계. - 좋은 꿈 꾸기. - 두꺼운 삶과 얇은 삶. - 아버님의 죽음에 대하여. - 북꽃의 말. - 분단에 대한 한 지식인의 기행적 성찰. - '라면' 문화 생각. - 세 개의 단상. - 몸 이야기. - 모포 한 장의 이별. - 문학에서의 시간.공간. - 진흙 덩어리들.▲ | |
740 | ▼a 새와 상처받은 유년▲ | ||
740 | ▼a 인간의 기능화에 대한 저항▲ | ||
740 | ▼a 두 유형의 젊은이 소설▲ | ||
740 | ▼a 중년 부인들의 고통스러운 삶▲ | ||
740 | ▼a 분단의 소설적 포착▲ | ||
740 | ▼a 주목할 만한 세 개의 단편집들▲ | ||
740 | ▼a 역사소설의 한 유형▲ | ||
740 | ▼a 그러나 삶은 살 만한 것이다▲ | ||
740 | ▼a 암울한 40대의 방황하는 삶▲ | ||
740 | ▼a 삶의 부조리 서정적으로 승화▲ | ||
740 | ▼a 아름다운 무서운 세계▲ | ||
740 | ▼a 전위와 사실주의의 결합▲ | ||
740 | ▼a 젊은 시인들의 좋은 시집들▲ | ||
740 | ▼a 박인환 현상▲ | ||
740 | ▼a 삶의 구체성 간직한 서정시▲ | ||
740 | ▼a 노대가들의 노년시▲ | ||
740 | ▼a 낭만적 삶의 의미 추구▲ | ||
740 | ▼a 뛰어난 오역을 만나고 싶다▲ | ||
740 | ▼a 시와 풍요한 삶▲ | ||
740 | ▼a 사르트르에 대하여▲ | ||
740 | ▼a 그리움과 두려움▲ | ||
740 | ▼a 『문심조룡』에 대하여▲ | ||
740 | ▼a 지루한 삶 속의 몽상▲ | ||
740 | ▼a 문학은 소비 상품일 수 없다▲ | ||
740 | ▼a 무크지와 동인지에 대하여▲ | ||
740 | ▼a 세련된 심미안은 악덕이 아니다▲ | ||
740 | ▼a 젊은 문학을 만나고 싶다▲ | ||
740 | ▼a 문학 이론 분야의 번역에 대하여▲ | ||
740 | ▼a 논쟁.문제작 편애▲ | ||
740 | ▼a 실험시.실험소설의 공간▲ | ||
740 | ▼a 백남준 방식의 말▲ | ||
740 | ▼a 예술적 체험의 의미▲ | ||
740 | ▼a 미술 비평의 반성▲ | ||
740 | ▼a 만화 기호학에 대하여▲ | ||
740 | ▼a 겉멋부림의 세계▲ | ||
740 | ▼a 좋은 꿈 꾸기▲ | ||
740 | ▼a 두꺼운 삶과 얇은 삶▲ | ||
740 | ▼a 아버님의 죽음에 대하여▲ | ||
740 | ▼a 불꽃의 말▲ | ||
740 | ▼a 분단에 대한 한 지식인의 기행적 성찰▲ | ||
740 | ▼a '라면' 문화 생각▲ | ||
740 | ▼a 세 개의 단상▲ | ||
740 | ▼a 몸 이야기▲ | ||
740 | ▼a 모포 한 장의 이별▲ | ||
740 | ▼a 문학에서의 시간.공간▲ | ||
740 | ▼a 진흙 덩어리들▲ | ||
740 | ▼a 한국적 비극의 표출▲ | ||
740 | ▼a 고통스런 압지의 이미지▲ | ||
740 | ▼a 관습에서의 탈출과 좌절▲ | ||
740 | ▼a 인간의 욕망에 대하여▲ | ||
740 | ▼a 박태순의 신작 장편▲ | ||
740 | ▼a 한국 소설의 큰 물줄기▲ | ||
740 | ▼a 지리적 공간과 문학적 공간▲ | ||
740 | ▼a 소설적 반전의 묘미▲ | ||
740 | ▼a 성의 해방과 『나신』▲ | ||
740 | ▼a 새로운 형태의 소설 동인지▲ | ||
740 | ▼a 어둠 속의 밝음▲ | ||
740 | ▼a 놀람과 주장의 세계▲ | ||
740 | ▼a 전상국의 소설▲ | ||
740 | ▼a 이청준의 두 개의 장편소설▲ | ||
740 | ▼a 보석의 상상 체계▲ | ||
740 | ▼a 김종삼의 시▲ | ||
740 | ▼a 고통의 정치학▲ | ||
740 | ▼a 아름다운 무서움▲ | ||
740 | ▼a 제주 바다에서의 싸움▲ | ||
740 | ▼a 물질적 경험과 관념적 경험▲ | ||
740 | ▼a 공업 사회와 공해 문제▲ | ||
740 | ▼a 조세희의 병신소설▲ | ||
740 | ▼a 지적 문체의 문제점▲ | ||
740 | ▼a 작가 의식의 성장▲ | ||
740 | ▼a 보기 흉한 제스처▲ | ||
740 | ▼a 김승옥의 「서울, 1964년 겨울」▲ | ||
740 | ▼a 이성부의 시▲ | ||
740 | ▼a 이외수의 『꿈꾸는 식물』▲ | ||
740 | ▼a 두 시인의 시▲ | ||
740 | ▼a 윤홍길의 「장마」▲ | ||
740 | ▼a 이동하의 「장난감 도시」▲ | ||
740 | ▼a 세 가지 배신▲ | ||
740 | ▼a 고통의 시 1▲ | ||
740 | ▼a 고통의 시 2▲ | ||
740 | ▼a 현기영의 소설들▲ | ||
740 | ▼a 산문시와 쉬운 시▲ | ||
740 | ▼a 동인지 근황▲ | ||
740 | ▼a 70년대 시인들▲ | ||
740 | ▼a 70년대 문학과 상업주의▲ | ||
740 | ▼a 외국 문학의 수용▲ | ||
740 | ▼a 소설의 길이▲ | ||
740 | ▼a 문예사회학에 대하여▲ | ||
740 | ▼a 세계 인식의 다양성▲ | ||
740 | ▼a 한국 문학 연구의 수준▲ | ||
740 | ▼a 세 가지의 문학 사상▲ | ||
740 | ▼a 두 비평가의 시선▲ | ||
740 | ▼a 비판 문학론▲ | ||
950 | 0 | ▼b ₩13000▲ | |
999 | ▼b 김명숙▲ |

우리 시대의 문학/두꺼운 삶과 얇은 삶
Document Type
Domestic Book
Title
우리 시대의 문학/두꺼운 삶과 얇은 삶 / 김현 저.
부출서명
새와 상처받은 유년
인간의 기능화에 대한 저항
두 유형의 젊은이 소설
중년 부인들의 고통스러운 삶
분단의 소설적 포착
주목할 만한 세 개의 단편집들
역사소설의 한 유형
그러나 삶은 살 만한 것이다
암울한 40대의 방황하는 삶
삶의 부조리 서정적으로 승화
아름다운 무서운 세계
전위와 사실주의의 결합
젊은 시인들의 좋은 시집들
박인환 현상
삶의 구체성 간직한 서정시
노대가들의 노년시
낭만적 삶의 의미 추구
뛰어난 오역을 만나고 싶다
시와 풍요한 삶
사르트르에 대하여
그리움과 두려움
『문심조룡』에 대하여
지루한 삶 속의 몽상
문학은 소비 상품일 수 없다
무크지와 동인지에 대하여
세련된 심미안은 악덕이 아니다
젊은 문학을 만나고 싶다
문학 이론 분야의 번역에 대하여
논쟁.문제작 편애
실험시.실험소설의 공간
백남준 방식의 말
예술적 체험의 의미
미술 비평의 반성
만화 기호학에 대하여
겉멋부림의 세계
좋은 꿈 꾸기
두꺼운 삶과 얇은 삶
아버님의 죽음에 대하여
불꽃의 말
분단에 대한 한 지식인의 기행적 성찰
'라면' 문화 생각
세 개의 단상
몸 이야기
모포 한 장의 이별
문학에서의 시간.공간
진흙 덩어리들
한국적 비극의 표출
고통스런 압지의 이미지
관습에서의 탈출과 좌절
인간의 욕망에 대하여
박태순의 신작 장편
한국 소설의 큰 물줄기
지리적 공간과 문학적 공간
소설적 반전의 묘미
성의 해방과 『나신』
새로운 형태의 소설 동인지
어둠 속의 밝음
놀람과 주장의 세계
전상국의 소설
이청준의 두 개의 장편소설
보석의 상상 체계
김종삼의 시
고통의 정치학
아름다운 무서움
제주 바다에서의 싸움
물질적 경험과 관념적 경험
공업 사회와 공해 문제
조세희의 병신소설
지적 문체의 문제점
작가 의식의 성장
보기 흉한 제스처
김승옥의 「서울, 1964년 겨울」
이성부의 시
이외수의 『꿈꾸는 식물』
두 시인의 시
윤홍길의 「장마」
이동하의 「장난감 도시」
세 가지 배신
고통의 시 1
고통의 시 2
현기영의 소설들
산문시와 쉬운 시
동인지 근황
70년대 시인들
70년대 문학과 상업주의
외국 문학의 수용
소설의 길이
문예사회학에 대하여
세계 인식의 다양성
한국 문학 연구의 수준
세 가지의 문학 사상
두 비평가의 시선
비판 문학론
인간의 기능화에 대한 저항
두 유형의 젊은이 소설
중년 부인들의 고통스러운 삶
분단의 소설적 포착
주목할 만한 세 개의 단편집들
역사소설의 한 유형
그러나 삶은 살 만한 것이다
암울한 40대의 방황하는 삶
삶의 부조리 서정적으로 승화
아름다운 무서운 세계
전위와 사실주의의 결합
젊은 시인들의 좋은 시집들
박인환 현상
삶의 구체성 간직한 서정시
노대가들의 노년시
낭만적 삶의 의미 추구
뛰어난 오역을 만나고 싶다
시와 풍요한 삶
사르트르에 대하여
그리움과 두려움
『문심조룡』에 대하여
지루한 삶 속의 몽상
문학은 소비 상품일 수 없다
무크지와 동인지에 대하여
세련된 심미안은 악덕이 아니다
젊은 문학을 만나고 싶다
문학 이론 분야의 번역에 대하여
논쟁.문제작 편애
실험시.실험소설의 공간
백남준 방식의 말
예술적 체험의 의미
미술 비평의 반성
만화 기호학에 대하여
겉멋부림의 세계
좋은 꿈 꾸기
두꺼운 삶과 얇은 삶
아버님의 죽음에 대하여
불꽃의 말
분단에 대한 한 지식인의 기행적 성찰
'라면' 문화 생각
세 개의 단상
몸 이야기
모포 한 장의 이별
문학에서의 시간.공간
진흙 덩어리들
한국적 비극의 표출
고통스런 압지의 이미지
관습에서의 탈출과 좌절
인간의 욕망에 대하여
박태순의 신작 장편
한국 소설의 큰 물줄기
지리적 공간과 문학적 공간
소설적 반전의 묘미
성의 해방과 『나신』
새로운 형태의 소설 동인지
어둠 속의 밝음
놀람과 주장의 세계
전상국의 소설
이청준의 두 개의 장편소설
보석의 상상 체계
김종삼의 시
고통의 정치학
아름다운 무서움
제주 바다에서의 싸움
물질적 경험과 관념적 경험
공업 사회와 공해 문제
조세희의 병신소설
지적 문체의 문제점
작가 의식의 성장
보기 흉한 제스처
김승옥의 「서울, 1964년 겨울」
이성부의 시
이외수의 『꿈꾸는 식물』
두 시인의 시
윤홍길의 「장마」
이동하의 「장난감 도시」
세 가지 배신
고통의 시 1
고통의 시 2
현기영의 소설들
산문시와 쉬운 시
동인지 근황
70년대 시인들
70년대 문학과 상업주의
외국 문학의 수용
소설의 길이
문예사회학에 대하여
세계 인식의 다양성
한국 문학 연구의 수준
세 가지의 문학 사상
두 비평가의 시선
비판 문학론
개인저자
Publication
서울 : 문학과지성사 , 1997.
Physical Description
446 p. ; 23 cm.
Series Title
김현 문학전집 ; 14
Formatted Contents Note
한국적 비극의 표출. - 고통스런 압지의 이미지. - 관습에서의 탈출과 좌절. - 인간의 욕망에 대하여. - 박태순의 신작 장편. - 한국 소설의 큰 물줄기. - 지리적 공간과 문학적 공간. - 소설적 반전의 묘미. - 성의 해방과 『나신』. - 새로운 형태의 소설 동인지. - 어둠 속의 밝음. - 놀람과 주장의 세계. - 전상국의 소설. - 이청준의 두 개의 장편소설. - 보석의 상상 체계. - 김종삼의 시. - 고통의 정치학. - 아름다운 무서움. - 제주 바다에서의 병신소설. - 물질적 경험과 관념적 경험. - 공업 사회와 공해 문제. - 지적 문체의 문제점. - 작가 의식의 성장. - 보기 흉한 제스처. - 김승옥의「서울, 1964년 겨울」. - 이성부의 시. - 이외수의 『꿈꾸는 식물』. - 두 시인의 시. - 윤흥길의 「장마」. - 이동하의 「장난감 도시」. - 세 가지 배신. - 고통의 시 1. - 고통의 시 2. - 현기영의 소설들. - 산문시와 쉬운 시. - 동인지 근황. - 70년대 시인들. - 70년대 문학과 상업주의. - 외국 문학의 수용. - 소설의 길이. - 문예사회학에 대하여. - 세계 인식의 다양성. - 한국 문학 연구의 수준. - 세 가지의 문학 사상. - 두 비평가의 시선. - 비판 문학론. - 새와 상처받은 유년. - 인간의 기능화에 대한 저항. - 두 유형의 젊은이 소설. - 중년 부인들의 고통스러운 삶. - 분단의 소설적 포착. - 주목할 만한 세 개의 단편집들. - 역사소설의 한 유형. - 그러나 삶은 살 만한 것이다. - 암울한 40대의 방황하는 삶. - 삶의 부조리 서정적으로 승화. - 아름다운 무서운 세계. - 전위와 사실주의의 결합. - 젊은 시인들의 좋은 시집들. - 박인환 현상. - 삶의 구체성 간직한 서정시. - 노대가들의 노년시. - 낭만적 삶의 의미 추구. - 뛰어난 오역을 만나고 싶다. - 시와 풍요한 삶. - 사르트르에 대하여. - 그리움과 두려움. - 『문심조룡』에 대하여. - 지루한 삶 속의 몽상. - 문학은 소비 상품일 수 없다. - 무크지와 동인지에 대하여. - 세련된 심미안은 악덕이 아니다. - 젊은 문학을 만나고 싶다. - 문학 이론 분야의 번역에 대하여. - 논쟁.문제작 편애. - 실험시.실험소설의 공간. - 백남준 방식의 말. - 예술적 체험의 의미. - 미술비평의 반성. - 만화 기호학에 대하여. - 겉멋부림의 세계. - 좋은 꿈 꾸기. - 두꺼운 삶과 얇은 삶. - 아버님의 죽음에 대하여. - 북꽃의 말. - 분단에 대한 한 지식인의 기행적 성찰. - '라면' 문화 생각. - 세 개의 단상. - 몸 이야기. - 모포 한 장의 이별. - 문학에서의 시간.공간. - 진흙 덩어리들.
ISBN
8932006342
Call Number
809 김94ㄱ
Items
RReservation
AAbsent
VPreservation
CLoan Campus
QRush Cataloging
DDelivery Service
SSMS
PPrint
HHolding Journal DDS
Regist No. | Call number | Item location | Status | Expected return date | Service |
---|
Booktalk
Please feel free to read the book
and write your impressions.
글쓰기
and write your impressions.
Call Sign Browsing
Related Popular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