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포츠 외상 후 스트레스 검사지 개발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Sports Post-Traumatic Stress Inventory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Sports Post-Traumatic Stress Inventory
Document Type
Article
Author
Source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Nov 30, 2023 34(4):93
Subject
Language
Korean
English
English
ISSN
1226-685x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스포츠 상황에서 선수들의 외상 후 스트레스를 검사하는 도구(SPSI)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DSM-5를 포함한 주요이론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초기문항을 개발하고 전문가 내용타당도와 안면 타당도를 검증한 후 3영역 9요인 89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476명의 선수들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반분하여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3영역 10요인 49문항을 개발하였다. 수렴, 판별, 예측타당도 등 준거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과: 개발된 SPSI는 외상 전, 외상 당시, 외상 후의 발생 시점별 3영역으로 구분되었다. 외상 전 영역은 개인, 환경, 외상경험요인으로 나타났다. 외상 당시 영역은 신체/행동, 인지, 정서요인으로 나타났다. 외상 후 영역은 환경, 신체, 정서, 인지요인으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각 문항별 요인 적재치는 .477∼.873, 누적 분산율은 65.77%∼76.76%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요인별 내적일치도 Cronbach’α는 .831∼.939로 기준치를 상회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전반적 적합도 지수는 기준치를 넘었고 일부 지수가 낮게 나타났으나 수용 가능한 수준으로 판단하였다. 외상 후 스트레스 진단척도(PDS)와 상관분석을 통해 수렴타당도를 검증하고 잠재변수 간 차이로 판별타당도 검증하였다. 스포츠경쟁상태불안을 종속변인으로 예측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외상 당시 영역은 낮은 설명력을 보였지만 외상 후 영역은 43.6%로 높은 설명력을 보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SPSI는 스포츠 상황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도구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이 연구는 스포츠 분야 외상 후 스트레스와 선수들의 정신건강 및 운동수행 등의 다양한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스포츠 현장의 멘탈코칭과 스포츠심리상담에도 유용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Sports Post Traumatic Stress Inventory (SPSI). Methods: For this process,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major theories and preceding studies, including DSM-5, and 89 preliminary items for 9 factors were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securing content and facial validity. Results: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to 476 athletes, consent was obtained and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ally develop 49 items in 3 areas and 10 factors. Conclusion: The sports post-traumatic stress Inventory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proved to be a reliable and valid test.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valuable as it can provide basic data for post-traumatic stress research in the field of sports.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players and officials can properly cope with post-traumatic stress situations in the sports field, which will help a healthy athlete’s life.
Purpose: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Sports Post Traumatic Stress Inventory (SPSI). Methods: For this process, items were developed based on major theories and preceding studies, including DSM-5, and 89 preliminary items for 9 factors were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securing content and facial validity. Results: After explaining the purpose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to 476 athletes, consent was obtained and th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onducted to finally develop 49 items in 3 areas and 10 factors. Conclusion: The sports post-traumatic stress Inventory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proved to be a reliable and valid test. Therefore, this study will be valuable as it can provide basic data for post-traumatic stress research in the field of sports. In addition, it is judged that players and officials can properly cope with post-traumatic stress situations in the sports field, which will help a healthy athlete’s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