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무현 다큐멘터리 영화’의 정치적 지향성 연구 / A Study on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Roh Moo-Hyun Documentary Films'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This study began with an interest in a trend that has been steadily recurring in the Korean documentary film industry since a documentary film about former President Roh Moo-hyun first appeared in 2016. The so-called 'Roh Moo-hyun documentary' met audiences at a time when political leadership was absent, and in particular, (Jeon In-hwan, 2016) and (Lee Chang-jae, 2017) are among the top 10 domestic documentary films of all time. It was such a big hit it has been. The box office success of 'Roh Moo-hyun Documentary' shows that 'political citizens' who longed for the restoration of democracy actively expressed their political intentions by participating in a specific film production process and directly consuming it. It has a tremendous impact on the history of Korean independent documentary films. This is because the effort shifted the main character of a series from ordinary people to politicians, albeit temporary. In addition, ‘Roh Moo-hyun Documentary’ accepts and shows the spirit of Korean documentary films. At the heart of it lies the zeitgeist of political activism against unfair political prowess.However, it is clear that the film was used as a political or commercial means by urging the audience to waken to a specific political ideology or explicitly revealing the intention to commercialize a specific person. In particular, 'Roh Moo-hyun Documentary' is a legacy of Cinema Verite, which actively accepts and acknowledges th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the director and the filming subject, except for one episode of the ecological documentary (Jin Jae-woon, 2019). The film develops through interviews with people, but the works ranging from , (Baek Jae-ho, 2019), and (Kim Jae-hee, 2019) consist of interviews only with so-called 'pro-Roh' characters. Rather than taking a three-dimensional view of former President Roh Moo-hyun or trying to approach the substantial truth of the phenomena or events related to him, he is confined to emphasizing the political assets of former President Roh, such as his righteousness, leading to a seemingly positive outcome. 'Roh Moo-hyun Documentary' merely focuses on eliciting an emotional response from the audience through reminiscences and condolences on the protagonist by reminding former President Roh's neighbors of him, repeating the method of calling for unity from those who support a specific politician. In other words, the political nostalgia of the ‘‘Roh Moo-hyun Documentary’ aimed at evoking the audience empathy to have or share a personal experience or valuable past about former President Roh Induced catharsis from the conflict aspects of the Roh’s life.As a result, directing in this way could have a certain appeal to the audience until there were no documentary films that cinematically unraveled the narrative of former President Roh. It rather aroused a sense of déjà vu for the audience after experiencing former President Roh's narrative once in a cinematic way, and it also caused some audiences who were suspicious of his political intentions to have antipathy. Therefore, the ‘Roh Moo-hyun Documentary’ after achieved a certain box office performance, but hardly drew the attention of the audience as much as the early two works of ‘Roh Moo-hyun Documentary’. Gone are days when the production trend of ‘Roh Moo-hyun Documentary’ was all the rage. The same held true for the films featuring the biography of two politicians: Roh Hoe-chan, the former Justice Party leader and Kim Dae-jung, the eight president of South Korea from 1998 to 2003. The films turned out to fail to meet audience expectations at all. For citizens no longer paid attention to politics after the Candlelight Vigils ended up with the success of ouster of the president. Hence, documentary films about politicians recall the struggles and lives of politicians, but prove the fact that audiences' support is withdrawn when they deviate from the documentary spirit.
이 연구는 노무현 전 대통령을 다룬 다큐멘터리 영화가 2016년 첫 등장한 이후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계에서 꾸준히 반복 재생산되는 경향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되었다.이른바 ‘노무현 다큐’는 정치적 리더십이 부재하던 시기에 관객들을 만났고, 특히 (전인환, 2016)와 (이창재, 2017)는 국내 다큐멘터리 영화 역대 흥행 순위 상위 10편에 포함될 정도로 크게 흥행했다. ‘노무현 다큐’의 흥행은 민주주의 회복을 갈망하던 ‘정치적 시민’들이 특정 영화 제작 과정에 참여하고 직접 소비함으로써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정치적 의사를 적극적으로 표명했음을 보여주는 한편, 이전까지 종교인 또는 평범한 노인을 중심으로 이어지던 국내 인물 다큐멘터리 영화의 주인공을 정치인으로 일시적으로 바꾸어놓았다는 점 등에서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 영화사에 미친 영향이 선명하다. 또 ‘노무현 다큐’는 부당한 정치 권력에 맞서 대항하는 정치적 행동주의라는 역사적 흐름을 유지하는 한국 다큐멘터리 영화의 정신을 적극 수용한다.하지만 관객들에게 특정한 정치 이념으로의 각성을 촉구하거나, 특정 인물을 상품화하는 의도를 노골적으로 드러내어 영화를 정치적 또는 상업적 수단으로 전락시키는 한계도 선명하다. 특히 ‘노무현 다큐’는 생태 다큐멘터리 영화인 (진재운, 2019) 한 편을 제외하면 모두 연출자와 촬영 대상간 소통과 상호작용을 적극 수용하고 인정하는 시네마 베리떼(Cinema Verite)의 유산이다. 하지만 인물들의 인터뷰를 통해 영화를 전개해나가면서도, 와 (백재호, 2019) 그리고 (김재희, 2019)에 이르는 작품들이 이른바 ‘친노’ 인물들로만 인터뷰를 구성하며 노무현 전 대통령을 입체적으로 조망하거나 그와 관련한 현상 또는 사건의 실체적 진실에 접근하려 하기보다는, 노 전 대통령이 가지고 있는 정치적 자산 중 의로움 등 대체로 긍정적으로 귀결될 만한 내용을 강조하는 데 그치고 있다. ‘노무현 다큐’는 노 전 대통령의 주변인들이 그를 떠올리게 함으로써 단지 주인공에 대한 회상과 애도를 통해 관객들로부터 정서적 반응을 이끌어내는 데에 집중해 특정 정치인을 지지하는 세력으로부터 결집을 호소하는 방식을 반복하며 재생산되었다. 이처럼 ‘노무현 다큐’의 정치적 노스탤지어는 노 전 대통령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 또는 가치 있는 과거를 가지거나 공유할 수 있는 관객들의 동정심 또는 공감을 자극했고, 노 전 대통령이 생전에 해결해야 했던 갈등 양상으로부터 카타르시스를 유도했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방식의 연출은 노 전 대통령에 대한 서사를 영화적으로 풀어낸 다큐멘터리 영화가 없었던 때까지만 해도 관객들에게 일정한 소구력을 지닐 수 있었지만, 와 를 통해 노 전 대통령의 서사를 한 차례 영화적으로 경험하고 난 이후의 관객들에게는 오히려 기시감을 불러 일으켰고, 정치적 의도를 의심한 일부 관객들이 반감을 유밝하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따라서 이후의 ‘노무현 다큐’는 일정한 흥행 성적을 거두기는 하였으나 ‘노무현 다큐’ 초기 두 작품만큼 관객들의 관심을 얻지는 못했다. ‘노무현 다큐’의 제작 유행이 지나간 이후 노회찬 전 정의당 대표, 김대중 전 대통령 일대기를 다룬 정치인 인물 다큐멘터리 영화 역시 영화관에서 잇따라 관객들을 만났지만 촛불 혁명 이후 정치 권력 교체에 성공한 시민들이 정치에서 시선을 거둠에 따라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정치인 다큐는 정치인의 역정과 삶을 소환하였지만, 다큐멘터리 정신에서 이탈할 때 관객의 지지가 철회된다는 사실을 입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