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5천년, 그 생존의 길

한국사의흐름

한국사(韓國史, Korean history)는 한반도를 중심으로 전개된 한국의 역사이다. 흔히 한국사를 ‘반만년의 유구한 역사’라고 말한다. 이 말은 단군신화에 실려 있는 대로 고조선의 건국연대인 기원전 2333년을 한국사의 시작으로 삼은 데서 비롯되었다. 한국 역사의 시대 구분은 구석기 시대에서부터 신석기 시대, 청동기 시대, 철기 시대로 구분되는 선사시대와 고조선의 성립 이후 원삼국시대, 삼국시대, 남북국시대, 후삼국시대까지의 고대, 고려시대인 중세, 조선시대인 근세, 19세기 개항 이후에서 일제 강점기 때까지 근대, 8·15 광복부터 오늘날까지의 현대 등으로 구분된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한국사 및 위키피디아>

이 가이드는 부산대학교 교양선택과목에 개설된 ‘한국사의흐름’ 강좌의 교육과 학습에 필요한 학술정보를 담고 있다. 한국사의 전개과정을 체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우리 역사의 변동과 발전에 대한 이해의 틀을 점검한다.

수강자의 TIP

학술정보가이드 서포터즈의 활동보고서와 댓글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2022-1 [분반:001]

한국사를 이해하는 거시적인 틀을 토대로, 다양한 사람들이 사회적 억압으로부터 어떻게 벗어나려 했으며, 아울러 소소한 일상의 삶과 문화를 어떻게 만들어 왔는지에 대해서 살펴본다.

또한, 전근대 여성의 지위 변화, 일반 농민들의 삶, 도시의 성장과 문화의 발전, 세계관에 대해 배운다. 강의를 위한 주교재가 있지만 교수님께서 따로 제공해주시는 수업자료를 활용하면 주교재를 구입하지 않아도 된다.

*중요:  교재에 없는 내용을 판서하는 경우가 많으니 수업 중 판서내용을 꼼꼼히 기록하는 것이 좋다.

2022-1 [분반:001]

역사를 세세하게 학습하기보다 큰 틀에서 주요 사건들을 중심으로 역사 전개과정을 이해한다. 강의주제는 총 5가지 큰 틀로 정리될 수 있다.

  • 신화를 통해 본 고대국가의 탄생, 삼국의 항쟁과 통일 과정
  • 후삼국 시기를 거쳐 성립한 고려사회 성립의 의미
  • 고려말 성리학의 도입과 신진사대부의 등장, 조선의 건국으로 이어지는 흐름
  • 조선건국 이후 정치구조와 왕권의 추이, 그리고 농민항쟁
  • 제국주의 침략과 근대화 개혁, 분단을 거친 근대국가 건설과정

2022-1 [분반:001]

<과제정보>

과제개수는 1개였으며, 과제주제는 “답사기행문”이다. 본인이 선정한 주제에 따라 4~5코스를 선정하여 탐방한 후 답사 기획 및 과제에 대한 총평을 작성하면 된다.

기행도중 인상 깊은 장면 혹은 내용을 수시로 기록, 답사 증거물로 활용하기 위해 인증사진이나 입장권을 구비하는 것이 팁이다.

기행문 작성 시 목록을 기재하여 체계적으로 작성하는 것을 추천한다.

2022-1 [분반:001]

<시험정보>

중간고사는 과제(답사기행문)으로 대체되기 때문에 시험은 기말고사만 있다. 형식은 사전에 교수님이 시험에 나오는 3문제를 미리 알려주신 후 그중에 2문제를 출제하는 방식이다.

서술형 문제이며, 교수님이 수업시간에 설명해주신 내용을 바탕으로 작성하는 것이 원칙이며 그렇게 해야만 좋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

<작년기출문제>

  • 나말여초의 주도세력(호족)
  • 조선과 고려의 여성 지위 차이
  • 조선후기 사회적 모순

추천 저널

일조각
1227-349X

추천 논문

더 찾아보기
저자 장병인 (Chang Byung Inn)
역사와 담론. 2003-12 36:201-234
저자 이성미
이성미콜렉션. (1):199-199
저자 윤경진(Yoon, Kyeong Jin)
역사문화연구 74. (2020): 135-178.
저자 오인택
항도부산. May 30, 2007 23:263
저자 김남윤
내일을 여는 역사. 2004-09 (17):289-295

본 가이드는 부산대학교 교양선택 및 일반선택(일반교양) > 사상과 역사(1영역)에 개설된 한국사의흐름 강의 및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댓글 1

익명1
2023년 06월 02일 8:04 오후

한국사에 대한 전체적인 흐름을 알 수 있는 강의이다. 이 강의를 통해 이때까지의 역사의 흐름을 잡을 수 있었으며 각 시대별 특징을 자연스럽게 파악할 수 있어서 좋았다. 학습할 때 단순히 한국사에 대한 지식을 암기한다기 보다 교수님의 수업의 흐름에 따라가며 자연스레 상황을 이해하고 그 시대 사람들의 입장에서 공감하는 형식으로 공부하려고 노력한다면 정보 그 자체에서 멈추는 것이 아닌 좀 더 나은 사고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과제는 주변지역의 한국사와 관련된 자유주제로 동영상을 만드는 것이었는데 이러한 과제를 통해 주변지역에 대해 관심을 가질수 있었고, 새로운 지식을 스스로 알아갈 수 있어서 좋았다. 시험은 교수님이 수업하신 내용을 바탕으로 자기의 생각을 서술하는 형태로 나오며, 많은 암기를 요하지 않아 부담스럽지 않고 만족스러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