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 후기 사회성격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내재적 발전론과 소농사회론-
How Can We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Late Joseon Society -Indigenous Development Theory and Peasant Society Theory-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지역과 역사 / (The)Journal of Korean history. Apr 30, 2016 38:49
Subject
내재적 발전론
자본주의 맹아론
경영형 부농
소농사회론
지배체제
Indigenous Development Theory
Sprout of Capitalism Thoery
Wealthy Managerial Peasants
Peasant Society Theory
Governing System
Language
Korean
ISSN
1229-6600
Abstract
조선 후기 사회 성격을 설명하는 주요한 입장으로 내재적 발전론과 소농사회론을 지목할 수 있다. 조선 후기 사회에 대한 성격 규정과 발전 방향에 대한 전망에 대해서 그 동안 한국사 연구자들의 이해는 대체로 內在的 發展論에 입각한 것이었다. 내재적 발전론의 핵심요소는 자본주의 맹아론이라고 할 수 있다. 자본주의 맹아론은 17~19세기의 조선 사회에 자본가적 借地農, 즉 경영형 부농의 성립하고 성장하였다는 주장이다. 그런데 자본주의맹아론은 중세에서 근대로의 발전이 서양사의 역사발전단계론을 한국사에 적용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문제점을 갖고 있다. 농업에서의 자본주의 등장이 세계사에서도 영국에 국한된 현상이었다는 점도 자본주의 맹아론에 불리한 점이다. 경영형 부농의 존재 유무에 대한 비판적 검토는 실은 자본주의 맹아론을 실증의 측면에서 비판하는 것이다. 경영형부농의 존재를 밝힌 양안의 성격을 면밀히 조사한 결과, 경영형부농의 존재는 새로운 역사적 논증과정을 거쳐야 비로소 역사적 존재로 재정립될 수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소농사회론은 農民 대중의 자립적 농업경영이 조선 후기에 이르러서야 가능하였다고 설명한다. 이에 따라 18세기 이후 1950년대까지 조선사회의 성격을 소농사회로 규정한다. 그런데 小農이 과연 조선 후기에 특별히 성숙된 것인지 의문이다. 그리고 조선사회의 農法 변화에서 더욱 커다란 의의를 갖고 있었던 것은 14세기 후반 벼농사 연작법의 정착이라는 역사적 사건이었다. 소농사회론은 일면적인 분석결과의 혐의가 짙고 게다가 동아시아의 ‘근대’에 대한 설명이 거의 不在하다는 점도 문제점이다. 내재적발전론의 내용을 재정립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부분은 지배체제의 변화를 파악하는 점이다.
As the main entrance explaining the late Joseon society, we can point out indigenous development theory and peasant society theory. Meanwhile most researchers of Korean history largely based on the indigenous development theory. Key element of the indigenous development theory is maybe sprout of capitalism thoery. Sprout of capitalism thoery argued wealthy managerial peasants during 17-19 century Joseon society as a type of capitalist tenant who managed a lot of arable land. But Sprout of capitalism thoery has a problem in that it would have to apply historical development of Western history from the Middle Ages to the Modern Ages into Korean history. The emergence of capitalism in agriculture was the unique phenomenon confined to the UK in world history, that is a downside to sprout of capitalism thoery. The presence of wealthy managerial peasants needs to go through the new certification process and then wealthy managerial peasants could be re-established as a historical existence. Peasant society theory explained that the peasants are self-reliant farming farmers not until the late Joseon Dynasty. But there are lots of question about peasant society theory esp. maturity of peasant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fore they don’t explain the problems of modern East Asia. Finally I think that the most important part to re-establish the contents of the indigenous development theory is that we understand the changes in the governance system.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