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동북아 부가가치 석유물류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Value Added Petroleum Logistics in Northeast Asia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Language
Korean
Abstract
Northeast Asia has achieved dynamic economic development and industrial growth centered on Korea, China, and Japan, and has become a major import and export region for petroleum products worldwide. Changes in the supply and demand environment of major countries in the region and increase in arbitrage trading have resulted in the need to enhance customer value by customizing petroleum products in response to various demands. As a result, the demand for value-added petroleum logistics in Northeast Asia is increasing.In addition to literature research, this study collected data on value-added petroleum logistics in Korea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trading companies. Based on this,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background and business model of value-added petroleum logistic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vitalization of value-added petroleum logistics. The results of the stud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interviews and case studies are summarized as follows.First, oil hub, unlike general logistics hub, must be premised on liquidity through commercial transactions of petroleum products. To this end, value-added petroleum logistics such as blending, breaking, and bulking using the oil storage tank terminal of the oil hub should be smoothly possible. This not only increases commercial transactions, but also increases the demand for oil storage tank terminals from trading companies.Second, today's logistics warehouses have expanded their roles from storage and delivery to value-added logistics services such as processing and manufacturing. Oil storage tank terminals also need to provide flexible and diverse value-added petroleum logistics services in response to the diverse demands of trading companies. In particular, Korea needs to expand investment in high value-added activities such as blending.Third, due to changes in supply and demand by country in the region, there is a position to import petroleum products, such as Japan and Oceania, and a position to export surplus products, such as Korea. In addition, the increase in arbitrage trading in the United States, the largest Mogas market, brings various demands, increasing the need for value-added petroleum logistics in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mote smooth value-added petroleum logistics activities.Fourth, Japan lacks logistics facilities for supply and demand adjustment for seasonal demand and supply-demand imbalance. Coastal transportation is also costly due to a shortage of domestic vessels and sailors. Due to this background, demand for subdivided value-added petroleum logistics will continue to arise for Japanese trading companies to adjust supply and demand for oil storage tank terminals in Korea. Domestic prices in Japan, which are not linked to international prices, generate demand for stockpiling of oil storage tank terminals in Korea by trading companies for the purpose of arbitrage trading.Fifth, in arbitrage trading in Asia, including the world's largest Mogas market, the United States and South America, Korea is competitive in geographical requirements, commercial storage capacity, development of related industries, good port logistics service, and freight rate competitiveness. Therefore, it can be expected that demand for blending value-added petroleum logistics targeting these markets will continue to arise.Sixth, in spite of these conditions, complicated domestic regulations and procedures prevent creating conditions for value-added petroleum logistics to be fully performed. As pointed out in this study, problems such as blending of export-declared domestic goods, shortage, pipeline transfer, carbotage system, and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must be deregulated through institutional improvement as soon as possible.In summary, as Northeast Asia grows as a major import and export region for petroleum products, the demand for value-added petroleum logistics continues to increase. Due to supply-demand imbalance, seasonal demand, different quality standards, and logistics conditions, blending, subdivision, and integration occur around petroleum logistics hubs in the region. Korea has good conditions as the best location in Northeast Asia, but institutional improvement and policy support through deregulation will be needed above all in order to revitalize Northeast Asia's oil hub.
동북아는 한·중·일을 중심으로 급격한 경제발전과 산업성장을 이루었고,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주요한 석유제품의 수출입 지역이 되었다. 역내 주요 국가의 수급 환경의 변화와 역외로의 차익거래 증가는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여 석유제품을 맞춤화함으로써 고객의 가치를 증진해야 하는 필요성을 가져왔다. 그 결과, 동북아에서의 부가가치 석유물류의 수요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더불어, 트레이딩 업체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조사 방법을 통해서 우리나라에서의 부가가치 석유물류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사례연구를 진행하여 부가가치 석유물류가 발생하는 배경과 비즈니스 모델을 분석함으로써 부가가치 석유물류의 활성화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했다. 문헌 연구와 인터뷰 및 사례연구를 통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석유물류 허브는 일반적인 물류허브와 달리 석유제품의 상업적 거래를 통한 유동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석유물류 허브의 유류저장탱크터미널을 활용한 블랜딩, 소분화, 집적화와 같은 부가가치 석유물류가 원활하게 가능해야 한다. 이를 통해 상업적 거래의 증가뿐만 아니라 트레이딩 업체의 유류저장탱크터미널에 대한 수요도 증가시킨다. 둘째, 오늘날 물류창고는 단순한 보관·배송이 아니라 가공·제조와 같은 부가가치 물류 서비스로 역할이 확대되었다. 유류저장탱크터미널도 트레이딩 업체의 다양한 수요에 대응하여 유연하고 다양한 부가가치 석유물류 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특히, 우리나라는 블랜딩과 같은 고부가가치 활동에 투자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역내 국가별 수급 변화로 인해 일본과 오세아니아와 같이 석유제품을 수입하는 포지션과 우리나라와 같이 잉여물량을 수출하는 포지션이 발생한다. 이에 더하여 최대의 가솔린 시장인 미국으로의 차익거래 증가는 다양한 수요를 불러와, 우리나라에서의 부가가치 석유물류의 필요성을 증가시키고 있다. 따라서 원활한 부가가치 석유물류 활동을 촉진해야만 한다. 넷째, 일본은 계절적 수요 및 수급 불균형을 위한 수급 조정을 위한 물류 시설이 부족하고 열악하다. 연안 운송도 내항선과 선원의 부족으로 인해서 비용이 과다하다. 이런 배경으로 인해 일본 트레이딩 업체의 우리나라 유류저장탱크터미널에 대한 수급 조정을 위한 소분화 부가가치 석유물류 수요는 지속해서 발생할 것이다. 국제가격과 연동되지 않은 일본 내수 가격은 차익거래를 목적으로 하는 트레이딩 업체의 우리나라 유류저장탱크터미널 비축 수요를 발생시킨다. 다섯째, 세계 최대의 가솔린 시장인 미국을 포함하여 남미까지, 아시아에서의 차익거래에서 우리나라는 지리적 요건, 상업 저장능력, 관련 산업의 발전, 양호한 항만물류서비스, 운임경쟁력 등에서 경쟁력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시장을 목표로 하는 블랜딩 부가가치 석유물류에 대한 수요는 지속해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여섯째, 이러한 여건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복잡한 규제와 절차는 부가가치 석유물류가 원활하게 수행될 여건을 조성하지 못하게 가로막고 있다. 본 연구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수출신고 된 내국물품의 블랜딩 문제, 감모량, 송유관 이송, 카보타지 제도, 전문인력의 부족 등의 문제는 이른 시일 안에 제도적 개선을 통한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정리하면, 동북아가 석유제품의 주요한 수출입 지역으로 성장하면서, 부가가치 석유물류의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수급 불균형, 계절적 수요, 다른 품질기준, 물류 여건 등으로 블랜딩, 소분화, 집적화가 역내 권역의 석유물류 허브를 중심으로 발생한다. 우리나라는 동북아의 최적지로 좋은 여건을 가지고 있으나, 동북아 석유물류 허브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규제 완화를 통한 제도적 개선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