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2차 대전기 『에스콰이어』와 전시 국민주의: 국민주의의 구성과 균열을 중심으로
Wartime Nationalism in Esquire during World War II: Focusing on the Construction and Deconstruction of Nationalism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미국사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merican History. Nov 30, 2023 58:237
Subject
국민주의
에스콰이어
2차 세계대전
대중문화
선전전
Nationalism
Esquire
World War II
Mass Culture
Propaganda
Language
Korean
English
ISSN
1229-0238
Abstract
2차 대전기 각종 대중매체는 국민주의 고양을 위한 선전전을 주도하였다. 『에스콰이어』는 이러한 매체 중 하나로서 고유한 잡지의 역사를 반영하는 자율적인 선전전을 수행하였다. 미국적 삶의 방식으로 여겨진 자유와 관용에 기초한 전시 국민주의는 무정형의 이념이었고 『에스콰이어』는 이러한 가치들을 수용하면서도 특수한 형태의 국민주의를 구성하였던 것이다. 『에스콰이어』의 자유에 기초한 국민주의는 개인주의적 자유주의 정치 강령과 경제적 자유를 미국의 삶의 방식으로 신성시하며 특히 경제적 개인주의와 자유시장경제가 미국의 유례없는 물질적 번영을 창출한다고 여기는 예외주의와 우월의식을 내재한 기업친화적 국가의식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국민주의는 개인주의에 기초하는 바 개인으로의 파편화라는 도전에 상시적으로 직면하고 있었다. 또한 『에스콰이어』는 기업이 주도하는 전후 국경을 넘어선 자유시장경제를 이상화함으로써 국민주의의 해체를 가속화하기도 하였다. 인종적 관용에 기초한 국민주의 역시 수용되었으나 기업친화적 대중매체가 이에 대해 가진 소극적 관심을 『에스콰이어』는 잘 보여주었다. 도리어 오랜 인종주의적 잔재가 『에스콰이어』의 기사, 만평, 독자투고란 등에서 드러남으로써 탈인종적 국민주의가 얼마나 정착하기 어려운 것인지를 잘 보여주었던 것이다. 전시국민주의의 다양성과 균열성에 주목하여 선전전의 내용이 정형화되지 못한 것임을 인식한다면 사회문화적 기획의 한계를 확인함과 동시에 대중문화 상품을 지배 이데올로기의 수직적 전달자로 보는 단순한 시각 역시 교정이 필요할 것이다.
During World War II, mass media led the propaganda war to promote nationalism. Esquire magazine also carried out an autonomous propaganda campaign that reflected that magazine’s history. Wartime nationalism based on freedom and tolerance was an amorphous ideology, and while accepting these two values, Esquire constructed a specific pro-capitalist form of wartime nationalism. In Esquire, individualistic liberty, which was a universal but American ideal at the same time, sanctified economic freedom and the free market economy, which had created the unprecedented material prosperity of America. Accordingly, nationalism was a business-friendly consciousness embedded with exceptionalism and a sense of superiority. However, since this nationalism is based on individualism, it was constantly facing the challenge of fragmentation into individual self-interests. Moreover, Esquire also accelerated the dissolution of nationalism by idealizing a corporate-led cross-border free market economy after Victory. While war-time Nationalism was also based on racial tolerance, Esquire clearly demonstrated the passive interest that the business-friendly mass media had in this regard. Moreover, Esquire’s articles, cartoons, and reader submissions revealed long-standing racist remnants, clearly showing how difficult it was for post-racial nationalism to take root. This study, which focuses on the diversity and cracks of wartime nationalism, uses Esquire as the subject of analysis, and examines its simultaneous composition and dissolution to confirm that nationalism was constantly constructed. It also stresses that the effectiveness of war-time propaganda could not be exaggerated, and mass culture was not merely a method to propagate dominant ideologies.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