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alog
LDR | 02333namka2200529 k 4500 | ||
001 | 0000418601▲ | ||
005 | 20180519134722▲ | ||
007 | ta▲ | ||
008 | 991229s1997 ulk 000a kor ▲ | ||
040 | ▼a 211009 ▼c 211009 ▼d 221016▲ | ||
082 | 0 | ▼a 809 ▼2 21▲ | |
090 | ▼a 809 ▼b 한77ㄱ▲ | ||
245 | 1 | 0 | ▼a 韓中文學比較硏究:▼b 許虎一敎授停年退任記念論文集/▼d 許虎一敎授停年退任記念論文集 刊行委員會 編.▲ |
260 | ▼a 서울:▼b 國學資料院,▼c 1997.▲ | ||
300 | ▼a 467 p.;▼c 23 cm.▲ | ||
505 | 0 | ▼a 중조 고전소설개념의 역사적변화로부터 본 소설 /윤윤진.- 중조 두 나라의 상고신화와 그 상이성/허휘훈. - 류화와 보도마마/최희수.- 일본기기신화전설중의 한국적인 요소에 대하여/김관웅.- 리백과 조선시가문학/박충륵. - 고려정음가요와 당신의 미의식비교/허호일. - 고려작가들의 중국미학리론의 수용과 혁신/채미화. - 중국<전당신>시집에 오른 조선인 시인과 그 시의 시적경지/허룡구. - 리규보의 주체시론과 중국고전시학에 대한 비판적수용/김동훈. - 양태사의 시가에서 본 발해문화의 일각/허룡구. - [源氏物語]와 백거이 시의 관련 양상/허호일. - 정송강의 련군시와 굴원의 문학/정일남. - 명청소설의 수용과정에 나타난 조선고전소설의 주체성/허휘훈. - 주숙진 허란설헌의 삶과 문학/리승매. - 열하일기와 중국문화의 관련고/김병민,오소구. - <사기ㆍ얼전>과 연암의 소설/리암. - 리덕무의 언의론 시학과/서동일. - 김택영의 미학사상에 관한 비교문학적 고찰/김동훈. - 중한현대문학교류관계에 대한 약간한 고찰/윤윤진. - 김동인의 탐미주의문학의 실체/김호웅. - 주요섭-그 인간과 문학/김호웅. - 김소월의 당시번역을 론함/리해산.- 21세기를 향한 민족문학권의 형성과 관련하여/전국권. - 극한상황에서의 두 여성과 그 반항실질/리관복.▲ | |
700 | 1 | ▼a 허호일▲ | |
700 | 1 | ▼a 윤윤진/▼t 중조 고전소설개념의 역사적변화로부터 본 소설▲ | |
700 | 1 | ▼a 허휘훈/▼t 중조 두 나라의 상고신화와 그 상이성▲ | |
700 | 1 | ▼a 최희수/▼t 류화와 보도마마▲ | |
700 | 1 | ▼a 김관웅/▼t 일본기기신화전설중의 한국적인 요소에 대하여▲ | |
700 | 1 | ▼a 박충륵/▼t 리백과 조선시가문학▲ | |
700 | 1 | ▼a 허호일/▼t 고려정음가요와 당신의 미의식비교▲ | |
700 | 1 | ▼a 허룡구/▼t 중국<전당시>시집에 오른 조선인 시인과 그 시의 시적경지▲ | |
700 | 1 | ▼a 채미화/▼t 고려작가들의 중국미학리론의 수용과 혁신▲ | |
700 | 1 | ▼a 허룡구/▼t 양태사의 시가에서 본 발해문화의 일각▲ | |
700 | 1 | ▼a 김동훈/▼t 리규보의 주체시론과 중국고전시학에 대한 비판적 수용▲ | |
700 | 1 | ▼a 허호일/▼t [源氏物語]와 백거이 시의 관련 양상▲ | |
700 | 1 | ▼a 정일남/▼t 정송강의 련군시와 굴원의 문학▲ | |
700 | 1 | ▼a 허휘훈/▼t 명청소설의 수용과정에 나타난 조선고전소설의 주체성▲ | |
700 | 1 | ▼a 리승매/▼t 주숙진 허란설헌의 삶과 문학▲ | |
700 | 1 | ▼a 김병민/▼t 열하일기와 중국문화의 관련고▲ | |
700 | 1 | ▼a 오소구/ ▼t 열하일기와 중국문화의 관련고▲ | |
700 | 1 | ▼a 리암/▼t <사기ㆍ얼전>과 연암의 소설▲ | |
700 | 1 | ▼a 서동일/▼t 리덕무의 언의론 시학과▲ | |
700 | 1 | ▼a 김동훈/▼t 김택영의 미학사상에 관한 비교문학적 고찰▲ | |
700 | 1 | ▼a 윤윤진/▼t 중한현대문학교류관계에 대한 약간한 고찰▲ | |
700 | 1 | ▼a 김호웅/▼t 김동인의 탐미주의문학의 실체▲ | |
700 | 1 | ▼a 김호웅/▼t 주요섭-그 인간과 문학▲ | |
700 | 1 | ▼a 리해산/▼t 김소월의 당시번역을 론함▲ | |
700 | 1 | ▼a 전국권/▼t 21세기를 향한 민족문학권의 형성과 관련하여▲ | |
700 | 1 | ▼a 리관복/▼t 극한상황에서의 두 여성과 그 반항실질▲ | |
740 | ▼a 許虎一敎授停年退任記念論文集▲ | ||
940 | ▼a [원씨물어]와 백거이 시의 관련 양상▲ | ||
940 | ▼a 21세기를 향한 민족문학권의 형성과 관련하여▲ | ||
950 | 0 | ▼b ₩20000▲ | |
999 | ▼b 도양희▲ |

韓中文學比較硏究: 許虎一敎授停年退任記念論文集
Document Type
Domestic Book
Title
韓中文學比較硏究 : 許虎一敎授停年退任記念論文集 / 許虎一敎授停年退任記念論文集 刊行委員會 編.
부출서명
許虎一敎授停年退任記念論文集
개인저자
허호일
윤윤진 / 중조 고전소설개념의 역사적변화로부터 본 소설
허휘훈 / 중조 두 나라의 상고신화와 그 상이성
최희수 / 류화와 보도마마
김관웅 / 일본기기신화전설중의 한국적인 요소에 대하여
박충륵 / 리백과 조선시가문학
허호일 / 고려정음가요와 당신의 미의식비교
허룡구 / 중국<전당시>시집에 오른 조선인 시인과 그 시의 시적경지
채미화 / 고려작가들의 중국미학리론의 수용과 혁신
허룡구 / 양태사의 시가에서 본 발해문화의 일각
김동훈 / 리규보의 주체시론과 중국고전시학에 대한 비판적 수용
허호일 / [源氏物語]와 백거이 시의 관련 양상
정일남 / 정송강의 련군시와 굴원의 문학
허휘훈 / 명청소설의 수용과정에 나타난 조선고전소설의 주체성
리승매 / 주숙진 허란설헌의 삶과 문학
김병민 / 열하일기와 중국문화의 관련고
오소구 / 열하일기와 중국문화의 관련고
리암 / <사기ㆍ얼전>과 연암의 소설
서동일 / 리덕무의 언의론 시학과
김동훈 / 김택영의 미학사상에 관한 비교문학적 고찰
윤윤진 / 중한현대문학교류관계에 대한 약간한 고찰
김호웅 / 김동인의 탐미주의문학의 실체
김호웅 / 주요섭-그 인간과 문학
리해산 / 김소월의 당시번역을 론함
전국권 / 21세기를 향한 민족문학권의 형성과 관련하여
리관복 / 극한상황에서의 두 여성과 그 반항실질
윤윤진 / 중조 고전소설개념의 역사적변화로부터 본 소설
허휘훈 / 중조 두 나라의 상고신화와 그 상이성
최희수 / 류화와 보도마마
김관웅 / 일본기기신화전설중의 한국적인 요소에 대하여
박충륵 / 리백과 조선시가문학
허호일 / 고려정음가요와 당신의 미의식비교
허룡구 / 중국<전당시>시집에 오른 조선인 시인과 그 시의 시적경지
채미화 / 고려작가들의 중국미학리론의 수용과 혁신
허룡구 / 양태사의 시가에서 본 발해문화의 일각
김동훈 / 리규보의 주체시론과 중국고전시학에 대한 비판적 수용
허호일 / [源氏物語]와 백거이 시의 관련 양상
정일남 / 정송강의 련군시와 굴원의 문학
허휘훈 / 명청소설의 수용과정에 나타난 조선고전소설의 주체성
리승매 / 주숙진 허란설헌의 삶과 문학
김병민 / 열하일기와 중국문화의 관련고
오소구 / 열하일기와 중국문화의 관련고
리암 / <사기ㆍ얼전>과 연암의 소설
서동일 / 리덕무의 언의론 시학과
김동훈 / 김택영의 미학사상에 관한 비교문학적 고찰
윤윤진 / 중한현대문학교류관계에 대한 약간한 고찰
김호웅 / 김동인의 탐미주의문학의 실체
김호웅 / 주요섭-그 인간과 문학
리해산 / 김소월의 당시번역을 론함
전국권 / 21세기를 향한 민족문학권의 형성과 관련하여
리관복 / 극한상황에서의 두 여성과 그 반항실질
Publication
서울 : 國學資料院 , 1997.
Physical Description
467 p. ; 23 cm.
Formatted Contents Note
중조 고전소설개념의 역사적변화로부터 본 소설 /윤윤진.- 중조 두 나라의 상고신화와 그 상이성/허휘훈. - 류화와 보도마마/최희수.- 일본기기신화전설중의 한국적인 요소에 대하여/김관웅.- 리백과 조선시가문학/박충륵. - 고려정음가요와 당신의 미의식비교/허호일. - 고려작가들의 중국미학리론의 수용과 혁신/채미화. - 중국<전당신>시집에 오른 조선인 시인과 그 시의 시적경지/허룡구. - 리규보의 주체시론과 중국고전시학에 대한 비판적수용/김동훈. - 양태사의 시가에서 본 발해문화의 일각/허룡구. - [源氏物語]와 백거이 시의 관련 양상/허호일. - 정송강의 련군시와 굴원의 문학/정일남. - 명청소설의 수용과정에 나타난 조선고전소설의 주체성/허휘훈. - 주숙진 허란설헌의 삶과 문학/리승매. - 열하일기와 중국문화의 관련고/김병민,오소구. - <사기ㆍ얼전>과 연암의 소설/리암. - 리덕무의 언의론 시학과/서동일. - 김택영의 미학사상에 관한 비교문학적 고찰/김동훈. - 중한현대문학교류관계에 대한 약간한 고찰/윤윤진. - 김동인의 탐미주의문학의 실체/김호웅. - 주요섭-그 인간과 문학/김호웅. - 김소월의 당시번역을 론함/리해산.- 21세기를 향한 민족문학권의 형성과 관련하여/전국권. - 극한상황에서의 두 여성과 그 반항실질/리관복.
Call Number
809 한77ㄱ
Items
RReservation
AAbsent
VPreservation
CLoan Campus
QRush Cataloging
DDelivery Service
SSMS
PPrint
HHolding Journal DDS
Regist No. | Call number | Item location | Status | Expected return date | Service |
---|
Booktalk
Please feel free to read the book
and write your impressions.
글쓰기
and write your impressions.
Call Sign Browsing
Related Popular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