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talog
LDR | 04896nam a2200000 c | ||
001 | 0100542742▲ | ||
005 | 20220120113311▲ | ||
007 | ta▲ | ||
008 | 200925s2020 ulka b 001c kor ▲ | ||
020 | ▼a9788984105027▼g94080 :▼c₩27000▲ | ||
020 | 1 | ▼a9788984104969 (세트)▲ | |
035 | ▼a(KERIS)BIB000015689297▲ | ||
040 | ▼a211059▼c211059▼d221016▲ | ||
056 | ▼a309.113▼26▲ | ||
082 | 0 | 4 | ▼a306.0952▼223▲ |
085 | ▼a306.0953▼2부산대 동양관계항목전개표▲ | ||
090 | ▼a306.0953▼b한239ㅁ▲ | ||
110 | ▼a한림대학교.▼b일본학연구소▲ | ||
245 | 1 | 0 | ▼a문화권력과 버내큘러 =▼xCulture power and vernacular /▼d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편]▲ |
260 | ▼a서울 :▼b소화,▼c2020▲ | ||
300 | ▼a503 p. :▼b삽화 ;▼c23 cm▲ | ||
440 | 0 | 0 | ▼a한림일본학연구총서,▼p포스트제국의 문화권력 시리즈 ;▼v2▲ |
500 | ▼a2021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 학술도서"▲ | ||
504 | ▼a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 ||
505 | 0 | 0 | ▼t문화와 일상 /▼d베른하르트 초펜(Bernhard Tschofen) ;▼e송진영 --▼t'조선민속학≒민족문화학'에서 주체의 일상 연구로 /▼d남근우 --▼t'토착'의 학문 /▼d웨용이(岳永逸) ;▼e김경민 --▼t동아시아 민속학의 재정립 /▼d이와모토 미치야(岩本通弥) ;▼e김광식 --▼t버내큘러와 제도의 관계에 대한 미국에서의 연구 /▼d나수호 --▼t버내큘러의 방법론적 가능성 /▼d강성우 -- ▼t디오니소스와 버내큘러 /▼d시마무라 다카노리(島村恭則) ;▼e김광식 --▼t범주와 시각 및 입장으로서의 고향민속학 /▼d안더밍(安德明) ;▼e김호걸 --▼t버내큘러 문화와 민속, 민속학 /▼d정수진 --▼t식민지 대중의 서구생활문화 수용과 전용 맥락 /▼d김정하 --▼t대만 일본식민지기 건조물의 문화유산화와 전후 기억의 행방 /▼d무라시마 겐지(村島健司) --▼t탄광 희생자의 공양과 일(日)·한(韓)·조(朝)의 '우호' /▼d가와마쓰 아카리(川松あかり) ;▼e김광식 --▼t'안동내방가사전승보존회'의 지역전통 이해와 활용 /▼d이상현 --▼t마을사회의 위기와 의례적 대응 /▼d이진교▲ |
536 | ▼a2017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가 수행하는 인문한국플러스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이루어진 연구임▼g2017S1A6A3A01079517▲ | ||
653 | ▼a일본문화▼a일본학▲ | ||
700 | 1 | ▼a천송, 아카리▲ | |
700 | 1 | ▼a강성우,▼g姜成宇,▼d1979-▲ | |
700 | 1 | ▼a김정하,▼g金楨夏,▼d1958-▲ | |
700 | 1 | ▼a나수호▲ | |
700 | 1 | ▼a남근우▼g南根祐,▼d1959-▲ | |
700 | 1 | ▼a촌도, 건사▲ | |
700 | 1 | ▼aTschofen, Bernhard,▼d1966-▲ | |
700 | 1 | ▼a도촌, 공칙,▼d1967-▲ | |
700 | 1 | ▼a악 영일,▼d1972-▲ | |
700 | 1 | ▼a안, 덕명,▼d1968-▲ | |
700 | 1 | ▼a이상현,▼g李相賢,▼d1959-▲ | |
700 | 1 | ▼a암본, 통미,▼d1956-▲ | |
700 | 1 | ▼a이진교,▼g李鎭敎,▼d1973-▲ | |
700 | 1 | ▼a정수진,▼g丁秀珍,▼d1965-▲ | |
700 | 1 | ▼a김광식▲ | |
700 | 1 | ▼a송진영▲ | |
700 | 1 | ▼a김호걸,▼g金鎬傑,▼d1970-▲ | |
700 | 1 | ▼a김경민▲ | |
900 | 1 | 1 | ▼a가와마쓰, 아카리▲ |
900 | 1 | 1 | ▼a무라시마, 겐지▲ |
900 | 1 | 1 | ▼a시마무라, 다카노리,▼d1967-▲ |
900 | 1 | 1 | ▼a안, 더밍,▼d1968-▲ |
900 | 1 | 1 | ▼a이와모토, 미치야,▼d1956-▲ |
900 | 1 | 1 | ▼a초펜, 베른하르트,▼d1966-▲ |
900 | 1 | 1 | ▼a웨, 용이,▼d1972-▲ |

문화권력과 버내큘러
Document Type
Domestic Book
Title
문화권력과 버내큘러 = Culture power and vernacular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편]
개인저자
Publication
서울 : 소화 , 2020
Physical Description
503 p. : 삽화 ; 23 cm
Series Title
한림일본학연구총서 ; 2
General Note
2021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우수 학술도서"
Bibliography Note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Formatted Contents Note
문화와 일상 / 베른하르트 초펜(Bernhard Tschofen) '조선민속학≒민족문화학'에서 주체의 일상 연구로 / 남근우 -- '토착'의 학문 / 웨용이(岳永逸) 동아시아 민속학의 재정립 / 이와모토 미치야(岩本通弥) 버내큘러와 제도의 관계에 대한 미국에서의 연구 / 나수호 -- 버내큘러의 방법론적 가능성 / 강성우 -- 디오니소스와 버내큘러 / 시마무라 다카노리(島村恭則) 범주와 시각 및 입장으로서의 고향민속학 / 안더밍(安德明) 버내큘러 문화와 민속, 민속학 / 정수진 -- 식민지 대중의 서구생활문화 수용과 전용 맥락 / 김정하 -- 대만 일본식민지기 건조물의 문화유산화와 전후 기억의 행방 / 무라시마 겐지(村島健司) -- 탄광 희생자의 공양과 일(日)·한(韓)·조(朝)의 '우호' / 가와마쓰 아카리(川松あかり) '안동내방가사전승보존회'의 지역전통 이해와 활용 / 이상현 -- 마을사회의 위기와 의례적 대응 / 이진교
ISBN
9788984105027
9788984104969 (세트)
9788984104969 (세트)
Call Number
306.0953 한239ㅁ
저자의 다른
저작물보기
저작물보기
Items
RReservation
AAbsent
VPreservation
CLoan Campus
QRush Cataloging
DDelivery Service
SSMS
PPrint
HHolding Journal DDS
Regist No. | Call number | Item location | Status | Expected return date | Service |
---|
Booktalk
Please feel free to read the book
and write your impressions.
글쓰기
and write your impressions.
Call Sign Browsing
Related Popular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