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세계를 보는 눈, 미래를 여는 힘
부산대학교 도서관
Pusan National University Library
Endless challenges
and changes
부산대학교 도서관은 지속적인 변화를 통해 사람과 사람,
사람과 정보, 사람과 서비스의 연결 고리를 강화하여 새롭고 의미있는 것이
창출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도전하고 있습니다.
사람과 정보, 사람과 서비스의 연결 고리를 강화하여 새롭고 의미있는 것이
창출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도전하고 있습니다.
1946년 개교와 함께 설립,
6개의 주제전문서비스 제공
전문화된 정보요구에 부응하고 지식정보사회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1999년 1월 주제도서관(Subject Library)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현재 문학예술, 인문사회과학, 과학기술, 법학, 의생명과학, 나노생명과학 등
6개의 주제전문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1999년 1월 주제도서관(Subject Library) 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현재 문학예술, 인문사회과학, 과학기술, 법학, 의생명과학, 나노생명과학 등
6개의 주제전문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각 주제자료관의 보다
전문적인 자료서비스
각 주제자료관에는 고전자료실, 북한자료실, 취업지원자료실, 외국학술지지원센터 등 특화된 자료실과 EU/UN/IMF, 국제교육학 프로그램 자료, 지도자료, 독서치료자료, 취업지원자료 코너 등을 통해 보다 전문적인 자료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2001년 1월 UN자료 완전기탁 도서관(Full Depository Library)지정, 2006년 3월 주한 미국대사관 공보원과 자료 공동 파트너십 구축, 2006년 11월 EU와 자료기증 협정 체결, 2007년 12월 국제통화기금(IMF)의 기탁도서관 지정 등을 통해 국제기구 발간자료도 안정적으로 입수, 제공하고 있습니다.
법학도서관 확대/설치,
의생명과학도서관 신축
이용자들에게 쾌적한 연구학습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2007년 1월 법학도서관 확대·설치를 시작으로 2010년 8월 양산캠퍼스에 의생명과학도서관 신축·개관, 2011년 7월 장서량 200만 권 돌파 및 향후 장서증가에 대비하여 장기적인 시설 확충 노력도 하고 있습니다.
이용자 특성과 요구에 부합하는
맞춤형 전자 도서관
1991년 시작한 전산화 작업은 1996년 부산대학교 학술정보시스템인 ‘풀잎(PULIP)을 가동하였으며, 당시 업무자동화 소프트웨어로 Vintage LAS를 도입하여 각종 학술정보를 Web으로 서비스 하였습니다. 2006년 10월 XML기반의 XMLAS를 도입 운영하였으며, 2010년 8월 Web 2.0개념을 도입한 이용자 친화적인 Solars7과 PYXIS를 도입하여 이용자 특성과 요구에 부합하는 맞춤형 전자도서관을 구축하여 대학의 연구, 학습의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대학경쟁력 확보에 기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