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젠더 이미지 재구성에 대한 기호학적 해석 : 중국 현대 영화 속의 남성 이미지를 중심으로 / A Semiotic Explication for the Reconstruction of Male Gender Images in Modern Chinese Films and Movies
Document Type
Image
Author
Source
Subject
중국 현대 영화
젠더 커뮤니케이션
젠더 이미지
시선 이론
패미니즘 영화
영화 기호학
영화 비평
Language
Korean
Abstract
The past 20 years have witnessed a sharp increase in the consumption and economic strength of women in China. Correspondingly, in the consumer culture of China, the “gender power” of the female gaze has been gradually enhanced. Media content is the text made up of a variety of symbols reflecting social life. From the traditional point of view in Chinese society, the male gaz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reconstruction of our real life into advertisements, dramas, films, and other media content. It is the symbolic expression that men “have the right to watch”, which demonstrates that men have always enjoyed gender power above women.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male gender images in Chinese modern films and movies from a semiotic perspective. Along with the enhancement of female gender power in Chinese society, the male gender image is now reconstructed from the female perspective. Reconstructed male characters in films, aside from traditional stereotypes, appear to be diverse and heterogeneous. Therefore, systematic academic analyses of male characters in the feminist film help supplement, expand, and enrich the dimensions of research on the cultural connotation of Chinese films and TV and also promote research on the male image. Secondly, in-depth interpretation of male characters popular among female audiences contributes to the accurate understanding of audience demand and female psychology, especially to the understanding of the film-female-consumption relationship in the context of the age of consumption, thus enlightening the making of feminist film. In the end, “film is both a cultural text and a social practice; it creates the cultural environment in a positive response to the social status and needs, where many gender issues lie”. Male characters in feminist film show such new features that reflect not only the redefined male beauty and male identity but also (and more so) social and cultural change. The arrival of the era of consumption of male beauty is the result of female financial independence and greater emphasis on female aesthetic orientation. Male characters on-screen reflect female status. Therefore, through the semiotic research herein on male characters in Chinese feminism film, the social and cultural phenomena jointly created by mass media today are analyzed, on which basis the modern development of two gender groups in China is pondered for the reference of social practices.This research focuses on the female audience-facing film series Tiny Times (2013~2015) to study the superficial structure, narrative, gender cultural code, and gender ideology of the diverse male characters reconstructed therein from the semiotic perspective. The main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symbols are the superficial structure of the male image made up of in modern Chinese films?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narrative structure to shape the male image in modern Chinese films? [Research Question 3] what are the hidden gender and cultural codes behind the male characters in modern Chinese films? [Research Question 4] what is the corresponding myth/ ideology of the male symbols in modern Chinese films? To begin with, in the semiotic analysis of the superficial structure of male characters reconstructed in the films in question (appearance: hairstyle, costume, facial expression, etc./ character: behavior, eye contact, etc.), from the perspective of visual rhetoric, the “rhetorical triangle” is introduced to summarize the male visual symbols in the Tiny Times series. After stripping off the rhetoric of field-of-view and camera motion, color and light, and montage layer by layer, the extension, and intention of the character symbols are dissected based on Roland Barthes’ “double frames of signification”. In this way, we are able to look into the structure of signification by moving images and the generation of the “soft” image of male visual symbols. Secondly, in the semantic dimension, the significance of explicit images/ symbols in the narrative, their meaning through communication, and the targeted connotation are studied. Throughout the film series, based on such studies of specific behavioral patterns of the characters, we can easily find the motif meaning and ideological implication of the text: boys and girls in the film series, regardless of their gender and family background, are disciplined by traditional morals and the inherent ideology in the adult world, therefore feeling lonely, helpless and confused. The series is focused on the growth of young individuals and their youth memories in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 new era. There is no lack of “humble” love or friendship in the narrative to enrich the plot and describe their respective struggle out of the inherent ideology to realize the dream of their life. The in-depth narrative of the series focuses on their individualized rebellion against the inherent ideology, or mainstream culture, and the attempts to digest power and authority through the “revelry” exuded from the text. In addition, different from the binary logic in most gender relations represented in previous films and TV series, the Tiny Times series on the one hand contends with traditional gender logic with its particular male narrative symbols to reject the established gender framework and highlight the diversity and heterogeneity within gender relations; on the other hand, the series, on the whole, embodies the innovative strategy of subculture’s moderate irony to mainstream culture. Therefore, in terms of the function of male characters in films, the male image representing masculinity and rationality is declining; softened male narrative symbols that meet the demand of consumption for satisfaction are gaining greater popularity. Such narrative symbols are built on four dimensions: the emergence of diverse male qualities, the “unmarked beauty” of men, the plot of heroes being saved, and the gaze over the male body. Thirdly, number three on the research issue list is the gender and cultural codes of male images in contemporary Chinese films. As symbolic practices that leverage visualization to generate “persuasive discourse”, films produce rhetorical visual symbols to persuade and even control the audience’s values and practical behaviors, so that they can be persuaded into accepting the contents these films are trying to disseminate. As mentioned above, Tiny Times as a film series has refined the “image” of the male characters as “gloomy and gentle” through the diversified rhetoric of male visual symbols, while the primary function of this image, as the “ideal signifier”, is to forge an identity relatable to the perspectives of the audience and the creator (in terms of image utilized, lifestyle, spirituality, and consciousness), so that the audience (especially women) can obtain sensory and mental satisfaction, and that the soft male image in the film will be accepted, recognized and consumed by the audience. However, it is worth noting that the key to the “persuasiveness” of visual images that possess a “profound discourse of persuasive significance” in the film lies in the unspoken “appropriate premises” implied between the creator and the audience based on cultural habits. As the “yardstick frame” for creating meaning, it often regulates the internal structure and meaning of cultural texts from its deepest roots. This study found that in Tiny Times, the “persuasive premise”, which is based on the “reconstruction of norms reflecting gender temperament” of the soft male image, includes the following propositions: 1. men should be gentle, thin, inoffensive, need protection, and yearn for women’s protection; 2. men should be emotionally sensitive, empathetic, and good at expressing their emotions; 3. men should be androgynous, showing that femininity is embedded in their personalities and behaviors; 4. men should take the initiative to do the housework and bear family responsibilities to meet the needs of modern women in the workplace. Secondly, in Tiny Times, the “persuasive premise” based on the “expression of emotions and desires” of the soft male image contains the following aspects: 1. men should be willing and able to take care of and accompany their partners; 2. men should be ancillary, obedient, clingy, and dependent; 3. men should know how to appreciate women including admiring and adoring them; 4. men should tolerate and listen to women, so that women can release their pent-up emotions, express appeals, take refuge in, and take comfort from; 5. men should be passive, conservative, and loyal to love and marriage in relationships; 6. men should be sexy and charming. Finally, in the film series Tiny Times, the persuasive premises based on the principle of “constructing self-values and displaying individuality” based on the soft male image have the following points: 1. men should have the ideal appearance and physical perfection; 2. men should pay attention to cultivate their tastes in life, have dress sense, beauty treatments, go to gyms, and follow fashion; 3. men should have wealth, power and high social rank. To sum up, the emergence of more “feminine” men in movies is essentially blurring gender distinctions, with emphasis on gender equality, while opposing the so-called standardization of masculinity. It manifests women’s reflections on the traditional gender temperament standards, whereby “gender temperament is divided into binary oppositions” and “either-or gender temperament”, and the appeal to reconstruct the new gender role norms on this basis. The soft male image formed in the film satisfies women’s gender imagination of male images and meets the demands of modern women in many aspects such as emotion, family, and self-field. This explains why this kind of feminine-highlighted image is well received among women and widely popular in contemporary Chinese movies and mass media. In modern Chinese films, especially those facing the female audience, male characters are shaped to be beautiful, gentle, kind, and wealthy elites. Male characters reconstructed from the female perspective to cater to female audiences are also a type of cultural products. Starting from this idea, the author further discusses the reasons behind the aesthetic turn towards the softened male image, especially the emphasis on their beautiful “faces” in films like Tiny Times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male image. Referring to different theories, the nature of “soft” male symbols in Tiny Times is analyzed in an all-around manner. In the modern cultural context with blended visual culture and consumer culture, the mirror image of the body is of a strong flavor of commercial ideology. Aesthetic standards are checked by economic benefits. “The visual aesthetic state of our body, as a commodity, is inevitably subject to the consumption mechanism”. Therefore, as the “she-economy” era arrived, the soft male image in TV and films can better meet the emotional appeals of female visual consumption. Secondly, the significance of the male body is expanded from purely aesthetic to consumptive, which gives birth to the physical capital effect. The introduction of the “soft” implication further expands the characterization of consumption and gives higher consumption value to representations of a male body. Thirdly, male models (real-life idols) in the visual cultural context and the public admiration, imitation, and pursuit of “softer” body image have promoted and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soft” male image structure. Through the consumption of the visual symbolic value of men, women show their difference from others and find their own value pursuit, which in turn promotes the formation of diversified aesthetic standards. “Soft” male image is the rebellion against traditional culture, which reflects the guidance effect of consumption culture on the public, and its reconstruction of the gender implications of the male image in Chinese society: the rejection of the traditional autocratic gender ideology and pursuit of egalitarian ideology. These become the mythical factors of gender models that men pursue. In the end, it is also noticed during the research process that, in 2012-2015 when the Tiny Times series was planned, the media environment experienced drastic changes; media development-driven cultural symbiosis and the turn in visual aesthetics had a substantial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 softness aesthetics for male characters in the film series. We could call the birth of soft male characters in Tiny Times a conspiracy of new media technology and the society of the spectacle that is highly valued in visual representation, by which we may also get a glimpse of the crux of such soft image in the current network TV and film market. In the meantime, the male image in TV and film text is more than just a cultural phenomenon, but also a window for our understanding of male qualities and gender relations and the representation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Chinese society. Though soft male characters shaped in TV and films significantly enrich traditional gender implications, excessive force in this direction would cause a certain negative impact. Therefore, it is proposed here that we should call for the return of male beauty in personality and temperament while respecting the diversified aesthetic forms of male image. Also, the visual aesthetic quality of both genders should be improved for better development of male image shaping and cognition.
지난 20 여년간 중국에서 여권과 여성의 소비와 경제력을 획기적으로 증가해 왔다. 그에 따라 중국사회의 소비문화 속에서 여성의 시선(gaze)이 갖는 젠더 권력은 점차 강화되기 시작하였다. 미디어 콘텐츠는 한 사회의 시대적 삶은 반영하는 텍스트이며, 다양한 기호들로 구성되어 있다. 중국 사회에서 전통적 관점에서 보면, 현실의 삶을 광고, 드라마, 영화 등과 같은 미디어 콘텐츠로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남성의 시선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것은 전통적으로 남성의 젠더 권력이 여성의 젠더 권력보다 더 강했음을 반증해준다. 이 연구는 현대 중국사회에서 여성의 젠더 권력이 강화되면서, 여성의 시선에서 재구성되고 있는 남성의 젠더 이미지를 기호학적 관점에서 분석해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영화에서 재구성되는 남성 이미지는 전통적인 고정 관념의 이미지에 더하여 최근 다원화된 이질적인 모습으로 등장한다. 중국의 현대 영화 속에서 나타나는 남성의 이미지 속에는 여성의 젠더 권력과 시선이 작용하면서 새로운 차원의 남성 이미지가 등장하고 있다. 따라서, 이 글이 주장하는 ‘여성 영화’는 새로운 남성 이미지와 성별 의식이 구축되는 과정에서 매우 중요하고 관찰할 만한 미디어 텍스트다. ‘여성 영화’ 속의 남성 이미지에 대한 체계적인 학술적 분석은 중국 영화 문화 의미 연구의 차원을 보완하고 확장하며 풍부하게 할 뿐만 아니라 남성 이미지 연구의 학술적 의미를 심화한다. 둘째, 중국은 이미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영화 관람객을 보유하고 있어 초기에 타깃 관객층을 포지셔닝해야 하고 더 세분화되게 분류해야 한다. 그리고 여성은 소비문화 가운데 간과할 수 없는 시장으로 ‘여성 영화’와 환상의 짝꿍이라고 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 ‘여성 영화’는 여성만의 영화작품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따라서 여성 관객들이 좋아하는 남성 캐릭터 이미지를 심도 있게 해석한다면 관객들의 수요와 여성의 심리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소비 시대라는 배경은 영화와 여성, 소비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 ‘여성 영화’의 창작 및 실천에 시사점을 제공한다. 그 밖에 현재 시장에 나와 있는 ‘여성 영화’의 경우 상대적으로 부족한 점들이 있다. 예를 들면 남성 캐릭터에 대한 묘사가 깊지 않고 단순히 여성 관객의 환심을 사고 맹목적으로 기쁘게 하는 것이 때문에 남성 캐릭터 이미지의 설정을 기호화하고 평면화하며 심미적으로 협소화해야 한다.여성의 욕망에 대한 관찰, 성별 주제에 대한 인지, 영화 관람 시 여성의 심리적 동화 기제 등 모두 체계적이고 이론화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여성 영화’ 속의 남성 이미지와 기호학 이론 하에서 이루어진 ‘여성 영화’에 대한 색다른 첫 해석은 엄청난 현실적인 의미가 있다. 마지막으로, “영화는 문화적 텍스트이면서 사회적 실천이기도 하다. 영화가 만들어 낸 문화적 환경은 사회 현황 및 수요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며 많은 성별 관련 어젠다가 그중에 포함되어 있다”. ‘여성 영화’ 속의 남성 이미지가 보여주는 새로운 특징들은 남성의 아름다움과 남성의 신분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반영하였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사회 문화의 변화를 반영했다. 남성 소비 시대가 도래했다. 여성이 경제적으로 독립하면서 여성의 아름다움에 대한 추구를 더욱 중요시하게 되었다. 스크린 상의 남성 이미지는 여성의 현황을 반영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중국 ‘여성 영화’ 속의 남성 이미지에 관한 기호학 연구를 통해 현재 대중 매체가 구축한 사회 문화 현상을 분석하고 당대 중국 양성(两性) 집단의 발전 상태를 깊이 생각하고 사회적 현실을 관찰한다.이 연구는 중국의 여성 관람객으로 타겟으로 제작한 영화 시리즈(2013~2015)에서 재구성된 다원적 남성 이미지를 기호학적 관점에서 표층구조, 네러티브 분석, 젠더 문화적 코드, 그리고 젠더 이데올로기를 찾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글의 주요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 중국 현대 영화속에서 남성 젠더 이미지는 어떠한 기호들로 그 표층구조를 구성하고 있는가? [연구문제2] 중국 현대 영화속에서 남성의 젠더 이미지를 구축 하고 있는 서사구조는 무엇인가? [연구문제3] 중국 현대 영화속의 남성이미지에 내포된 젠더 문화적 코드는 무엇인가? [연구문제4] 중국 현대 영화속에서 남성 이미지 기호들이 지향하고 있는 신화/이데올로기는 무엇인가?첫째는 표층적 차원에서는 영화 시리즈에서의 남성 이미지(외모: 헤어스타일, 옷차림, 표정 등 / 성격: 행동, 눈빛 등 포함)를 분석하고, 영화 제작 차원의 표현 방식, 즉 장면 구성, 카메라 움직임, 색체, 빛, 화면 편집 등을 살펴보았다. 본절은 시각 수사의 각도에서 출발하여 “수사 삼각형”을 분석 구조로 삼아 시리즈 영화 중의 남성 시각 기호를 정리하고 인물 기호의 장면과 카메라 무빙 수사, 색채와 빛 수사, 동태 화면 편집 수사를 층층이 벗겨내고 롤랑 바르트의 “2차 의미 체계”와 결합시킨다. 그 외연과 의미를 분석하면 우리는 동태 영상의 표의 과정에 대한 구조 분석을 하고 남성 시각 기호인 “유연성” 이미지의 생성을 통찰할 수 있다. 두 번째는 의미적 차원에서는 네러티브 전개 방식 및 의미전달 과정의 외연적 이미지/기호들의 의미와 이들이 지향하는 내연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전체 영화를 보면, 이런 캐릭터의 구체적인 행위 모델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그 안의 텍스트의 주적 의미와 사상적 의미를 발견하기 어렵지 않다. 영화속의 소년과 소녀는 성별, 생김새, 가정 배경이 어떻든 성인 세계에서 온 전통적인 규범과 고유 이데올로기의 교훈에 의해 무기력 방황과 혼란을 초래한다. 영화는 신 시대의 사회 문화 맥락에서 청춘 개인의 성장과 청춘 기억에 초점을 맞추고, 전체적인 내러티브는“비련”한 사랑이나 우정으로 전체 영화를 충실하게 함으로써 그들이 고유한 이데올로기에서 벗어나 인생의 꿈을 실현하는 성장 과정을 서술한다. 영화의 심층 내러티브 시각은 모두 그들의 고유한 이데올로기나 주류 문화에 대한 개인화에 대한 반항과 저항에 중점을 둔다. 또한 “영화의 텍스트에 의해 드러난 '카니발'을 통해 권력과 권위를 해소하고, 우아함과 천박함, 정신과 육체의 위치를 반전시켜 전통적인 전체성의 전복”을 시도한다.더 나아가 영화는 청년 하위문화의 어휘를 사용하여, 즉 텍스트에 나타난 특정한 “카니발”로 주류 문화에 대한 적절한 반어법은 실현한다. 이 밖에도 기존의 다른 영화와 TV작품이 재현한 젠더 관계는 대부분 이분법적 논리를 가지고 있는 것과는 달리 영화 시리즈는 특정한 남성 내러티브 기호를 통해 전통적인 젠더 논리와 계속해서 대립하며 이를 통해 정해진 젠더 구조를 거부함과 동시에 젠더 관계의 내재적인 다원화된 이질성을 강조한다. 다른 한편으로 전체적인 전개에 있어 새로운 의미를 가진 청년 하위문화가 주류 문화에 대한 적당한 반어적 전략을 나타냈다. 따라서 우리는 영화가 남성 캐릭터의 기능 설정에 있어서 용감하고 이성적인 남성 이미지의 기호가 점점 쇠퇴하는 대신 쾌락 소비를 제공할 수 있는 유연성 있는 남성 내러티브 기호로 대체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런 내러티브 기호의 설정은 다원화된 남성의 기질의 배출, 남성의 “이상 항목 미감”(즉 표시성 미감)표현, 남성이 구조되는 줄거리, 남성의 신체 응시의 네가지 차원에서 구축된다. 세 번째는 본 연구의 세 번째 과제는 중국 현대 영화의 남성 이미지 젠더 문화 코드를 탐구하는 것이다. 영화는 주로 이미지를 수단으로 “설득적 언어” 생산을 하는 기호 실천으로서, 영화는 수사적인 시각적 기호의 생산을 통해 설득하며, 관객들의 가치관과 실천행위를 설득하고 통제함으로써 설득과 인식의 전달을 완성한다.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시리즈는 남성 시각 기호에 대한 다원화된 수사적 방식으로 캐릭터의 그늘지고 부드러운 “이미지”를 만들어 냈다. 이러한 이미지는 “가장 이상적 시니피앙(significant)”로서 가장 중요한 역할은 바로 관객과 창작자의 시각에서 인정(이미지, 생활 방식, 정신과 의식 등 여러 측면에서 호소)을 구축하는 것이다. 관객(특히 여성)으로 하여금 감각부터 내면의 요구까지 만족시키고 관객으로 하여금 영화의 유연성 있는 남성 이미지를 받아들이고 인정하며 소비하게 한다. 하지만 영화해서 “설득적 의미의 심층적 언어”를 지닌 시각적 이미지의 “설득력”의 핵심은 창작자와 관객 사이에 문화적 습관을 기초하여 창작자와 관객 사이의 암묵적인 "적절한 전제(premises)"를 내포하는 것이라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의미를 창조하는 “표준 프레임”으로, 흔히 문화 텍스트의 내재적 구조와 의미를 근본적으로 규정하는 경우가 많다. 연구를 통해, 영화 시리즈에서 부드러운 남성 이미지의 ‘성별 기질 구현 규범 재건’을 준칙으로 하는 ‘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는 다음을 포함한다. 첫째, ‘남성은 성격이 부드럽고, 몸매가 날씬하고, 공격적이지 않으며, 보호를 필요로 하고, 여성의 보호를 갈망해야 한다’는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둘째,‘남성은 감정이 섬세하고, 감정을 중시하며, 감정 표현에 능숙해야 한다’는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셋째, ‘남성도 양성구유(双性同体)로 여성적 특질을 성격과 행동에 내포하고 있다’는 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넷째, ‘남성은 가정 일을 주동적으로 처리하고, 가정의 책임을 부담해 현대 여성의 직장 수요에 부합해야 한다’는 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다음 으로, 영화 시리즈에서 유연한 남성 이미지의 “감정과 욕망 표현”을 원칙으로 하는 “젠더 문화적 코드 ”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를 내포하고 있다; 첫째, “남성은 사랑하는 사람을 세심하게 돌보고 항상 동반한다”는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둘째, “남성은 여성에게 의지, 순종, 집착의 의존성을 나타낸다.”는 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셋째, “남성은 여성을 흠모하고 숭배하는 대상으로 감상할 줄 알아야 한다.”는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넷째, “남성은 경청하고 포용하기를 원하며 여성이 정서를 발산하고 표현하고 호소할 때 감정을 위로하는 대상으로 감정적 치유 기능을 가진다.”는 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다섯째, “남성은 양성 상호 작용에서 수동적이고 보수적이며 감정과 결혼에 충실해야 한다.”는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여섯째, “남성은 섹시하고 매력적이어야 한다”는 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마지막으로, 영화 시리즈에서 유연한 남성 이미지의 “자기 가치관 구축, 개성 과시”를 원칙으로 하는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는 아래의 내용을 포함한다. 첫째, “남성은 이상적인 외모와 신체적 아름다움을 가져야 한다”는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둘째, “남성은 생활 품위, 옷차림, 미용, 헬스, 패션을 추구해야 한다”는 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셋째, “남성은 부와 권력, 탁월한 사회적 지위를 가져야 한다”는 남성의 젠더 문화적 코드이다. 종합해 보자면, 영화 속 남성이 더 “여성화”되어 있는 건 본질적으로 성별의 구분을 모호하게 만드는 것이고, 양성평등을 강조하는 것이며, 소위 남성 기질의 규범화를 반대하는 것이라는 점을 발견했다. 이는 “이분법적인 표준으로 성별의 기질을 나누는 것”과 “양성의 기질을 상대적으로 배제하는 방식으로 정의하는 것” 등의 전통적인 성별 기질 표준에 대해 돌이켜 생각해 보고, 그것을 토대로 새로운 성별 역할 규범을 구성하자는 요구 사항이기도 하다. 영화 속에서 만들어진 부드러운 남성의 이미지는 남성 이미지에 대한 여성들의 성별 상상을 충족시켜 감정, 가정, 본인의 상황 등 여러 방면에서의 여성의 요구 사항에 일치한다. 이것이 여성적 특징을 가진 부드러운 남성 이미자가 여성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당대 중국 영화 및 대중 미디어에서 광범위하게 유행하는 원인이다. 중국의 현대 영화 중에서 특히 여성 관람객을 타겟으로 제작되는 영화들 속에서 나타나는 남성의 이미지들은 아름답고, 부드러우며, 친절하고, 엘리트이자 경제적으로 부유한 이미지들을 지향하고 있다. 여성 관람객들을 충족시키기 위해 여성의 젠더 시선에서 재구성하는 영화 속의 남성들의 이미지는 하나의 문화 상품으로서 캐릭터이자 젠더 상품이기도 하다.그리고 에 나타나는 여성의 시선에서 재구성된 남성 젠더의 이미지들 속에 내재된 현대 남성의 젠더 이데올로기를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영화 속의 젠더 이미지는 그 시대의 젠더간 권력과 권력의 시선을 반영한다. 누구의 시선에서 젠더 이미지를 재구성하는 가는 미디어 콘텐츠에 나타나는 남성성과 여성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필자는 시리즈 영화에서 남성 이미지가 보여주는 유연성 트랜드를 바탕으로, 특히 전통적인 남성 이미지에 비해 “얼굴”의 미를 강조하는 심미적 전환에 대해 더욱 깊이 있게 분석하고 다양한 이론과 결합하여 영화 시리즈에서 ”유연한” 남성 캐릭터 기호의 본질을 전면적으로 분석한다. 즉, 현재 시각 문화와 소비 문화가 융합된 문화적 맥락에서 신체 미러링이 가지고 있는 상업 이데올로기는 상당히 강하고 심미적 기준은 경제적 이익에 의해 제약을 받는다. “상품으로서의 신체가 어떠한 시각적 심미 상태를 나타내는지는 필연적으로 소비 메커니즘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여성의 사회 활동이 많아짐에 따라 여성과 관련된 경제 현상이 증가하는 시대를 뜻하는 타징지(她经济)에서, 첫째, 영화와 드라마 미디어에 나타난 유연성 있는 남성 이미지는 여성 시각 소비의 감정적 요구에 더욱 잘 부합될 수 있다. 둘째, 남성 신체는 단순한 미학에서 소비로 의미의 확장을 실현하고 신체 자본 효과를 탄생시켰다. “유연성” 함축의 개입으로 소비 표상이 계속 확대되어 남성 신체 표상으로 하여금 더욱 높은 소비가치를 가지게 했다. 셋째, 시각 문화 배경에서 남성 모델(현실 아이돌)과 일반 대중들이 “유연성” 신체 이미지에 대한 추앙, 모방과 추대는 “유연한” 남성 이미지 구조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고 강화시켰다. 유연한 남성 이미지는 전통에 대한 반항으로, 대중은 남성 이미지 기호의 가치에 대한 심미를 통해 남들과의 차별성을 나타내고, 가치관을 추구한다. 이는 나아가 다양한 심미 기준을 만들어내며, 이 현상의 이면에는 소비 문화가 이끄는 대중 심미가 숨겨져 있다.더나가 중국사회에서 새로운 남성의 이미지를 재구성하고, 그 의미를 부여하며, 궁극적으로 전통적인 권위주의적 젠더 이데올로기를 거부하며 평등주의적 이데올로기를 지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이 현대 중국 영화 속에서 재구성되고 있는 중국 남성의 젠더 이미지이며, 현대 사회의 남성들이 젠더 모델로 지향하는 신화적 요인으로 정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고는 연구 과정에서 2012~2015년 영화 시리즈 촬영 기간 중의 급변한 미디어 환경의 변화와 발전은 다중 문화의 공생과 시각적 미학이 영화 시리즈의 남성 유연성 시각적 심미 기준 형성에 무시할 수 없는 영향일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영화 시리즈의 유연성 있는 남성 이미지의 생성은 시각적 표징이 크게 중시되는 경관 사회에서 뉴 미디어 기술 특성과 공모한 것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현재 인터넷 영화와 드라마 시장에서 남성 이미지가 지나치게 유연해지는 문제점도 엿볼 수 있다. 동시에 영화와 드라마 텍스트 중의 남성 이미지는 문화적 현상일 뿐만 아니라 사회의 남성성에 대한 인식과 젠더 관계에 대한 통찰의 창이기도 하며, 동시에 중국의 사회, 역사, 문화의 표징이기도 하다. 비록 영화와 드라마 미디어가 재현한 유연성 있는 남성 이미지가 매우 풍부해지며 전통적인 젠더의 의미를 확장시켰지만 남성 이미지가 지나치게 유연해지면서 어느 정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필자는 남성 이미지의 다양한 심미 형태를 긍정하고 존중하는 동시에 남성 남성성의 아름다움의 복귀 요구를 제안한다. 또한 쌍방의 시각적 심미 소양을 향상시켜 남성 이미지의 조성과 인지가 더욱 발전적인 방향으로 전개되도록 한다.