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해자-피해자 공격의도가 행위 정당성 판단에 미치는 영향 / The interactive effects of perpetrator's and victim's harm intention on justifiability judgment of victim's behavior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정당방위
가해자
피해자
공격의도
행위 정당성
Language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정당방위 맥락에서 피해자의 행위정당성을 판단하는 심리적 기제에 대해 연구하고자 수행되었다. 피해자의 행위 정당성 판단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피해자 공격의도와 가해자 공격의도로 설정하고, 만 19세 이상의 성인 16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참가자들은 2(가해자의 공격 의도: 유/무) × 2(피해자 공격 의도: 유/무)로 조작된 4가지 중 1개의 시나리오에 할당되었다. 이후 개인이 인식한 피/가해자 공격 의도 조작점검 2문항을 거친 후, 피해자의 행위 정당성에 대한 측정이 이루어졌다. 추가로 실제 정당방위 불인정 판결문 3가지를 제시하여, 각 판결에 대한 만족도, 공정성,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분석 결과, 조작 효과가 원활히 나타나지 않아, 피/가해자 공격 의도 개인차를 이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피해자 공격 의도와 행위 정당성 관계를 가해자 공격의도가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해자 공격 의도가 높을 때, 피해자 공격 의도의 수준에 따른 행위 정당성 판단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가해자 공격 의도가 낮을 때, 피해자 공격 의도 수준에 따른 행위 정당성 판단의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정당방위 판결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나타나 법과의 괴리감이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일반인들이 정당방위를 판단하는 심리적 기제와 법감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이는 배심원들의 판단에도 적용시킬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한계 및 후속 연구를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by which laypeople judge the justifiability of a victim's actions in various situational contexts of self-defense. The factors that may influence the victim's judgment of justifiability were divided into victim’s intent to harm and perpetrator’s intent to harm, and 169 adults aged 19 and older were studied.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one of four scenarios manipulated as 2 (Perpetrator’s Intent to Harm: yes/no) × 2 (Victim’s Intent to Harm: yes/no) and completed a two-item manipulation check of perceived victim/perpetrator’s intent to harm, followed by a measure of justifiability of victim’s behavior. They were then presented with three self-defense verdicts that were actually invalid in reality and asked to rate their satisfaction, fairness, and trust in each verdict. Due to the lack of manipulation effects, we conducted regression analyses us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victim and perpetrator’s intent to harm and found that perpetrator’s intent to harm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ctim’s intent to harm and justifiability of victim’s behavior. When the perpetrator’s intent to harm was high, there was not a big difference in justifiability of behavior by the level of victim’s intent to harm. On the other hand, When the perpetrator's intent to harm was low,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justifiability of behavior according to the level of victim’s intent to harm. In addition, the negative perception of self-defense was found, indicating a large gap with the current law.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identify the psychological mechanisms by which the general public judges self-defense and the general public's feelings about the verdict of self-defense, which can be applied to jurors' judgments. Finally, we discuss the significanc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