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위선과 무례함 그리고 사악함의 변주곡 : 북한 관련 '가짜뉴스'를 통해서 본 한국 언론의 민낯
Variation intermingled with hypocrisy, impoliteness and viciousness : The reality of Korean journalism discovered by 'fake news' about North Korea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통일문제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Unification Affairs. Nov 30, 2021 33(2):189
Subject
북한악마화
가짜뉴스
프로파간다
담론전쟁
여론
Demonizing North Korea
Fake New
Propaganda
Discourse War
Public Opinion
Language
Korean
English
ISSN
1225-7478
Abstract
한국 사회에서 북한은 독특한 존재다. 민족공동체의 반쪽이라는 긍정적 측면과 전쟁 중인 적대국이라는 정체성이 혼합돼 있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뉴스는 국내 언론의 단골메뉴 중 하나며, 대북정책과 남북관계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그러나 일상에서 접하는 북한뉴스는 문제가 많다. 대부분 부정적이며, 진실이 아닌 경우가 많고, 공정성과 균형성과 같은 언론 규범이 적용되지 않는다. 명백한 오보로 밝혀진 때에도 제대로 된 정정 보도가 없다. 연구진은 이런 배경에서 신 냉전이 다시 한반도에 뿌리를 내리고, 북한의 안보위협은 높아지고, 남북 간 갈등이 증폭되는 상황과 북한뉴스(특히 오보)의 관련성에 주목했다. 분석 대상을 주요 일간지에 등장한 북한과 관련한 오보 666건으로 설정한 것은 이런 배경에서다. 분석 시기는 1993년부터 2020년까지로 설정했다. 관찰 지점은 두 가지다. 북한에 대한 오보가 주로 무엇과 관련된 것인지를 살폈다. 북한 지도부에 관한 것인지, 핵실험과 관련된 것인지, 아니면 특정인의 망명이나 인권탄압 사례인지에 대한 분석이다. 다른 한편으로, 특정 오보의 최초 발신자가 누구인가를 밝혔다. 국내 뉴스와 마찬가지로 언론의 정상적인 취재인지 아니면 특정 의도를 가진 ‘누군가’에 의한 허위 정보인지를 파악하는 게 목표였다. 북한 오보의 특성을 분석한 후 연구문제를 추가했다. 진보와 보수 정권에서 오보의 양상이 달라지고 있는지, 배경은 무엇인지 살폈다. 다른 하나는 언론의 정파성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이었다. 한 예로, 반공주의와 한미동맹을 강조하는 <조선일보>와 민족통일을 사시로 내세우는 <한겨레>에서 오보를 대하는 방식을 확인하는 작업이다. 분석을 통해 몇몇 흥미로운 점이 밝혀졌다. 북한 오보가 우연이 아니라 미국의 대외정책과 관련이 깊다는 것이 첫 번째다. 또한, 북한에 관한 잘못된 정보가 특정 의도에서 유통되는 ‘가짜뉴스’일 가능성과 미국의 프로파간다와 관련이 깊다는 점도 드러났다. 끝으로, 북한 뉴스의 제약요인으로는 북한에 대한 정보부족, 국내 언론의 취약한 전문성 및 미국에 대한 높은 정보의존성 등이 확인됐다.
North Korea lies in between ‘public enemy’ and the half of family. Korean media pay particular attention to North Korean news which has many things to do with public opinion, foreign policies, and collective identity accordingly. What deserves academic scrutiny is such a point that quite a lot of those news related to North Korea turned out to be false or myths interwoven with political agenda however. Taking the possible impact of such a wide range of false information on the Korean peninsular, this paper thus attempts to analyze those fake news related to North Korea in terms of themes, sources and political contexts. The potential impacts of not only political regimes but also partisanship of the media were another point of inquiry. For this, total 666 articles published by major newspapers in South Korea were collected from the year of 1993 to 2020. Research show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of all, US foreign policy took a critical part in generating North Korean fake news varied by human rights violation, leadership collapse, and illegal activities like money laundering. It was found secondly that large portion of sources came from US, and its anti-communism allies including British, Australia, Taiwan, and Japan. This finding in particular sheds a light on possible existence of ongoing propaganda believed to be active during the Cold War. Finally, such factors as lack of information about the country, poor understanding of international geopolitics, and extremely high degree of knowledge dependency on US were called into play in media performance.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