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 문화 소통을 위한 북한지역 상장례의 Visual-DB화 방안
Document Type
Academic Journal
Source
통일인문학. 2024-03 97:123-163
Subject
상장례
북한민속
일생의례
남북소통
Funeral Rites
North Korean Folklore
Visual-DB
Rites of Life
Inter-Korean Communication
Language
Korean
ISSN
2288-9841
Abstract
『1949~1968년 북한민속조사자료』는 기존 민속자료의 문화권별/시기별 공백을 채울 수 있는 자료이며 본 연구에서 이를 바탕으로 시도하는 Visual-DB화는 미시사적 자료를 정리 및 분석할 수 있는 도구이다. 중요한 것은 통일을 전제한 통일문화 방안 연구의 자료이자 도구로써 활용 가치가 높다는 점이다. 기존 북한 민속자료의 방대한 성과들을 보완할 수 있는 새로운 북한 민속자료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남북의 민속문화를 이해하는 기반이 될 수 있으며, 북한 생활문화의 변화 과정과 실태 파악을 위한 미시사적 자료를 제공하고 이를 정리 및 분석하는 도구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북한의 상장례는 관의 주도로 여러 절차를 배제하고자 했으나, 실제로 북한 주민이 실행했던 상장례에는 유교적이거나 미신적인 것이 다수 포함되어 있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당시 북한 사회에서 주민들이 이러한 것들을 추구했다는 점이 아니라, 국가의 강력한 이데올로기적 방향성에도 불구하고 국가의 의도와 다른 주민들의 상장례 풍습이 유지되는 부분들이 존재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남북 주민이 교류할 수 있는 지점이 생활문화 속에서 발견되고 그것을 바탕으로 소통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는 이 연구에서 다룬 『1949~1968년 북한민속조사자료』와 Visual-DB 형태가 단순한 민속자료와 연구 도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남북의 상호간 이해와 소통에 있어서 하나의 실마리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의미를 가질 수 있게 한다. 또한 남한의 상장례 문화가 변화하는 것과 같이 북한의 상장례 문화 또한 변화를 겪고 있다. 변화의 양상과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통시적 관점과 공시적 관점이 동시에 적용되어야 한다. Visual-DB는 두 가지 시각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는 도구라 할 수 있다. 문화권별 차이뿐만 아니라 시간대별 차이까지 확인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문화와 문화 변화의 ‘이해’에 적합한 형태의 연구 방법이라 하겠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는 남북한 문화의 공통성을 발굴하여 정서적 공감대를 마련하고, 차이점에서는 현상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그 연유를 밝히며 이해의 장을 넓히고, 이질감에서 오는 적대감을 상쇄시키고 서로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는 실마리들 마련하는 첫걸음이 될 수 있다.
The "1949–1968 North Korean Folklore Survey Data" is a data set that fills the cultural and temporal gaps in existing folklore records. This study attempted to visualize it using Visual-DB, a tool for organizing and analyzing microhistorical data. Its significant value lies in its potential as both a data set and a tool for research into unified cultural approaches, assuming reunification. By presenting new North Korean folklore data that complement the extensive achievements of existing folklore records, it can serve as a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the folk cultures of both North and South Korea. It provides microhistorical data that help in understanding the changing trends and realities of North Korean daily life, and offers a tool for organizing and analyzing such data. North Korean funeral rites were designed to exclude various procedures under state leadership, but in reality, many Confucian or superstitious elements were included in the funeral rites conducted by North Korean residents. The most important aspect is not that residents pursued these practices, but rather that despite the strong ideological direction of the state, some parts of funeral rites and customs differed from the state"s intentions. From this perspective, we can predict that exchang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residents can be found in the culture of daily life, providing a basis for communication. This implies that the "1949–1968 North Korean Folklore Survey Data" and its Visual-DB format go beyond simple folklore data and research tools, providing a clue to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Furthermore, just as South Korea"s funeral rites are undergoing changes, North Korea"s funeral rites are also experiencing a transformation. To understand the patterns and meanings of these changes, synchronic and diachronic perspectives must both be applied. Visual-DB is a tool that allows for the simultaneous examination of these two perspectives. It is suitable for understanding culture and cultural changes as it enables confirmation of both cultural and temporal differences. Ultimately, this research aimed to reveal commonaliti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cultures, foster emotional resonance, analyze phenomena to uncover their origins, broaden our understanding, and lay the groundwork for comprehending each other"s "differences" and mitigating hostility arising from disparities.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