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붓다 시대의 다양한 장례법 고찰
A Review of Various Funeral Methods at the Time of Buddha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세계불학 / The World Buddhology. Nov 30, 2023 3:77
Subject
장례
시타림
다비
사유
화장
사리

초기불교
전륜성왕
Funeral Rites
the Cool Grove Charnel Ground
Cremation
Sacred Relics
Stupa
Early Buddhism
Wheel-Turning King
Language
ISSN
2951-6153
Abstract
본고는 초기불교경전에 나타난 장례법 가운데 화장을 논의하였다. 이를 위해 초기 불교의 율장과 경장 등에 화장 다비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불교 흥기 당시의 장례법은 대체로 화장, 수장, 매장 그리고 초장 또는 야장과 같은 네 가지 장례법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장례법은 모두 석가모니 붓다에 의해 비구들의 입적 시에 행할 수 있는 장례법으로 제시된다. 그렇지만 화장이 최선으로 권장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구가 죽으면 시신을 길가나 시타림 등에 투기하는 것은 아니고 가능한 화장을 하라는 것이다. 붓다는 출가비구의 장례를 상황과 여건에 따라 화장 ⇨ 수장 ⇨ 매장 ⇨ 초장 또는 야장(野葬)과 같은 차선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출가자의 장례법에서 붓다는 화장의 한 가지 장례 방법만을 고집한 것이 아니다. 또한 초기경전에서 탑을 세울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존재는 첫 번째는 여래(如來), 두 번째는 벽지불(辟支佛), 세 번째는 성문(聲聞)들, 그리고 네 번째는 전륜성왕으로 나온다. 여기서 성문은 ‘완전한 열반’을 성취한 덕 높은 출가자만을 한정하는 경우로 보인다. 이렇듯 장례의식 후 탑을 세울 수 있는 경우는 모든 출가자에 해당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일반 재가자는 화장의 경우에 기념탑까지 조성했던 사례가 나타난다. 붓다의 장례는 한역 『유행경(遊行經)』과 이에 상응하는 Mahāparinibbāna Sutta의 빠알리 경전에서 화장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붓다의 장례는 전륜성왕의 장례법에 준할 것으로 제시된다. 그리고 장례는 출가자가 아닌 재가자가 전담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붓다의 다비식은 일종의 공양의식으로 축제처럼 묘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같은 다비 전통은 현재에도 남아시아와 동남아시아의 불교국가에서 축제처럼 재연되고 있다. 또한 나라마다 다비의식의 규모나 내용이 약간 차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유행경』과 『대반열반경』에 나타난 부처님의 다비 화장은 불교가 전해진 모든 문화권의 화장 다비와 사리숭배의 근거가 된 것이다. 모든 불교국가에서 다비의식은 입멸자에 대한 최고로 경의를 표하는 장엄한 장례법의 표본이 된 것이다.
Throughout human history, there have been many ways to dispose of corpses. Among them, cremation is one method. This paper discussed cremation among the funeral methods found in early Buddhist scriptures. For this purpose, we looked at how cremation appears in the Vinaya Piṭaka and Sutta Piṭaka of early Buddhism. At the time of the rise of Buddhism, funeral methods were generally divided into four types: cremation, burial at river, burial under earth, and burial under grass, or wild funeral. The Buddha suggested this funeral method to be performed at the time of death of bhikkhus. However, the Buddha recommends cremation as the best funeral. When a bhikkhu dies, the body should not be dumped on the side of the road or in the cool grove charnel ground(sītavana), but should be cremated if possible. The Buddha suggests the next best methods for the funeral of a bhikkhu, such as cremation(fire funeral) ⇨ burial at river ⇨ burial under earth ⇨ burial under grass and plant or wild funeral,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circumstances. In the funeral methods of monks, the Buddha did not insist on only one funeral method of cremation. Also, in the early scriptures, the first beings qualified to build a stupa(memorial towers) are Tathagata, the second is paccekabuddha(sk. pratyekabuddha), the third is disciples of the Buddha, and the fourth is the Wheel-turning King. Here, it appears that disciples of the Buddha who can build stupas are limited to highly virtuous monks who have achieved ‘complete nirvana.’ As such, the case where a stupa can be erected after a funeral rites does not apply to all monks. On the other hand, there are cases where laymen/laywomen even built memorial towers(stupa) in case of cremation. The Buddha's funeral appears as a cremation in the Mahāparinibbāna Sutta in the Chinese and Pali versions. Here, The Buddha's funeral is presented as following the funeral rites of the wheel-turning king. And it appears that laymen/laywomen, not monks or monks, are in charge of funerals. Additionally, the Buddha's cremation ceremony is described as a kind of festival-like offering ceremony. For this reason, this cremation tradition is still being reenacted like a festival in Buddhist countries in South and Southeast Asia. In addition, even though the scale and content of cremation rituals differ slightly from country to country, the cremation of Buddha in the Chinese translation and the Pali version of the Mahāparinibbāna Sutta has become the basis for funeral rites and worship of sacred relics in all Buddhist cultural areas where Buddhism was introduced. In all Buddhist countries, the cremation ceremony has become a model of solemn funeral practices that show the highest respect for the deceased.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