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전 양치교실사업 30개월 경과시점의 구강병 예방효과
Prevention Effect of Oral Disease through School-based Toothbrushing Program in Daejeon after 30 months
Document Type
Article
Source
치위생과학회지 / Journal of Dental Hygiene Science. Apr 30, 2011 11(2):91
Subject
Dental caries
MMP-9
Oral health
Periodontal status
School-based Tooth brushing program
Language
Korean
English
ISSN
1598-4478
Abstract
본 연구는 대전 양치교실사업의 2년 6개월경과 시점에서 구강병 예방효과를 추구조사연구로 보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2008년부터 2010년 5월 현재 양치교실이 설치되어 있는 대전 동구 D초등학교 5학년 학생 70명을 실험군으로 선정하였으며 대조군으로는 지리적, 경제적 상태, 학교 규모가 비슷할 것으로 예측되며 학교장의 협조를 얻을수 있었던 대전 동구 S초등학교 5학년 학생 70명을 선정하였다. 조사방법은 구장검사로 치면세균막검사, 치아우식증검사를 양치교실 경과 6개월 시점, 18개월 시점, 30개월 시점에 실시하였으며, 30개월 시점에서는 치은지수검사, 치은열구액 수집을 추가하여 치은열구액 내 MMP-9 을 분석하였으며, 구강보건지식도 및 행위 도를 분석하였다. 1. 치아우식증 관련지수에 있어서 2년 6개월 경과함에 따른 양치교실군과 대조군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치면세균막지수는 양치교실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3. 치주질환 관련지수인 치은지수, 치석지수는 양치교실 군과 대조군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치은열구액 내 MMP-9의 농도에 있어서 양치교실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았으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구강보건지식에 있어서 양치교실군이 대조군에 비해 지식상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구장보건행위도, 1일 잇솔질 횟수, 교내 양치도구 준비에 있어서 양치교실군과 대조군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양치교실사업에 있어 치연세균막제거의 효 과는 검증할 수 있었으나 치아우식증예방 치주질환예방효과는 불분명하며 행위도나 양치도구 구비 여부를 보았을 때 현재 대전 D초의 양치교실사업이 효율적으로 운용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양치교실사업의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양치교실 설치 뿐 아니라 적절한 응용프로그램과 운용에 대한 책임 소재, 학교측과 학부모의 관심이 있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ention effect of oral disease on the school-based toothbrushing program(SBTBP) in Daejeon in 30 months. The experimental subjects were the 5th grade`s 70 students who have gone to school with the school-based toothbrushing program since the 3th-grade. The control school was located in close geographical area with similar economical status. The questionnaire about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was done by self-recording. After one dentist examined the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status, the gingival crevicular fluid(GCF) was collected with #25 paperpoint for 1 miniutes. Matrix Metalloproteinase(MMP)-9 in GCF was analyzed by ELISA. The SBTBP group had the upper oral health knowledge than the control significantly(p<0.001), but, the SBTBP group had no difference of the oral health behavior from the control. Although the SBTBP group had the lower plaque index than the control significantly(p=0.02), the SBTBP group had no difference of the gingival index, calculus index and the concentration of MMP-9 in GCF from the control. In conclusion, The SBTBP had the effect to reduce the dental plaque and to improve the oral health knowledge.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to prevent dental caries and periodontal disease of SBTBP was not clear.

Online Ac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