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찰공무원의 체면민감성과 대인관계 스트레스 간의 관계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ce Sensitivity and Interpersonal Stress of Police Officer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인문사회 21 /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Oct 30, 2022 13(5):991
Subject
Face
Face Sensitivity
Interpersonal
Interpersonal Stress
Police Officer
체면
체면민감성
대인관계
대인관계 스트레스
경찰공무원
Language
Korean
English
ISSN
2951-049X
Abstract
연구 목적: 경찰공무원의 체면민감성과 대인관계 스트레스 수준 및 관계를 분석하여 체면민감성의 부정적 정서를 극복하고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체면민감성과 대인관계 스트레스 등 7개 하위요인 36개 문항으로 설문 항목을 구성하고 K시와 J도의 경찰관 150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내용: 경찰공무원의 체면민감성과 대인관계 스트레스 수준 및 관계를 분석한 결과 체면민감성에서 형식의식성의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타인의식성과 대인관계 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경찰공무원의 체면민감성과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형식의식성과 타인의식성이 대인관계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제언: 연구 결과를 통해 경찰공무원의 자존감을 높일 수 있는 개인 및 집단 상담 제도 제안, 정기적인 심리 전문 교육과 훈련의 제도화, 대인관계 개선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과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다양한 지원 등을 제안하였다. 향후 전국적인 설문조사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할 필요가 있으며, 체면민감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양한 변수를 포함하는 인과관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olicy suggestions for overcoming negative emotions of susceptibility for social face and relieving interpersonal stress by analyzing the susceptibility for social face, interpersonal stress level and relationship of police officers. To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36 items of 7 sub-factors such as susceptibility for social face and interpersonal stress, and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150 police officers in K city and J province. First of al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sceptibility for social face, interpersonal stress level and relationship of police officers, the level of formal consciousness was found to be relatively higher in sceptibility for social fac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consciousness of others and interpersonal stress was the highest. Next, as a result of a regression analysis on susceptibility for social face and interpersonal stress of police officers, formal consciousness and awareness of others were found to be variables that affect interpersonal stres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found that to present individual and group counseling systems to increase the self-esteem of police officers, institutionization regular psychological profess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suggested communication programs to impro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various support for stress relief.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llect data through nationwide surveys, etc., and a causal relationship study including various variables that can affect susceptibility for social face should be conducted.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