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완벽주의가 일-가정 양립에 미치는 영향: 일중독과 일웰빙의 매개효과 / The Effect of Perfectionism on Work-Family Reconciliation: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aholism and Workplace Well-being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자기지향적 완벽주의
Bergen 일중독 척도
유대모니아 일웰빙척도
일→가정 갈등
일→가정 향상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elf-Oriented Perfectionism
Bergen Work Addiction Scale
Eudaimonic Workplace Well-being Scale
Work-to-Family Conflict
Work-to-Family Enhancement
Language
Korean
Abstract
In contemporary society, immersing oneself in work is often presented as an admirable way of life, leading to the risk of work encroaching into other areas of one's life. Despite this reality, some individuals manage to maintain a balance and avoid losing themsel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individuals can establish a relationship with work to enrich their lives without falling victim to exploitation. Specifically, it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aholism and workplace well-being in the process where self-oriented perfectionism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fluence work-to-family conflict and work-to-family enhancement. In study 1, we validated instruments for measuring workaholism and workplace well-being—two manifestations of being immersed in work. We modified and validated the Bergen Work Addiction Scale(BWAS) developed by Andreassen, Griffiths, Hetland, and Pallesen(2012) to assess workaholism and validated the Eudaimonic Workplace Well-being Scale(EWWS) developed by Bartels, Peterson, and Reina(2019) to assess workplace well-being. A pilot survey with 224 office workers was conducted using the preliminary items of the Eudaimonic Workplace Well-being Scale,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factor structure. Next,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on 300 office workers using the finalized items of Eudaimonic Workplace Well-being Scale and the Bergen Work Addiction Scale(BWAS). Reliability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collected data,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Concurrent valid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were also tested. Based on the results, the Korean scale of the Bergen Work Addiction Scale was validated as a one-factor, five-item scale, and the Korean version of the Eudaimonic Workplace Well-being Scale was validated as a two-factor, seven-item scale, and these scales were appropriate for assessing workaholism and workplace well-being in office workers in Korea. In study 2, we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aholism and workplace well-being in the process through which perfectionism influences work-to-family conflict and work-to-family enhancement. To achieve this, we applied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o the data from 250 office worker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s among variables. The SPSS 27.0 software was used to conduct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plus 7.0 software was used to validate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structural model (Anderson & Gerbing, 1988). Finally, the mediating effects were examined using bootstrapping. The results of study 2 were as follows. First, perfectionism did not have significant direct effects on work-to-family conflict and work-to-family enhancement. Howeve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workaholism, and self-oriented perfectionis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workplace well-being. Also, workaholism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work-to-family conflict, and workplace well-being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work-to-family enhancement. Second, regarding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aholism and workplace well-being in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on work-to-family conflict and work-to-family enhancement, the effects on work-to-family conflict and work-to-family enhancement varied across the different dimensions of perfectionism. While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fluenced work-to-family conflict only through workaholism, self-oriented perfectionism influenced work-to-family enhancement only through workplace well-being. On the other hand, self-oriented perfectionism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workaholism, so the path from self-oriented perfectionism to work-to-family conflict through the mediation of workaholism was excluded from the analysis. Final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our study based on the results of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Bergen Work Addiction Scale and Eudaimonic Workplace Well-Being Scale and the results of SEM for the mediating effects of workaholism and workplace well-being on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on work-to-family conflict and work-to-family enhancement. Based on the findings, we presented recommendations for interventions that could be used in workplace counseling settings to facilitate Work-Family Reconciliation as well as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These insights contribute to the ongoing discourse on effective strategies in the workplace counseling domain.Key word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elf-Oriented Perfectionism, Bergen Work Addiction Scale, Eudaimonic Workplace Well-being Scale, Work-to-Family Conflict, Work-to-Family Enhancement
현대사회에서 일에 몰두하는 것이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삶의 양태로 제시되면서 일이 삶의 다른 영역으로 침범하기 쉽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도 어떠한 사람들은 자신을 잃어버리지 않고 삶의 균형을 잃지 않는다. 본 연구는 일에 착취당하지 않고 자신의 삶을 보다 풍요롭게 만들기 위해 일과 어떠한 관계를 맺어야 할지에 대해 검토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자기지향적 완벽주의와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일-가정 양립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일중독과 일웰빙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먼저 연구1에서는 일에 몰두한 상태에서 나타날 수 있는 두 가지 양태로서 일중독과 일웰빙(workplace well-being)을 측정하는 도구를 각각 타당화하였다. 일중독은 Andreassen, Griffiths, Hetland & Pallesen(2012)에 의해 개발된 Bergen 일중독 척도(Bergen Work Addiction Scale: BWAS)를 수정하여 타당화하였고, 일웰빙은 Bartels, Peterson & Reina(2019)이 개발한 유대모니아 일웰빙 척도(Eudaimonic Workplace Well-being Scale: EWWS)를 타당화하였다. 예비조사에서는 사무직 직장인 224명을 대상으로 일웰빙척도의 예비문항을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요인 구조를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본조사에서는 사무직 직장인 300명을 대상으로 일중독 척도와 일웰빙 척도의 본문항을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고 그 자료에 대해 신뢰도 분석을 실시한 뒤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공존타당도와 준거관련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형 Bergen 일중독 척도는 1요인 5문항 척도로 타당화 되었고 한국판 유대모니아 일웰빙 척도는 2요인 7문항 척도로 타당화 되어 한국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일중독과 일웰빙 측정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연구2에서는 완벽주의가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일중독과 일웰빙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무직 직장인 250명의 자료에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변인 간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SPSS 2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및 상관분석을 하고 Mplus 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측정모형을 검증한 후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Anderson & Gerbing, 1988). 마지막으로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사용하여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2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는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향상에 대한 직접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별 경로의 유의성 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사회부과적 완벽주의가 일중독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자기지향적 완벽주의가 일웰빙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중독이 일→가정 갈등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일웰빙이 일→가정 향상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완벽주의가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일중독과 일웰빙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을 때, 완벽주의 차원에 따라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향상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부과적 완벽주의는 일중독을 통해서만 일→가정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지향적 완벽주의는 일웰빙을 통해서만 일→가정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기지향적 완벽주의는 일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자기지향적 완벽주의가 일→가정 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일중독이 매개하는 경로는 매개효과 분석에서 제외하였다.마지막으로 일중독 척도와 유대모니아 일웰빙 척도를 타당화한 결과 및 완벽주의가 일→가정 갈등과 일→가정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일중독과 일웰빙의 매개효과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시사하는 바를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기업상담 현장에서 일과 삶의 균형을 촉진하기 위하여 적용할 수 있는 개입 방법에 대한 제언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와 함께 제시되었다. 주요어: 사회부과적 완벽주의, 자기지향적 완벽주의, Bergen 일중독 척도, 유대모니아 일웰빙척도, 일→가정 갈등, 일→가정 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