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중국, 일본의 수학, 과학 중심 영재학교 학생들의 학습경험 및 발달자산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the Learning Experience and Developmental Assets of Students of Mathematics and Science-Centered Gifted Schools in Korea, China, and Japan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영재
사회·정서적 특성
미성취
발달자산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learning experiences and developmental assets of gifted students enrolled in mathematics and science-oriented gifted schools in Korea, China, and Japan with relatively similar cultural contexts,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supporting their healthy growth. To this end, the following research contents were selected and conducted.First, the overall learning experiences experienced by students in mathematics and science gifted schools in Korea, China, and Japan were investigated.Second, the level of developmental assets by gifted school was investigated, compared, and analyzed.in order to compare the developmental assets of students attending gifted schools, gifted educational institutions in China and Japan, which are adjacent to Korea and culturally similar, were selected. K School, a mathematics and science gifted school in Korea, B School, which was selected as China's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Innovation School', and T School, which has been in education for many years, were selected as SSH to Japan, and finally, 78 K School, 76 B School, and 64 T School were selected as subjects for the study. To understand their learning experiences, a questionnaire from the Korean Education Termination Study was used. In addition, the developmental assets of gifted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were investigated by category and context using the Developmental Assets Profile (DAP) developed by the Search Institute. The results of the main study analyzing the learning experiences and developmental assets of the study participants are as follows.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arning experiences of students attending mathematics and science-centered gifted schools, students from gifted schools in Korea accounted for the largest number of gifted education experiences before entering school. However, in the case of gifted school students in China, 35.5% of them answered that they had four years of experience in gifted education before entering school, which gave implications for the continuity of gifted education in the other two countries.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was high in all three countries. In the case of Korean gifted schools, the average reading time was shorter than that of the other two countries, and in all three countries, the learning time of mathematics and science was significantly longer than that of Korean (mother tongue) and English learning time due to students' learning propensity. Most of the students attending gifted schools go to college or plan for graduate master's or doctoral programs, and are mainly aiming to enter the natural sciences. In terms of entrance examination stress, Japanese gifted schools were the highest (26.6%), followed by China (14.5%), and Korea (14.1%), and the number of Japanese gifted schools was relative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two countries.Second, in terms of the status of developmental assets, most of the gifted students in Korea had abundant or appropriate developmental assets, and the score in the area of 'Empowerment' in external developmental assets and 'Social Competencies' in internal developmental assets was high.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gender ratio of gifted schools in China, and they had excellent developmental assets like Korea. However, unlike gifted students in Korea, external developmental assets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internal developmental assets. It was investigated that gifted schools in Japan showed a gender imbalance similar to that of Korea and had lower developmental assets than gifted students in the other two countries. Looking at the difference between gifted schools in terms of developmental assets, gifted schools in Korea scored the highest in total developmental assets, followed by gifted schools in China and Japan. In particular, in the distribution of developmental assets, the proportion of excellence of gifted school students in Korea was the highest (56.5%). In detail, among the external developmental assets, among the assets of 'Support' and 'Empowerment', the gifted schools in Korea had the highest 'Boundaries and Expectations' and the gifted schools in China in terms of 'Constructive Use of Time'. In terms of internal developmental assets, gifted schools in Korea were found to be the highest in all areas.The implications for this study are thatFirst, it is different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it applied the concept of developmental assets, which have generally been used as a factor for developing and adapting to crisis students, to gifted students and used them as tools to understand the soci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including unadulterated gifted students.Second, all of the schools studied had low scores in ‘the Community domain’ in terms of contextual development assets. I think this is a part that shows the current status of gifted education. There is a need for an educational field where gifted students can actively intervene and solve community problems, and to do so,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support system for gifted education through cooperation between the local community and educational subjects.Keywords: giftedness, soci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underachievement, developmental assets
본 연구의 목적은 비교적 문화적 맥락이 비슷한 한국, 중국, 일본의 수·과학 중심 영재학교에 재학 중인 영재학생들의 학습경험과 발달자산에 대해 진단해 보고 이들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한 시사점을 찾아본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내용을 선정하고 진행하였다.첫째, 한국, 중국, 일본의 수·과학 영재학교에서 학생들이 경험하는 전반적인 학습경험을 조사하였다.둘째, 영재학교 별 발달자산 수준을 조사하고 이를 비교, 분석해 보았다. 먼저 영재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발달자산을 비교하기 위해 우리나라와 인접하면서도 문화적으로 비슷한 중국, 일본의 영재교육기관을 선정하였다. 한국의 수·과학 영재학교인 K교, 중국의 ‘과학기술 교육혁신학교’로 선정된 B교, 일본의 SSH로 선정되여 수년간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T교를 선정하였으며, 최종적으로 K교 78명, B교 76명, T교 64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의 학습경험을 파악하기 위하여 한국교육종단연구의 설문지를 활용하였다. 또한 Search Institute에서 개발한 Developmental Assets Profile(DAP)을 활용하여 연구에 참여한 영재학생들의 발달자산을 범주별, 맥락별로 조사였다. 연구참여자들의 학습경험 및 발달자산을 분석한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수·과학 중심 영재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학습경험을 알아본 결과, 진학 전 영재교육 경험에 있어 한국의 영재학교 학생들이 가장 많았다. 다만 중국의 영재학교 학생들이 경우 진학 전 영재교육 경험 기간을 4년으로 응답한 비중이 35.5%로 매우 높아 다른 두 나라의 영재교육 연속성에 대한 시사점을 주었다. 학교생활에 대한 만족도는 세 나라 모두 높은 편이었다. 한국 영재학교의 경우 평균 독서 시간이 다른 두 나라에 비해 짧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 나라 영재학교 모두 학생들의 학습 성향 상 국어(모국어), 영어 학습시간보다 수학, 과학의 학습 시간이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 대부분은 대학에 진학하거나 대학원 석사, 박사과정을 계획하고 있으며, 주로 자연계열 진학을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시 스트레스 수준의 경우 일본 영재학교가 가장 높았으며(26.6%), 중국(14.5%), 한국(14.1%) 순으로 나타나 다른 두 나라의 입시 스트레스보다 일본 영재학교의 수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발달자산 현황에 있어 한국의 영재학생들은 대부분 풍부하거나 적절한 발달자산을 가지고 있었으며, 외적 발달자산에서는 ‘역량 함양’, 내적 발달자산에서는 ‘사회적 역량’ 영역 점수가 높았다. 중국의 영재학교는 성비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한국과 마찬가지로 우수한 발달자산을 소유하고 있었다. 다만, 한국의 영재학생들과 다르게 외적 발달자산이 내적 발달자산보다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본의 영재학교는 한국과 비슷하게 성비 불균형을 보이고 있으며, 다른 두 나라의 영재학생들보다 낮은 발달자산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발달자산에 대한 영재학교 간 차이를 살펴보면, 한국의 영재학교가 총 발달자산에 있어 가장 높은 점수였으며, 중국, 일본의 영재학교 순이었다. 특히 발달자산의 분포에 있어 한국의 영재학교 학생들의 우수함 비중이 제일 높았다(56.5%). 세부적으로 외적 발달자산 중 ‘지지’와 ‘역량 함양’ 자산에서는 한국의 영재학교가 ‘규범과 기대’, ‘건설적인 시간 사용’ 자산에 있어서는 중국의 영재학교가 가장 높았다. 내적 발달자산에 있어서는 한국의 영재학교가 모든 영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본 연구에 대한 시사점으로는첫째, 일반적으로 위기 학생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회복탄력성을 기르고 적응하기 위한 요인으로 주로 활용되어 왔던 발달자산의 개념을 영재학생들에게 적용했으며, 미성취 영재를 포함한 영재들의 사회, 정서적 특성을 이해하는 도구로 활용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둘째, 연구 대상 학교 모두 맥락적 발달자산에 있어서 지역사회 영역의 점수가 공통적으로 낮게 나왔다. 이는 영재교육의 현주소를 잘 보여주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영재학생들이 지역사회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해결할 수 있는 교육의 장이 필요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와 교육 주체의 협력을 통해 영재교육 지원체계를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주제어 : 영재, 사회·정서적 특성, 미성취, 발달자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