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

Catalog

Related information

효원인 감동공유 추천글
제목: 타인의 고통에 응답하는 공부
학과: 사회복지학과, 이름: 박*재, 선정연도: 2024
마음에 드는 글귀 또는 문장: P27. 인간은 어떤 상황에서 살아 있기를 포기하는가. 오늘 하루를 견딜 수 없어서가 아니다. 숨 막히게 자신을 옥죄는 좌절의 순간이 내일도 모레도 계속될 것이라는 체념이 생의 에너지를 빼앗는다.
P 76. 제도적 차별은 법률로 막을 수 있고, 일대일 관계에서 누군가를 차별하는 행동은 혐오 발언 규제 등으로 제어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스스로 인지하지 못하는 사이에 차별적 행동으로 드러나는 무의식적인 편견과 고정관념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P309. 한 개인의 몸 안에 있는 고통, 슬픔이라고 하는 것들이 사회적 고통이 되고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 있는 이야기가 되는 계기는 무엇일까요? 저는 그 고통에 누군가가 응답하기 시작할 때라고 생각해요. 그 응답을 잘해 낼수록, 많은 사람이 함께할수록 그 고통은 공유할 수 있는 이야기가 된다고 생각하고요.
추천하고 싶은 대상: 자신은 절대로 차별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 막연한 생각으로 자신과 인종, 피부색, 학력 등 삶의 부수적인 조건이 다른 사람들에게 선입견을 가지는 사람
추천이유: 나도 편견 없이 사람을 대한다고 생각했다. 외모보다는 속사람이 훨씬 더 중요하다고 말해왔다. 그러나, 저자가 소개한 많은 상황 속에서 나는 자유로울 수 없었다. 장애인, 트랜스젠더, 성소수자, 흑인, 정신질환자, 에이즈 환자, 여성 근로자 등 많은 사람들이 공유되지 못하는 차별을 받고 있으며 그것을 정책적으로 해결하기 힘든 상황 속에서 나 역시 속물 근성에 물든 사람으로 정확한 정보나 직접적인 판단 없이 나만의 왜곡된 관념으로 그들을 내 마음대로 인식하고 판단했다. 이 책을 통해 내가 가지고 있는 타인에 대한 시선을 수정할 수 있었으면 한다. 나와 다르면 틀렸다는 고정관념은 우리 사회를 건강하고 살기 좋게 만드는 것에 큰 걸림돌이 된다.
그리고 누구나 무의식적인 편견과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이에 더하여, 우리는 개인적 편견으로 인해 지금도 고통받고 괴로워하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는 것과 그 고통에 응답하기 위해서는 그런 사람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일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누구나 신체적, 정신적인 상처받을 수 있는 것처럼, 그 상처가 개인에게는 힘들고 어려운 부분임에도, 그 상처를 위로하지는 못할지언정, 상처를 비난한다면 우리 사회는 어떻게 되겠는가? 그리고 현재 그런 상처에 대해 비난받고 있는 사람들에게 우리는 어떻게 응답해야 하겠는가? 이 책을 통해 우리가 타인의 고통에 응답하고 그 과정에서 참된 나를 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
별점: ★★★★★

Items

RReservation
AAbsent
VPreservation
CLoan Campus
QRush Cataloging
DDelivery Service
SSMS
PPrint
HHolding Journal DDS
Regist No. Call number Item location Status Expected return date Service

Booktalk

Please feel free to read the book
and write your impressions.
글쓰기

Call Sign Browsing

Related Popular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