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무령왕과 왕비의 상장례에 관한 몇 가지 문제
Some issues regarding the funeral rites of King Muryeong and his queen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한국학논총 / Theses of Korean Studies. Feb 28, 2024 61:205
Subject
무령왕릉
喪葬禮
居喪
改葬

複葬
洗骨葬
King Muryeong’s tomb
funeral rites
mourning
reburial
placing the coffin
multiple burial
burial after cleaning bone
Language
Korean
ISSN
1225-9977
Abstract
묘지 기록에 의하면 무령왕과 왕비는 사망 후 27개월이 지나 무덤에 안치되었다고 한다. 대개는 이 기간 동안 사체를 넣은 관을 임시로 보관하는 殯葬이 행해졌다고 보았다. 그런데 최근에 왕비 묘지문에 보이는 ‘居喪’과 ‘改葬’이라는 용어의 개념을 통해 이 기간을 죽음을 처리하는 거상 기간으로 보아야 한다는 견해가 제기되었다. 사체를 처리하는 장례는 이 기간 중에 이미 이루어졌으므로 3년의 기간 전체를 빈장으로 볼 수 없다는 것이다. 한편 이 기간은 1차장에 해당하며 27개월 후 세골장을 동반하는 최종 장례를 치러 무덤 안에 안장했을 것이라고 보는 견해도 일찍부터 있었다. 필자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래서 본고에서 複葬의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차단하는 효과를 발휘한 ‘거상설’에서 주요 논거로 사용한 ‘거상’과 ‘개장’의 개념과 용례를 다시 살펴보고, 또한 ‘빈장설’의 주요 논거가 되는 ‘빈’ 용어의 개념과 용례도 검토해 보았다. 그럼으로써 무령왕과 왕비의 세골장 가능성을 찾아 이를 남겨 두고자 했다. 첫째 왕비 묘지문에 언급된 ‘거상’이 服喪을 가리키는 용어이므로 3년의 사체처리 기간이 아니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중국측 기록에서 ‘거상’이 사체 처리와 관련해서 언급된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둘째, ‘개장’은 한번 묻은 관을 다시 묻는 것이므로 세골장과 관련이 없다는 설명에 대해서는, 관을 바꾸는 개장과 바꾸지 않는 개장이 모두 있음을 확인하고 개장 때에 유골을 수습하는 세골의 방식을 취한 사례들도 있음을 살펴보았다. 셋째, 왕과 왕비의 본장까지의 3년 기간을 ‘빈’을 했던 기간으로 보고 중국의 ‘빈’은 본장하기 전 사체를 넣은 관을 가매장 하는 單葬의 한 단계라고 보는 견해에 대해서는, 원래 ‘빈’의 개념과 용례에 複葬과 관련한 것들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According to the tomb records of King Muryeong and his queen, they were placed in the tomb 27 months after their deaths. It was generally understood that the body was kept temporarily during this period and then formally buried 27 months later. However, recently, the view has been raised that this period should be viewed as a period of mourning to deal with death through the concepts of ‘geosang[居喪, mourning]’ and ‘gaejang [改葬, reburial]’ that appear in the queen’s tombstone. According to this view, funerals that handle corpses have already taken place during this period, so the entire three-year period cannot be regarded as ‘bin[殯, placing the coffin]’.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minority view that this period corresponded to the first burial and that the final funeral accompanied by segonljang[洗骨葬, burial after cleaning bone] would have been held 27 months later. My position is that all possibilities should be left open. So, we have re-exmained the concepts and usages of ‘居喪’ and ‘改葬’ that actively blocks the possibility of bogjang[複葬, multiple burial], and also reviewed the concept and usages of ‘殯’. By doing so, I tried to find the possibility of King Muryeong and the queen’s 洗骨葬. First, regarding the claim that ‘居喪’ recorded in the queen’s tombstone is a term referring to mourning people and therefore is not a three-year period for disposing of a corpse, we looked at cases where ‘居喪’ was mentioned in relation to the disposal of a corpse in Chinese records. Second, in response to the explanation that 改葬 is not related to 洗骨葬 because it means reburying the coffin once burie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are both cases that changes the coffin and cases that does not change, and there are even cases of taking the method of collecting the remains at 改葬. Third, regarding the view that the three-year period was a period of 殯, and that China's 殯 was a step in danjang[單葬, single burial] of temporarily burying the casket containing the body before the main burial, we examined that the original concept and usage of '殯' was related to Multiple burial.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