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패션산업의 트렌드 변화에 대한 인식 - 디지털 기술 기반의 환경을 중심으로 -
Evolution of Trend Perception in the Fashion Industry - Within a Digital Technology-Driven Landscape -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Sep 30, 2023 23(3):141
Subject
패션 트렌드
패션 시스템
트렌드 활용
패션산업
패션산업 신경향
fashion trend
fashion system
trend applications
fashion industry
new trends in the fashion industry
Language
Korean
ISSN
1598-3749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기술 기반 환경에 새로운 패션산업의 형태와 이에 따른 트렌드 작용 기제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은 소비자 대상 양적 연구와 생산자 대상 질적 연구를 통합하여 패션 트렌드 인식 및 활용의 변화를 살펴보고, 변화된 인식에 맞게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첫째, 패션 소비자와 생산자 모두 트렌드 지속성 단축을 인식하고 있다. 둘째, 트렌드에 다양성이 확대되고 있음을 인지하고 있다. 셋째, 소비자 참여 시스템 도입을 긍정적으로 생각한다. 넷째, 대규모 브랜드 운영 방식의 미래에 대해 소비자는 희망적으로 전망하지만, 생산자는 부정적으로 내다보고 있다. 다섯째, 친환경의 중요성에 대해 인식하지만, 걸맞은 대응은 미비한 것으로 보여진다. 여섯째, 새로운 기술 도입의 필요성에 대해 소비자는 긍정적인 반면, 생산자는 부정적이다. 이에 대한대책으로는 첫째, 소비자의 생산자로서의 역할 확대를 긍정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둘째, 젠더리스, 시즌리스 트렌드 반영을 확대해야 한다. 셋째, 소비자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반영 및 검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넷째, 3D 스캐닝의 부분적 도입이 필요하다. 다섯째, 패션 렌털의 친환경성에 대한 홍보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생산자와 소비자 양쪽의 관점에서 새로운 패션산업의 트렌드 변화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침체기를 겪고 있는 국내 패션업계에 전략 수립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학문적인 관점에서는 변화된 패션업계 시스템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역량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화하는데 초석이 될 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figuration of a new fashion industry within a digital technology-driven environment and comprehend the corresponding shifts in trend mechanisms. The research methodology involves a combination of quantitative consumer research and qualitative producer analysis to scrutinize alterations in the perception and application of fashion trends. The study aims to formulate strategies to address these evolving perception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reveal several insights. Firstly, both fashion consumers and producers acknowledge the diminishing continuity of trends. Secondly, there is an observable expansion in trend diversity. Thirdly, a favorable outlook on the adoption of consumer participation systems is apparent. Fourthly, while consumers express optimism about the future of large-scale brand operations, producers hold a more pessimistic view. Fifthly, the significance of eco-friendliness is being recognized, yet the responses appear insufficient. Lastly, consumers exhibit a positive attitude toward integrating new technologies, whereas producers show reluctance. As a countermeasure to this, first, there is a pressing need to proactively explore ways to empower consumers by involving them more directly in the production process. Second, we advocate the expansion of gender-neutral and seasonless fashion trends within the industry. Third,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an ongoing feedback mechanism to systematically integrate and evaluate consumer feedback. Fourth, the partial adoption of 3D scanning technology is seen as a valuable enhancement. Lastly, we recommend promoting eco-friendly fashion rental options. This study is anticipated to mak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domestic fashion industry, which is currently grappling with various challenges.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