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신중년의 상황인식, 개인특성 및 디지털미디어활용역량이 경제활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기회인식의 매개효과와 연령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Situational Awareness, Personal Characteristic, and Digital Media Competency on the Intention to Continue Economic Activity in New Middle-aged Adults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Opportunity Recognition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Age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신중년
상황인식
개인특성
디지털미디어활용역량
기회인식
경제활동지속의도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사회의 경제적 발전과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신중년의 경제활동지속의도를 연구과제로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Bird(1988)의 창업의도모델과 기회인식이론을 결합하여 이론적인 토대로 삼았다. 또한 신중년이 한국 인구구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증가함에 따라, 50대와 60대 신중년 간의 차이점을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설문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사전조사를 통해 보완하여 최종적으로 완성하였다. 설문은 신중년을 대상으로 410부를 회수하였으며 388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AMOS 24.0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SEM)을 구축하고 최대우도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황인식의 하위요소 중에서 경제적준비와 정부지원제도의 인식이 기회인식과의 관계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용가능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개인특성의 하위요소 중에서 사회적경험은 기회인식과의 관계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기효능감과 사회적자본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디지털미디어활용역량의 하위요소 중에서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은 기회인식과의 관계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디지털미디어 기기활용역량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기회인식은 경제활동지속의도와의 관계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기회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의 영향력 크기는 경제적준비,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역량, 사회적경험, 정부지원제도의 순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기회인식은 독립변수인 경제적준비, 사회적경험,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역량과 종속변수인 경제활동지속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연령 대별로 경제활동지속의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50대와 60대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은퇴 후 신중년의 경제활동의 이유가 가계안정 뿐만 아니라, 신중년 자신의 가치 유지에도 있음이 확인되었다. 아홉째, 신중년 그룹 내에서 각각의 소집단(재직자, 재취업자, 프리랜서, 창업자, 은퇴자, 기타)의 경제활동지속의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presented the intention to continue economic activity in New Middle-aged Adults as a research topic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s of economic development and aging in Korean society. To this end, this study used Bird's (1988) entrepreneurial intention model and opportunity recognition theory as a theoretical foundation. Additionally, as the proportion of New Middle-aged Adults in Korea's demographic structure increase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differences between New Middle-aged Adults in their 50s and 60s. To conduct this study, previous research was analyzed, survey questions were developed, and they were supplemented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and finally completed. 41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New Middle-aged Adults, and 38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This study construct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using AMOS 24.0 and analyzed it using the maximum likelihood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ubcomponents of situational awareness, economic preparation and government support system were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with opportunity recognition. Employability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Second, among the subcomponen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social experience was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with opportunity recognition. Self-efficacy and social capital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Third, among the subcomponents of digital media competency, digital communication competency was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with opportunity recognition. Digital media device utilization capability has no significant effect. Fourth, opportunity recognition was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with intention to continue economic activity. Fifth,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of the variables affecting opportunity recognition is economic preparation, digital communication competency, social experience, and government support system. Sixth, opportunity recogni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economic preparation, social experience, and digital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the dependent variable of intention to continue economic activity. Seventh, as a result of analyzing whether there was a difference in intention to continue economic activity by age group,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ose in their 50s and 60s. Eighth, it was confirmed that the reason for economic activity in new age after retirement is not only household stability, but also maintenance of one's own values. Ninth,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ntion to continue economic activity of each subgroup (employed, re-employed, freelancers, entrepreneurs, retirees, and others) within the New Middle-aged Adults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