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동파 시사 중한 번역 연구 : 조규백과 류종목의 한역본을 중심으로 / A study on Korean Translation of Su Tungpo's poetry -Focusing on Jo Gyubaek and Ryu Jongmok's Translation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소동파 시사
중한 번역
시사 번역
번역 방법
병렬코퍼스(parallel corpus
병렬말뭉치)
Language
Korean
Abstract
This thesis analyzes the Korean translation of Su Tungpo's poetry by Jo Gyubaek and Ryu Jongmok, authoritative scholars in the field of Su Tungpo research. It explores the translation situations of different translators, examines the reasons for the differences in translations, and proposes methods for translating poems. The thesis is summarized as follows: In Chapter 2, the Chinese-Korean translation of Su Tungpo's poetry i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vocabulary. First, the constructed Chinese-Korean parallel corpus was tagged with part-of-speech, and the distribution of part-of-speech in the original text, Jo Gyubaek's translation, and Ryu Jongmok's translation were counted and compared. Translation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literal translation, free translation, addition, ellipsis, and transposition. The vocabulary trans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two translators were analyzed. Jo Gyubaek uses free translation and shift methods to help readers understand the original text while remaining faithful to its meaning. Ryu Jongmok's vocabulary translation is more concise and employs literal translation. In Chapter 3, the Korean translation of Su Tungpo's poetry is compared with the original text from a grammatical perspective. Additionally, the syntactic features of each text are analyzed, including the conversion of article components and changes in word order during the translation process. The sentence componentsof each of the three texts were counted through the Chinese-Korean parallel corpus, and a qualitative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rresponding example sentences of the three tex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Jo Gyubaek prefers the syntactic conversion translation method, while Ryu Jongmok prefers the translation method that is consistent with the original text. It can be seen from this that, in comparison, Jo Gyubaek is not limited to the superficial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while Ryu Jongmok is more faithful to the expression of the original text.In Chapter 4, the rhetorical content in the original text is marked, and the corresponding translation is derived through the search function of the Snowman CAT program. The rhetorical techniques of each text were quantitatively compared. Through the case analysis method, the performance effects of different rheto rical translation methods were explor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among the Korean translations related to the rhetoric of Su Tungpo's poetry, the two translators' literal translation of the original rhetorical techniques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all translation methods. This is a method of translating therhetorical techniques of the original text intact and represents the effective communication of information between the two cultural circles. In the translation of rhetorical expressions in the original text, Ryu Jongmok is faithful to the formal expression of the original text through literal translation.Finally, Chapter 5 proposes poetry translation methods, while Chapter 6 summarizes the research process, results, and significance of this article and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his thesis primarily studies the translation of Su Tungpo's poetry, but the analysis results and suggestions for poetry translation methods apply to the Korean translation of all Chinese classical poetr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come a useful reference for translation learners and researchers in the field of translation studies.Keywords: Su Tungpo's poetry, Chinese-Korean translation, poetry translation, translation method, parallel corpus.
본 논문은 소동파 연구 분야에서 권위 있는 학자인 조규백과 류종목의 소동파 시사 한역본을 분석 대상으로 역자에 따라 서로 다른 번역양상을 살펴보고 역문의 차이가 생겨난 원인을 검토하여 시사 번역의 번역 방법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논의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2장에서는 어휘 측면에서 소동파 시사의 중한 번역양상을 살펴보았다. 우선 구축된 중한 병렬코퍼스를 기초로 형태 주석을 통해 원문, 조규백 역문과 류종목 역문 등 세 텍스트 각각의 품사 분포와 규모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번역과정에서 구사한 번역 방법인 직역법, 의역법, 첨가법, 생략법, 변환법으로 어휘 번역양상을 분류하여 두 번역자 각각의 번역 특징을 분석하였다. 조규백은 소동파 시사의 번역에 있어 원문의 의미에 충실하게 번역하면서 독자가 원문에 대하여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의역법, 첨가법, 변환법을 사용하여 번역하는 경향이 있었고, 류종목의 소동파 시사에 대한 번역은 좀 더 세련되었고 직역법을 많이 채택함으로 원문의 형식에 대한 충실성을 더 중시하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3장에서는 소동파 시사 한국어 번역문과 원문 사이의 구문 특징을 비교하여 번역과정에서의 구문 변환을 살펴보고 그 변환을 일으키는 원인을 분석하였다. 중한 병렬코퍼스를 통해 세 텍스트 각각의 문장 성분을 통계하고 문장 성분별 정량 통계 결과를 바탕으로 세 텍스트 간의 예문에 대해 정성 대조 분석을 진행하였다. 조규백이 많이 채택한 구문 번역 방법은 변환 번역이었고, 류종목은 원문과 일치한 번역문이 많았다. 이로부터 조규백은 류종목보다 원문의 문자적 의미에 국한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장에서는 구축된 병렬코퍼스 중의 원문 수사 표현을 표기하고 Snowman CAT 프로그램의 검색 기능을 통하여 해당하는 역문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수사법의 번역 방법을 계량화하고 번역양상을 분석하여 역자가 채택한 다양한 번역 방법의 표현 효과를 살펴보았다. 소동파 시사 수사 방법의 한국어 번역에서 두 역자가 많이 사용한 번역 방법은 원문 수사법에 대한 직역으로 모든 번역 방법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이는 이상적인 것으로 알려진 수사 방법을 그대로 번역하는 방법으로 두 문화권에서는 이미지의 전달을 효과적으로 하고 있음을 입증하였다. 원문의 수사적 표현에 대한 번역에서 류종목은 직역법을 더 많이 사용하여 원문의 표현 형식에 더 충실하였다. 조규백은 원문 중의 함축된 이미지를 명시화하여 번역하는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5장에서는 본 논문의 번역 방법에 관한 제언을 정리하였고 6장에서는 본 논문의 논의를 요약하여 의의를 밝히는 동시에 본 연구의 한계를 지적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소동파 시사 번역 상황만을 다루었지만 분석한 결과와 번역 방법에 관한 제언은 모든 중국 고전 시사의 한국어 번역에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번역 학습자나 번역학 분야의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