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전통 춤의 미학적 표현에 관한 연구 : - <웅사소년(雄獅少年)>과 <신신방: 양전(新神榜:楊戩)>을 중심으로 - / Aesthetic Representation of Traditional Dance in Chinese Animation - Focusing on “I Am What I Am” and “New Gods: Yang Jian” -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중국 전통 미학의 악무정신(樂舞精神)은 전통 춤과 같은 예술 형식에 서 구체적으로 형상화되었을 뿐 아니라, 오늘날까지도 영화, 드라마, 애니 메이션 등 영상문화 영역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모를 거듭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악무정신에 입각한 중국 전통 춤의 내재적 원리 및 구조적 특 징이 중국 애니메이션 창작에 미치는 미학적 의미를 밝히고 그 시각적 형 상화가 심오한 예술 표현의 동인이 될 수 있다는 데 주목한다. 이를 구체 적인 애니메이션 텍스트를 통해 분석함으로써 그 가치를 검증하는 데 목 적을 둔다. 애니메이션 (2021)과 (2022)은 중국 전통 춤 요소를 적극적으로 차용해 그 미학적 표현에서 성공적인 형상화를 이룬 대표 사례로 꼽힌다. 중국 전통 춤의 내재적 원리 및 구조적 특징은 애니메이션 표현에 있어서 정신 특성, 생명 특성, 예술 특성의 내적 미학 의미를 부여한다. 연구자는 원융(圓融)의 의미, 유전(流 轉)의 과정, 비무(飛舞)의 형태를 통해 애니메이션에서 표현된 전통 춤의 형상화를 분석하였다. 베이징징차이(北京精彩)의 은 리얼리즘 장르의 애니메이션 으로서 중국 전통 민간예술 문화 요소인 사자춤을 영화 서사의 구성 요소 로 활용하였다. 춤과 무술 요소를 직접적으로 도입한 이 애니메이션은 사 자 탈과 사람의 움직임이 어우러지는 춤의 미학적 표현을 통해 인사합일 (人獅合一)의 이미지와 분위기를 명료하게 구성하였다. 또한 수묵화로 구 현된 사자의 역동적인 움직임은 기승전결의 서사와 결합하여 다양한 동양 적 미의식을 조명하였다. 사자춤의 동작과 사자춤 경연 장면의 화면 구도 는 중국인들의 마음속에 깃든 ‘효(孝)’와 ‘의(義)’, ‘우주관(宇宙觀)’ 등 철학 적 의식을 민족적인 표상으로 재현하였다. 주이광 애니메이션(追光動畫)의 은 고유의 독특한 스타 일을 이어가면서 중국 고전문학 『봉신연의(封神演義)』의 서사와 인물 이 미지를 창작의 원천으로 삼았다. 은 작품 전반에 걸쳐 춤의 미학 원리와 특징을 애니메이션이라는 장르 특성에 맞게 구현한다. 이미지, 분위기, 서사, 동작, 화면 등 춤의 미적 표현을 간접적으로 형상화한다. 그 리고 현대적인 분위기의 다양한 문화 기호를 활용하여 전통과 현대, 동양 과 서양의 융합이 이루어진 시각적 스펙터클을 창조했다. 또한 태극과 원 융의 이미지와 우주관을 바탕으로 춤의 특성과 애니메이션 예술 표현을 결합하여 중국 전통문화 정신을 현대적 영상으로 재구성하였다. 본 논문은 중국 장편 애니메이션에서 전통 춤의 미학 원리 및 특징이 표현되는 양상을 파악함으로써, 중국 전통 춤의 미학적 특성인 원융, 유전, 비무 등이 애니메이션으로 어떻게 표현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애니 메이션의 정신과 생명, 그리고 예술의 표현 특징을 밝히고 애니메이션의 정신 특성, 생명 특성, 예술 특성의 표현 방식을 제시하고 애니메이션 창작 을 위한 새로운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중국 전통 춤의 미학적 표현의 가치와 그 심층 의미를 탐색하는 이러한 연구는 중국 애니메이션의 예술 창작 표준을 새롭게 제시한다는 학술적 의미가 있다. 주요어: 전통 춤의 미학적 표현, 원융(圓融), 유전(流轉), 비무(飛舞),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