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BTI 검사결과 유형과 최적유형 비교 연구: 온라인 플랫폼을 중심으로
A Comparative Study of MBTI Reported Types and Best-fit Types: Focusing on Online Platform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심리유형과 인간발달(구 한국심리유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y of Psychological Type. Oct 30, 2023 24(2):23
Subject
MBTI
검사결과유형
자기추측 유형
최적유형
참유형
변조유형
Reported type
Self-estimated type
Best-fit type
True type
Falsification Type
Language
Korean
ISSN
2586-4076
Abstract
본 연구는 MBTI 온라인 플랫폼에서 MBTI를 실시하고, 최적유형을 찾은 20~30대 이용자의 검사결과유형(reported type)과 최적유형(best-fit type)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22년 1월부터 2023년 2월까지 해당 연령대에 속하는 총 2,664명의 온라인 플랫폼 사용자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검사결과 유형과 최적유형의 4가지 선호지표가 모두 일치하는 인원의 비율이 73.6%인 것을 확인하였다. 가장 일치율이 높은 유형은 INFJ, ENFJ, INTP 순이었으며, 일치율이 낮은 유형은 ESTJ, ENFP, ISTJ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표별 일치율은 E-I, J-P, T-F, S-N 순으로, 태도 지표보다는 기능 지표를 변경하는 비율이 높았으며, 선호분명도 범주가 ‘매우분명’에 비해 ‘약간’에 속하는 경우의 지표 변경 비율이 현저하게 높았다. 본 연구는 MBTI에 관심이 많은 20~30대 남녀를 대상으로 국내에서 처음으로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최적유형 탐색 과정을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온라인 플랫폼이 검사실시 및 최적 유형을 탐색하기 위한 도구로 효과적으로 기능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끝으로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에 포함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reported type and best-fit type of MBTI results among users in their 20s and 30s who have undergone MBTI on an online platform and identified their best-fit type. For this, a total of 2,664 individuals belonging to the age groups were analyzed from January 2022 to February 2023.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73.6% of the participants had all four preference indicators of the reported type and the best-fit type aligned. The types with the highest percentage of agreement were INFJ, ENFJ, and INTP, whereas those with the lowest percentage of agreement were ESTJ, ENFP, and ISTJ. Additionally, the percentage of agreement by indicator were in the order of E-I, J-P, T-F, and S-N, which implied that the tendency to change functional indicators was higher than that of attitudinal indicators. The rate of indicator change was notably higher for those whose preference clarity fell under ‘Slight’ compared to those under ‘Very Clear.’ This research holds significance as it is the first domestic study to examine the process of finding the best-fit type through an online platform targeting men and women in their 20s and 30s with a high interest in MBTI. It demonstrates that the online platform serves as an effective assessment tool for the best-fit type searching. Lastl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research were included in the discussion.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