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수학영재와 일반학생 어머니의 교육지원 활동 및 자녀와의 상호작용 비교분석 /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nd Interactions with Children between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Ordinary Student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Author
Source
Subject
"초등수학영재
교육지원활동
어머니-자녀 상호작용"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erences in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t home and school and interaction with children for elementary school gifted mothers and ordinary student mothers, and to compare and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direction for fostering giftedness for elementary school gifted students,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giftedness, and provide basic data by checking their children's giftedness and mother's influence, focusing on the role of mothers. Existing studies on parental variables that affect children's giftedness have mainly been conducted on parental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al behavior types or support patterns according to parents' social and economic status. Many prior studies have been conducted based on the interest of parents in participation, but the need for this study emerges in that there is no study on mothers of gifted students.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 between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nd children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gifted mothers and ordinary student mothers, analyzes the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nd interactions, and seeks a direction for fostering gifted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earch problems were set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of mothers of gifted elementary mathematics and mothers of ordinary students?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in the interaction between the mother of elementary mathematics gifted and the child of the mother of an ordinary student? Third,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of mothers of gifted elementary mathematics and mothers of ordinary student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lementary, fifth, and sixth graders in math gifted classes at the Seoul Institute of Gifted Education, mothers of fourth, fifth, and sixth graders who received gifted education, and mothers of fourth, fifth, and sixth graders who did not receive gifted education in Seoul. The collected data in this data is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 5-point Likert scale, and the higher the score, the more positive it is.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computerized using the SPSS Statistics 17.0 program.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test tool, the Cronbach's a coefficient, which is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of the questionnaire between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nd interaction with children, was calculated. A t-tes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mothers'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nd interactions with children betwee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as calculated and used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nd interactions with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Regarding the first research problem,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meaningless in the survey of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between elementary school math gifted mothers and ordinary student mothers, but among the sub-factors, the average of learning atmosphere creation and motivation was high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earning guidance, life time control, cultural experience, official school participation, and informal school particip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of mothers of elementary mathematics gifted and ordinary student mothers, elementary mathematics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seem to use more positive effects and motivation than ordinary students. In relation to the second research problem, elementary math gifted mothers had a high average in the sub-areas of respect for their children's opinions, independent behavioral encouragement, affection expression, rational explanation, and consistency,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Elementary mathematics gifted students have a positive perception in all sub-factors than ordinary students.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elementary mathematics gifted students' interactions with their parents have an effect on forming positive achievement motivation than ordinary students, and are higher than ordinary students. In relation to the third research problem, it was found that the sub-factors of the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gifted and ordinary students and the interaction with children were correlated in all areas. From these results, it is expected that interaction with children will also be strengthened when mothers'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are strengthened..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conclusions drawn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ducational support activities between mothers of gifted elementary mathematics and mothers of ordinary students, suggesting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have an appropriate educational support attitude according to their children's characteristics. Interaction with children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gifted mothers were higher than ordinary student mothers, and mothers were influencing their interactions with gifted children. Mothers of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gifted should make efforts to maintain interaction and balance with their children when providing educational support for their children. Therefore, as an implication of gifted education, it was found that elementary math gifted children's interaction with their mothers affects their giftedness among various variables, so mothers should try to maintain interaction and balance when providing educational support for their children. Furtherm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be used as data for parent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Since mothers are closely related to their children's educational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al information to understand their children's characteristics in order to improve their giftedness.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system to help mothers grow and develop their children properly, and to pay attention to the mother's active role in the children of gifted students and the importance of interaction with their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수학영재 어머니와 일반 학생 어머니를 대상으로 가정과 학교에서의 교육지원 활동 및 자녀와의 상호작용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수학영재 어머니와 일반 학생 어머니의 교육지원 활동 및 자녀와의 상호작용에 대한 상관관계 비교분석을 하고자 한다. 자녀의 영재성에 영향을 주는 변인 중 부모에 관한 기존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학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지원 양상과 학부모의 행동 유형이나 양육 태도 등에 관한 연구로 이루어져 왔다. 학부모의 참여에 관한 관심을 바탕으로 많은 선행 연구가 진행됐으나 실제로 영재 학생 어머니를 변인으로 조사한 한 연구가 없다는 점에 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한계를 보완하여 초등 수학영재와 일반 학생 어머니의 교육지원 활동과 자녀와의 상호작용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교육지원 활동과 상호작용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어머니의 역할을 중점으로 자녀의 영재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어머니의 영향을 확인해 보았다. 이를 기반으로 영재 학생을 위한 영재성 함양을 위한 방향을 모색하고 영재성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 어머니의 교육지원 활동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 어머니의 자녀와의 상호작용에는 어떤 차이가 있는가? 셋째, 초등수학영재와 일반학생 어머니의 교육지원 활동과 자녀와의 상호작용에는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하는 대학 부설 영재교육원 수학 영재학급 초 4, 5, 6학년 학생과 서울시 초등학교 영재학급에 선발되어 영재교육을 받는 초 4, 5, 6학년 학생의 어머니와 서울시 소재 영재교육을 받고 있지 않은 일반학급 초 4, 5, 6학년 어머니를 대상으로 각 30명씩 자기 보고식 설문 조사를 하였다. 본 자료의 수집된 자료는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긍정적인 것을 의미한다. 수집한 자료의 통계분석은 SPSS Statistics 17.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전산 처리하였다. 검사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교육지원 활동과 자녀와의 상호작용 설문지의 문항 신뢰도 확인을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고 어머니의 교육지원 활동 및 자녀와의 상호작용의 초등수학영재와 일반 학생 사이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다. 교육지원 활동 및 자녀와의 상호작용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여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수학영재와 일반 학생 어머니의 교육지원 활동의 조사에서 통계적인 차이는 무의미했으나 하위요인 중 학습 분위기 조성과 동기유발의 평균은 영재 학생 어머니가 더 높은 것으로 평가되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학습지도, 생활시간 통제, 문화적 경험, 공식학교참여, 비공식 학교참여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초등 수학영재 어머니와 일반 학생 어머니의 교육지원 활동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초등수학 영재는 일반 학생보다 주변 환경 및 자원을 활용하는 학습 분위기 조성에 더 긍정적인 효과와 동기유발을 탁월하게 활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초등 수학영재와 일반 학생 어머니의 자녀와의 상호작용 조사에서 초등수학영재 어머니가 자녀 의견존중, 독립적 행동 격려, 애정표현, 합리적 설명, 일관성의 하위 영역에서 높은 평균을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수학영재 어머니는 일반 학생 어머니보다 모든 하위요인에서 긍정적인 인식을 지녔다. 즉, 초등수학영재가 일반 학생보다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이 긍정적인 성취동기 형성에 효과를 작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일반 학생보다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초등수학 영재학생과 일반 학생 어머니의 교육지원 활동 및 자녀와의 상호작용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을 때 초등수학 영재와 일반 학생의 교육지원 활동 하위요인과 자녀와의 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은 모든 영역에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어머니의 교육지원 활동을 강화했을 때 자녀와의 상호작용도 강화될 것으로 여겨진다.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초등수학영재 어머니와 일반 학생 어머니의 교육지원 활동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자녀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교육지원 태도를 갖추도록 노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자녀와의 상호작용은 초등수학영재 어머니가 일반 학생 어머니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영재 자녀와의 상호작용에 어머니가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재교육의 시사점으로 초등수학영재는 여러 가지 변인 중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이 일반 학생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자녀의 영재성함양에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어머니는 자녀의 영재성 계발을 위해 교육지원을 할 때 자녀와의 상호작용과 균형감 있게 유지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더 나아가 초등 수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학부모 교육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어머니는 자녀의 교육환경에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자녀의 영재성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자녀의 특성을 이해하는 교육 정보제공이 필요하다. 어머니들에게 자녀들이 바르게 성장하고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체제 마련이 필요하며, 영재 학생 자녀에 대한 어머니의 적극적인 역할과 자녀와의 상호작용의 중요성에 관한 관심을 기울일 것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