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물질성 연구의 기호학적 적용 - DIY 제작 문화를 중심으로
A Semiotic Adaptation of Materiality Studies: With a Focus of DIY Making Culture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기호학 연구 / Semiotic Inquiry. Dec 30, 2022 72:7
Subject
물질성
삼원적 기호학
DIY
제작 문화
실감미디어
materiality
triadic semiotics
making culture
immersive media
Language
Korean
ISSN
1229-3172
Abstract
21세기의 개막과 더불어 물질성(materiality) 연구는 인문학과 사회과학 분야에서 빠르게 진전하였고, 다양한 학제적 연구의 가능성 또한 만개하였다. 무엇보다 물질성 담론이 기존의 학문 체계가 제대로 다루지 못했던 의제들을 명시적으로 부각하고, 참신한 통찰과 방법론을 모색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는 기대감은 나날이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물질성 연구의 성과를 기호학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적용할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에서부터 출발한다. 먼저 1, 2절에서는 물질성 담론의 최근 경향을 선별하여 개괄하고, 새롭게 부상하는 디지털 사물 세계와 연관하여 제작 문화의 물질적 특성을 살펴볼 것이다. 이러한 논의에 이어 3절에서는 삼원적 기호학에 기반하는 융합 모델을 제시해보려고 한다. 그것은 퍼스의 삼분법을 중심축으로 삼아 물질성과 제작 문화의 주요 개념을 아우르면서 ‘경험’과 ‘미학’으로 수렴하는 구조를 지닌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기호학 × 물질성 × DIY(Do-It-Yourself) 제작 문화의 융합 모델을 실감미디어(immersive media)의 사례에 적용하여 분석함으로써 물질성 연구의 기호학적 적용의 결과를 도출하고자 한다.
Since the turn of the century, materiality studies have made major advancements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and the potentials of numerous interdisciplinary studies have also blossomed. Most significantly, there is a growing expectation that materiality discourse would actively look for new approaches and insights while simultaneously drawing attention to problems that the existing academic system has not sufficiently addressed. This study begins by investigating if it is possible to comprehend and make use of the accomplishments of materiality studies from a semiotic perspective. In the first and second sections, I will select and outline the current themes in the discussion of materiality, as well as examine the material characteristics of making cultures linked to a newly emerging world of digital objects. Following this debate, an integrated conceptual model based on Peirce’s triadic semiotics will be proposed in the third section. It has a framework that converges into ‘experience’ and ‘aesthetics’, while incorporating the key concepts of materiality and making culture studies, with Peirce’s trichotomies serving as the primary axis. Lastly, I intend to present how materiality studies may be semiotically adapted by applying and analyzing my integrated model of semiotics × materiality × DIY making culture to the case of immersive media.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