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분석을 통한 학력 저하와 코로나19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고찰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Decline and COVID-19 through National-Level Academic Achievement Analysi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코로나19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
학력저하
양극화현상
Language
Korean
Abstract
In 2020, as the number of school days decreased due to COVID-19 and the number of non-face-to-face classes conducted online increased, voices of concern about the decline in students' academic background began to emerge from all over the place. As can be seen from the national-level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analysis,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overall decreased, and the number of students with less than basic academic background (1 level) increased.In this regard, many articles and studies have been published that non-face-to-face classes caused by COVID-19 are the main reasons for lower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lowering their academic background.However, if you look closely at the national-level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analysis, you can see that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has generally been on a downward curve since 2017, and the decline has already been in progress since before COVID-19. In addition, in the COVID-19 Remote Class Environment Student Survey, which was conducted together with the 2020 National-Level Academic Achievement Survey, students generally perceived remote classes positively, and their satisfaction was high in the 70-80% range.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 mock test grades for more accurate confirmation showed that the students' grades did not draw a normal distribution curve, but a high U-shaped distribution on the right side, where the number of lower classes surged. In other words, the number of mid-range groups was decreasing, and serious polarization was occurring. The reason for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middle-ranking students and the increase in the lower ranks was not simply due to the lack of non-face-to-face teaching methods and quality, but environmental impacts such as caring and management at home and changes in investment in private education. In particular, the use of online devices increased as the lower levels went through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and the time to watch online content, games, and videos unrelated to learning increased, and this cause affected academic achievement. Since online classes are one of the educational methods that should be conducted more actively in the future, the school field should also educate students on the moderation of online devices and how to use them correctly.
2020년 코로나19로 인해서 등교 일수가 줄어들고 온라인으로 진행되는 비대면 수업이 늘어나면서 학생들의 학력 저하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곳곳에서 나오기 시작했다. 국 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분석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는 전반적으로 낮 아졌으며 기초학력미달(1수준) 학생의 수가 증가하였다. 이에 대해서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업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낮추고 학력 저하 를 불러온 주요 원인이라는 기사와 연구가 많이 나오기도 하였다. 하지만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분석을 잘 살펴보면 2017년부터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는 대체로 우하향 곡선을 그리면서 해마다 학력 저하가 이미 나타나고 있었으며 학력 저 하는 코로나 전부터 진행이 되고 있었던 사실을 알 수가 있다. 또한 2020년 국가수준 학 업성취도 조사에서 함께 진행된‘코로나19 원격수업 환경 학생 설문조사’에서 학생들은 원격수업에 대해 전반적으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만족도 또한 70~80% 대로 높 은 편이었다. 좀 더 정확한 확인을 위해 고등학생들의 모의고사 성적을 분석해본 결과 학생들의 성 적은 정규분포 곡선을 그리는 것이 아니라 하위권의 수가 급증하는 오른쪽이 높은 U자형 분포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중위권의 수가 줄어들고 심각한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었던 것이다. 이렇듯 중위권 학생의 수가 줄고 하위권이 늘어난 원인이 단순 히 비대면 수업의 방식이나 질적인 부족함 때문이 아니라, 가정에서의 돌봄과 관리 등 환경적인 영향과 사교육에 대한 투자의 변화가 원인 중 하나였으며, 특히 하위권으로 갈 수록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하면서 온라인 기기 사용 시간이 증가하게 되었고, 학습과 무관한 온라인 콘텐츠와 게임, 동영상 시청 시간이 늘어났으며 이러한 원인이 학업성취 도에 영향을 끼쳤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온라인 수업은 앞으로 더 활발히 진행되어야 할 교육 방법 중 하나이기에, 학교 현장에서는 학생들에게 온라인 기기의 절제와 바른 사용 법에 대한 교육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