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신을 극진히 총애한 정조대왕의 죽음 직후 노론의 마수에 걸려들어 18년 유배 생활을 마치고 고향 마현(馬峴) 마을로 돌아온 정약용은 회갑을 맞은 1822년(순조 22년)에 ‘자찬묘지명(自撰墓誌銘)’을 지어서 정조대왕과의 인연, 천주교에 대한 입장, 자신을 시기하여 자신과 자신의 집안을 역적으로 몬 인물들, 유배 생활 동안 심혈을 기울여 저술하고 엮은 500여권의 책 그리고 평생의 뜻을 새긴 명(銘)을 담았다.
정약용이 스스로 묘지명을 지은 까닭은 비록 폐족(廢族)으로 몰락했지만 그 누구도 감히 자신의 인생을 모욕하거나 왜곡해 후세 사람들에게 전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였다. 더욱이 정약용은 문집에 실을 ‘집중본(集中本)’과 무덤에 묻을 ‘광중본(壙中本)’의 두 가지 자찬묘지명을 썼다.
‘집중본(集中本)’에서는 장문의 글로 자신의 생애를 상세하게 서술한 반면 ‘광중본(壙中本)’에서는 비교적 간략하고 핵심적인 내용만을 기록했다.이렇게 조선시대 문인들의 자전적 기록들을 살펴보면 글을 자기 자신과 동일시하고 글을 쓰는 것을 진아(眞我), 즉 ‘참된 자아 혹은 온전한 자아’를 찾는 길이라고 여겼던 투철한 작가 정신의 산물이 바로 ‘자의식의 미학’이었다고 하지 않을 수 없다. <출처: 헤드라인뉴스>
수강자의 TIP
학습정보가이드 서포터즈의 활동보고서와 댓글을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2023-1 [분반:003]
대면강의이며, 교수님이 제작한 PPT로 수업이 진행된다.
한국의 역사 흐름 속에서 등장하는 몇몇 인물을 집중적으로 다루며, 그 인물의 사상, 배경 등 한 인물을 다양한 방면으로 주목한다.
시대 상황에 따라 등장하는 인물과 그 인물이 가진 사상을 바탕으로 전체적인 수업을 진행하기에 한국사 지식이 부족해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2023-1 [분반:003]
시대별 인물들의 삶을 다룬다.
- 고대(신라인물 중심): 원효, 의상, 최치원
- 중세(고려): 의천, 지눌, 김부식, 일연
- 근세: 이황, 박지원, 정제두, 정약용
- 근대: 최제우, 신채호
인물이 어떤 시대에 살았는지, 그 시대가 인물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인물이 남긴 기록을 중점으로 학습한다.
2023-1 [분반:003]
<과제정보>
과제없음
<시험정보>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모두 22문제로 O/X 10문제, 단답형 10문제, 서술형 2문제로 구성된다. 시험 전 마지막 수업에서 약술형 4문제와 그에 맞는 예시 답안을 보여주며, 공개된 4문제 중 2문제가 출제된다.
*객관식과 O/X문제는 교수님의 PPT에 파란색으로 중요 표시되어 있는 부분에서 주로 출제된다.
2023-1 [분반:003]
서술형 문제 예)
- 원효의 화쟁사상에 대하여 약술하시오
- 대장경을 구성하고 있는 경,율,논에 대하여 약술하시오
- 이이의 기발이승일도설, 이통기국론에 대하여 악술하시오
- 양명학의 사상체계에 대하여 약술하시오
*시험에 해당 인물이 어떠한 기록을 남겼는지 확인하는 문제도 등장한다.
2023-1 [분반:001]
본 강의는 전 시간 강의실에서 대면으로 진행된다. 교수님께서 만드신 학습자료로 수업이 진행되며, 해당 자료들은 매주 플라토에 올라온다. 수업 중간에 교수님께서 추가적으로 설명하시는 내용 또한 자료로 첨부된다. 학습자료에서 시험 문제가 다 출제되었기 때문에, 교재를 굳이 구매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
강의는 한국 역사 인물의 일대기를 다루기도 하며, 그 인물을 소개하기 위한 당대의 시대상이나 정치, 종교 등을 설명하기도 한다. 특히나 신라의 승려였던 원효와 의상에 관해 수업하기 전, 초기 불교에 관한 설명이 한 차시 정도 이루어지기에 초기 불교의 특징과 원효와 의상 관련 내용을 연관지어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2023-1 [분반:001]
사학의 정의와 사료 구분 방법을 알아본 후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주요 사료를 살펴보게 된다. 이후 신라, 고려, 조선 순으로 강의가 이어지는데 신라의 경우 불교와 골품제의 한계를 맞이했던 당시 인물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 고려는 불교와 후기의 대내 정세에 관한 내용이 강의되며, 조선은 건국 과정과 연관된 성리학에 대한 내용이 진행된다.
또한 성리학의 사회적 확산과 탐구를 심화하여 성리학 연구의 심화와 조선적 발달, 양난의 경과와 영향, 조선의 신분 관료제와 서얼 (ex) 이덕무, 유득공, 박제가), 조선 후기의 사상계와 실학 등을 학습한다.
2023-1 [분반:001]
<과제정보>
과제는 하나만 제출하면 되고 기한은 넉넉히 주신다. 과제명은‘나의 지성의 역사’인데, 제목 그대로 자신의 생애나 가치관 등을 서술하면 된다. 목차를 어떻게 구성해야 할지 막막하다면 강의안을 참조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나의 지성이 형성된 과정(출생, 유년기, 청소년기, 현재, 진로 설정), 주요 관심 분야, 가치관 등을 잡으면 된다.
2023-1 [분반:001]
<시험정보>
중간고사 및 기말 고사 모두 객관 10문제. 주관 10문제, 서술 5문제가 출제되는데, 이때 서술은 5문제 중에서 3문제만 골라서 쓰면 된다. 객관과 주관은 교수님이 평소 강조하신 내용을 위주로 나왔고, 교수님이 강조하신 내용에 한해선 구체적인 내용까지 나온다. 하지만 교수님이 대충 넘어간 부분에선 지엽적인 내용이 나오지 않았다.
중간고사 서술형 문제 예)
– 조선의 주요 관찬사료 4개의 특징과 역사적 의의를 쓰시오.
– 신라 골품제의 뜻과 이것이 가진 폐쇄성을 관련 인물의 사례와 연관지어 쓰시오.
– 원효의 삼계 관련 내용을 제시하고, 이 말을 한 자의 생애와 업적을 묻는 지문이었다.
– 기억은 잘 안나지만, 이 또한 제시문에 삼계라는 단어가 포함되어 있었으며 문제 구조는 3번과 유사했다.
– 원간섭기 시대, 고려와 원의 문화적교류 양상을 쓰시오.
기말고사 서술형 문제 예)
– 허난설현과 신사임당 관련
– 호락논쟁의 전개와 의미 및 영향
– 대명 사절단인 ‘부경사’와 대청 사절단인 ‘부연사’의 특징과 그 차이점 (차이점의 경우 문금정책과 관련된 내용을 강조하면 된다)
– 4단7정논쟁 관련
참고 도서
추천 도서
더 찾아보기추천 저널
추천 논문
더 찾아보기추천 사이트
추천 기사
추천 영상
본 가이드는 부산대학교 교양선택 및 일반선택(일반교양) > 사상과 역사(1영역)에 개설된 인물로 보는 한국지성의 역사 강의 및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