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률(張律)감독의 민족 주체 영화 스타일 연구 / A Study On The National Subject Film Style Of Director Zhang Lu
Document Type
Image
Author
Source
Subject
장률
장률 영화
민족 신분
다문화
Language
Korean
Abstract
감독의 창작 스타일은 개인의 성격과 연령대, 심지어 소속된 민족과도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1960년생인 장률 감독이 대표적인 인물이다.‘조선족’,‘한국예술영화창작자’,‘대학교수’(1980년대 연변대학 중국문학을 전공하고 2011년 한국 연세대학교 예술미디어학부 영화학과 교수로 재직)과 같은 신분들은 영화 연구자들에게 매우 매력적이게 느껴진다. 그의 작품은 칸, 베를린, 부산, 로카르노 등 국제영화제에서 여러 차례 수상하였고, 그는 독립영화계의 깊은 조예를 가진 감독이자 기대를 모으고 있는 아시아 영화계의 신예이기도 하다. 한국 영화를 제작한 조선족 감독으로서 그의 신분은 본질적으로 다국적, 다문화의 속성을 가지며, 작품에서 제시한 내용들이 다양하고 독특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내용을 출발하여 연구를 시작한다. 본 논문의 본문 부분은 모두 일곱 장으로 이루어지며, 제1장은 연구 목적과 필요성, 연구 방법과 범위, 그리고 장률 감독과 그의 작품에 관한 선행 연구를 소개한다. 제2장은 장률 감독과 그의 작품에 대한 개요이다. 먼저 가족 상황, 유년 시기, 창작 활동의 세 가지 측면에서 장률 감독의 성장 배경을 정리한 후 데뷔 작품, 초기 작품과 최근 작품의 세 가지 측면에서 작품 속의 이야기 줄거리와 관련 정보를 소개한다. 마지막으로 영화 내용의 중점에 따라 작품에 대한 분류한다. 제3장은 작품, 에서의 캐릭터 이미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며 중국에 있는 조선족, 중국과 몽골의 탈북자, 한국에 있는 외국인 등의 집단을 보여주는 영상을 분석한다. 제4장은 상기 작품에서 언급된‘민족 문화와 신분 정체성’,‘여성의 어려움과 남성의 권력’,‘역사적 기억과 개인과의 관계’등 주제를 바탕으로 분석하며, 위의 장에서 영상 속의‘민족’신분을 가진 집단을 상세하게 논의한다. 장률 감독은 영화 화면을 통해 주변화 된 조선족 일반 개인에 초점을 맞추며, 개인 생명의 의미를 적극적으로 모색한다. 감독 자신의 영화 창작과 개인 생활의 완전한 통합되면서‘민족’에 대한 주제 표현도 새로운 방향이 나타난다. 제5장에서는, , 의 등장인물과 공간을 분석하고 동북아 배경에서 감독의 다문화 표현을 분석한다. 주제는 지연 정치와 감정 관계가 큰 범주로 학대되며,‘다중 신분’,‘공동체 의식’및‘젠더 관계’에 대한 탐색으로 전환된다. 신분은 장률 감독에게 벗어날 수 없는 속박으로 지연 정치와 감정 관계에 은밀하게 나타난다. 제6장에서는 장률 감독 영화의 시성(詩性)의 형성을 논의하였으며, 씨네포엠과 중국 전통미학의 시성(詩性)을 이론적 기초로 하여 그 영화의 장르가‘시적 영화(詩电影)’로 확정되었다. 마지막 장에서 본 논문 연구의 의미와 가치, 한계와 시사점을 제시하고 장률 감독의 향후 중국에서의 발전에 대해 논의한다. 그의 영화는 실천적 주체, 창작 방식, 언어 구조 등 측면에서 뚜렷한 개성을 나타내며 중국 영화 연구와 영화 이론의 발전에 독특한 시각을 제공한다.
The director’s creative style is closely related to his personal character, the age of his life, and even his nationality. Director Zhang Lu, born in the 1960s, is such a representative figure. “Korean ethnic group member”, “Korean art film creator” and “university teacher” (he taught Chinese literature at Yanbian University in the 1980s and was employed as a professor in the film department of art communication at Yonsei University in Korea in 2011), the above identity tags are already charming for film researchers. His works have won many awards in the 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Cannes Film Festival, Venice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nd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BIFF). He is a director with profound skills in the independent filmdom and a promising new star in the Asian screenland. As a member of Korean ethnic group shooting Korean films, his identity has cross-border and cross-cultural attributes, which makes the content presented in his works diverse and unique. And this is the breakthrough point of this paper.The main body of the paper consists of seven chapters. The first chapter mainly introduces the research purpose and necessity, research methods and scope, and the previous research on director Zhang Lu and his works. The second chapter is an overview of Zhang Lu and his works. Firstly, it combs the growth background of Zhang Lu from three aspects: family situation, youth and creative life; Secondly, it introduces the story outline and relevant information in the works from three aspects: debut works, initial creation and recent creation. Finally, according to the different emphasis of the film content, the works are simply classified. The third chapter studies the characters in three works, Grain in Ear, Desert Dream and Dooman River and analyzes the images of Korean nationality in China, defectors in China and Mongolia, and foreigners in South Korea. The fourth chapter is based on the discussion of the themes involved in the above works, such as “national culture and identity”, “women’s Dilemma and men’s power”, “historical memory and individual”. The above chapters discuss in detail the groups with "national" identity in the image. Zhang Lu focuses the lens on the ordinary individuals of the marginalized Korean nation and actively explores the significance of individual life. With the complete integration of the director’s own film creation and personal life, the expression of the theme of “nation” extends a new direction. The fifth chapter analyzes the characters and space in the works Gyeongju, A Quiet Dream, Ode to the Goose and FUKUOKA, and discusses the director’s cross-cultural expression in the context of Northeast Asia. The theme extends to the exploration of “multiple identity”, “community consciousness” and “gender relations” in the context of geopolitical and emotional relations. The sixth chapter discusses the formation of the “poetic” style of Zhang Lu’s films, and determines that his films are the type of “poetic films” based on “Poems of Cinema” and “poetic nature of Chinese traditional aesthetics”. The last chapter puts forward the significance, value, limitations and enlightenment of this research, and discusses the future development of director Zhang Lu in China. The distinctive personality of his films in the aspects of practical subject, creative mode and discourse structure provides a unique persp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Chinese film research and film the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