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메타버스를 활용한 커뮤니티 중심 미술교육의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적 의의 / The Program Design and Educational Significance of Community-Based Art Education Using Metaverse
Document Type
Dissertation/ Thesis
Source
Subject
메타버스
커뮤니티 중심 미술교육
Language
Korean
Abstract
디지털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미래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에게는 새롭게 변화된 교육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미래 사회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초 역량을 함양해야하기 때문이다. 한편, 학생들은 경쟁을 우선시하는 교육에 익숙해져가고 있기에 소통과 협력, 공동체의 가치를 알려줄 수 있는 교육 또한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메타버스를 활용한 커뮤니티 중심 미술교육은 미래형 교수 학습 방법을 활용하면서, 동시에 학생들에게 공동체 역량과 의사소통 역량을 길러줄 수 있는 교육이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커뮤니티 중심 미술교육의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였을 때 지역 주민들과 학생들에게는 어떠한 교육적 의의가 나타나는지에 대해 탐구하였다.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문제는 총 세 가지로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버스를 활용한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 교육의 구체적인 교수 학습 방안은 무엇인가? 둘째, 메타버스를 활용한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 교육은 학부모와 지역 주민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셋째, 메타버스를 활용한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 교육이 학생들에게 영향을 주는 교육적 의의는 무엇인가?본 연구에서는 연구 문제를 탐구하기에 앞서 지평을 넓히고자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의 측면에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첫째,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교육에 대한 이론적 탐구를 실시하였다. 커뮤니티에 대한 해석을 바탕으로 커뮤니티 중심 미술교육의 개념과 특징, 범주를 이해하고 확장된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교육에 대해 설명하였다. 둘째, 메타버스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탐구하였다. 메타버스의 개념 및 유형을 바탕으로 미술교육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메타버스 플랫폼들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미술교육 분야에서 메타버스가 활용된 사례들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는, 우리동네키움센터에 대한 이해가 이루어졌다. 서울시에서 시행한 온마을돌봄 정책을 바탕으로, 우리동네키움센터의 설립과 역할, 운영원칙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의 구체적인 방법과 절차는 다음과 같다. 자기 반성적 실행 연구의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자의 반성적인 성찰에 따라 순환적인 구조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서 적용한 다음, 수업에 대한 결과 분석을 통해 연구의 문제를 탐구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우리동네키움센터 강동3호점의 학생들과 강동구의 일부 지역 주민들로 선정하였다. 연구 참여자인 14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 설문과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그 중에서 8명의 학생들을 본 연구의 핵심 연구 참여자로 설정하여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메타버스를 활용한 커뮤니티 중심 미술 교육 프로그램은 총 8차시의 과정으로 개발되었으며, 우리동네키움센터의 특별활동 프로그램으로 2022년 3월 10일부터 4월 7일까지 진행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커뮤니티 중심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갖는 교육적 의의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해낼 수 있었다. 첫째, 학부모와 지역 주민들의 참여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메타버스를 활용한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교육은 의사소통 및 공간의 확장을 가져다주었다. 오프라인 공간과 메타버스 공간에서는 학생, 학부모, 지역 주민들 간의 다양한 교류와 상호작용이 이루어졌다. 메타버스 공간이 제공하는 접근의 편리성은 다양한 지역 주민들의 참여를 이끌었고, 학부모를 비롯한 지역 주민들은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방명록, 제스처, 채팅, 코멘트 등의 기능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작품을 감상하고 상호작용하였다. 이는 의사소통의 측면에서의 확장이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공간의 연결에 따른 확장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강동구의 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참여를 계획하였지만, 일부 다른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도 참여를 하게 되었다. 전통적 개념의 커뮤니티에서는 지리적 영역이 크게 작용하였지만, 메타버스 공간에서는 커뮤니티의 구성 요소로서 물리적, 지리적 특성이 크게 작용하지 않고 더욱 개방된 공간을 구성하여 다양한 구성원들의 참여를 이끌어낸다는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메타버스를 활용한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 교육이 학생들에게 주체적이고 협력적인 태도를 함양하게 하였으며, 학생들이 가진 사고의 확장을 이루어내었다. 메타버스가 지닌 새로움은 학생들로 하여금 흥미를 유발하여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태도로 수업 활동에 참여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은 메타버스를 포함한 온·오프라인 공간에서 서로 협력하는 활동을 하였으며, 문제가 발생한 상황에서는 문제 해결을 위해 능동적인 태도로 임하였다. 학생들은 실제의 오프라인 공간뿐만 아니라 메타버스 공간에 대해 확장된 인식을 갖게 되었다. 학생들은 메타버스 공간에서 타인과의 소통, 협력, 상호작용의 경험을 하였고, 이로써 확장된 일상 공간의 한 부분으로 메타버스를 인식하게 되었다. 또한 자신의 주변 환경에 대해 재인식함으로써 일상의 특별함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버스를 활용하는 확장된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교육이 지역 주민들과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구하고자 하였고, 연구의 결과와 관련하여 긍정적인 의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 메타버스를 활용한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교육은 학생과 학부모, 그리고 지역 주민들에게 확장된 방식의 소통과 협력의 기회를 제공하였고, 공간과 환경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의 교육에서는 메타버스를 활용한 커뮤니티 중심 미술교육의 긍정적인 효과를 활용하여, 미래 사회를 살아갈 학생들을 위한 새로운 미술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