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광주지역 저출생 체중아의 발생 빈도와 사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cidence and Mortality of Low Birth Weight Infants in Kwangju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한국모자보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Jan 31, 1998 2(1):29
Subject
ow birth weight
incidence
mortality
Language
Korean
ISSN
1226-4652
Abstract
광주지역의 저출생 체중아의 발생빈도 및 사망과 관련된 요인을 밝히고자 1개 대학병원, 1개 종합병원 및 1개 산부인과 의원에서 1994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 사이에 분만한 산모를 대상으로 분만 기록을 조사하고 출산 후 1년이 지난 1995년 12월부터 1996년 1월 사이 에 전화 면담하여 영아의 사망여부를 조사하였다. 결측치 자료를 제외한 2,179명의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출생 체중 2,500gm 미만의 저출생 체중아의 빈도는 7.4%, 1,500gm 미만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빈도는 1.4%, 4,000gm 이상의 거대아는 5.8%였다. 2. 출생 후 1년 이내의 영아 사망여부를 조사한 총 출생 2,179명 중 총 사망자 수는 48명으로 영아 사망률은 2.2%였다. 1,500gm 미만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사망률은 80.0%로 가장 높았고 2,500gm 미만의 저출생 체중아 사망률은 23.6%, 2,500~3,999gm의 정상 체중아 사망률은 0.48%, 그리고 4,000gm 이상의 거대아 사망률은 0.79%였다. 3. 출생시 평균 체중은 산모 연령 30세 이상군에서, 산모의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임신중 질병을 앓은 적이 없는 경우, 태반에 문제가 없는 경우에 유의하게 높았다(p<.01). 또한 출생 순위가 증가할수록 체중이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p<.001), 기형이 없는 정상 신생아에서 평균 체중이 높았다(p<.05). 4. 2,500gm 미만의 저출생 체중아와 관련된 요인으로는 임신중 산모가 질병을 앓은 경험이 있는 경우(p<.001), 여아인 경우(p<.01) 등이었다. 5. 제왕절개 분만을 한 경우와 임신중 산모가 질병을 앓은 경험이 있는 경우 등이 영아 사망과 관련이 있었으며 (p<.001), 남아보다 여아인 경우 영아 사망률이 높았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p<.06). 결론적으로 2,500gm 미만의 저출생 체중아의 발생 빈도가 7.4%였고 사망률이 2.500gm 이상 체중군에 비해 훨씬 높았는데 이는 체계적인 산전 관리로 조산을 예방하고 저출생 체중아에 대한 적극적인 치료를 함으로써 이들에서의 사망률도 훨씬 낮출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o investigate the incidence of low birth weight infants and their mortality and its related factors, a study was conducted for 2,179 newborns who were born at three hospitals in Kwangju from January 1 to December 31, 1994. Data were collected by telephone interview with mothers and from hospital records during the period from December 1995 to January 1996. The incidence of low birth weight infant(<2,500gm) and very low birth weight infant(<1,500gm) were 7.4% and 1.4% respectively. Infant mortality rate of low birth weight babies was 23.6% an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ormal birth weight infants(0.48%). Birth weight was related to maternal age, educational level and illness during pregnancy, and birth order and congenital anormaly of the newborn. Especially, the factors related to low birth weight were illness during pregnancy, placenta related illness, and female birth. Infant mortality rate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c-section delivery and illness during pregnancy.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