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류성룡의 『징비록』에 나타난 성패지적 프레임과 책임 귀속의 공론화
Exploring Responsibility Attribution and Framing Dynamics in Ryu Seong-ryong's Jingbirok Amidst the Imjin War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서애연구 / The Journal of Seo-ae Ryu Seong-ryong Studies. Nov 30, 2023 8:253
Subject
임진왜란과 징비록
내용분석
시공간 뉴스 프레임
책임 귀인
일화적/주제적 프레임
The Imjin Korean-Japanese War
Frame Analysis
Responsibility Attribution Proportion
Journalistic Construction of Episodic and Thematic Storytelling
Language
Korean
ISSN
2733-4228
Abstract
이 논문은 류성룡의 징비록에 나타난 임진왜란의 승패에 대한 책임 귀인을 언론학적 관점에서 내용분석 했다. 류성룡이 1592년부터 1598년까지 7년간의 전쟁에서 개별 전투나 이슈관리가 실패한 원인이 무엇인지, 이를 어떻게 극복했는지, 그리고 이러한 승패의 책임을 어떻게 공론화했는지 평가했다. 이 논문은 류성룡이 임진왜란이란 시간의 흐름과 전투 이벤트나 이슈의 공간속에서 징비록의 기록 거리를 선택하거나 배제했으며 이순신과 관련된 특정 전투를 강조했음을 확인했다. 그는 5W1H 원리에 따라 기사를 작성하듯이 징비록의 대본 구조를 완성했다. 징비록은 대다수가 일화적 에피소드 기사로 구성됐다. 임진왜란의 성패 원인에 대한 귀인 비율은 개인적, 조직적, 국제적, 그리고 초월적인 차원의 순서로 나타났다. 일화적이면서 주제적 스토리텔링의 결합 프레임에서는 조직적 차원의 책임 귀인 비율이 더 높을 것으로 가설을 제시했다. 하지만 이 논문의 분석은 이 가설의 방향과 일치하지 않았다. 주제적이면서 일화적인 스토리텔링의 결합 프레임과 비교해 일화적 프레임만으로 된 기사는 개인 책임 귀인 비율이 상대적으로 더 높았다. 징비록 텍스트에서 조일 전쟁의 패배와 극복의 원인을 전반적으로 집단 조직이나 국제적, 혹은 초자연적 차원보다도 개인 차원의 책임으로 귀인하는 비율이 통계적으로 차이가 나게 높았다. 전쟁 시작부터 끝날 때까지 영의정이자 도체찰사였던 류성룡이 조일 전쟁 중 관찰하고 기록한 역사적 교훈을 논의해 400여 년 전 임진왜란의 패배와 이를 극복했던 류성룡의 책임 귀인 해석에 대한 평가를 시도했다. 이외에도 외부의 침입에 대해 경계하며 준비해야 한다는 후대를 위한 『징비록』 기록에서 주요 전투와 이슈를 선택해 강조하고 정교화하며 중요치 않은 전투나 이슈는 배제해 주변화할 수 있다는 뉴스 프레임 이론을 적용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다가올 국가적 위기와 사회적 혼란을 방지해야 할 미래 세대에게 징비록의 책임귀인 공론화가 어떠한 함의를 지니는지 논의했다.
This study delves into the examination of Ryu Seong- ryong's news frames within the context of responsibility attribution for both the failure and success of the Imjin War, as documented in his work, Jingbirok. Adopting a journalism scholarship perspective, our analysis scrutinizes Ryu's observations during the seven-year conflict (1592-1598), shedding light on the challenges faced by Koreans and providing insights into the battles, people, and pertinent issues of the war time and the battle space. Employing a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method, we investigate the causes of success and failure in the war, exploring the nuanced layers of responsibility attributed throughout. Our findings reveal that the Jingbirok adheres to the 5W1H principle, employing a rhetorical system characterized by analogies, spatial constructs, and temporal frames. The attributional proportion for causing the war spans personal, organizational, international, and supernatural levels, with a notable emphasis on individual responsibility for overcoming it. Intriguingly, a substantial portion of episodic articles attribute responsibility at the personal level for both defeat and triumph over the war's challenges. Contrary to expectations, the rate of attributing blame to the organizational level was not prominent in the combined frame, encompassing episodic and thematic storytelling. The study underscores the nuanced variations in responsibility attribution contingent upon the type of historical text, revealing a tendency to ascribe greater responsibility to individuals in episodic contexts. Our frame analysis aligns with framing theory, affirming that any correspondent’s war description selectively opts, emphasizes, and elaborates on news values such as accessibility and timeliness. This research posit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journalistic framing construction to historical records, offering a novel perspective. In conclusion, we discuss the historical lessons gleaned from Ryu Seong-ryong's observations during the Korean-Japanese War, as documented over four centuries ago. Our findings contribute to the ongoing public discourse on his interpretation of the causes behind the defeat and victory in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Furthermore, we explore the potential implications of the Jingbirok, advocating for a reflective approach to past mistakes, objective evaluation of current situations, and proactive planning for future crisis management and risk prevention.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